303 0

An acoustic study on interactions between domain-initial strengthening and stress in English

Title
An acoustic study on interactions between domain-initial strengthening and stress in English
Other Titles
영어의 운율영역 초 강화와 강세의 상호작용에 관한 음향학적 연구
Author
김지승
Alternative Author(s)
Jiseung Kim
Advisor(s)
조태홍
Issue Date
2013-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영어에서 나타나는 운율 영역 초 강화현상(Prosodic domain-initial strengthening)에 대한 실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영어에서 운율 영역(Prosodic domain)이란 발화를 운율과 리듬을 기준으로 나눈 것으로서, 주로 영역의 처음 부분과 끝 부분의 소리가 길고 커지는 것을 신호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운율 영역 초 강화현상과 영어의 2음절 단어에 나타나는 두 가지의 단어 강세(Lexical stress)의 종류가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를 음향학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전까지의 운율 영역 초 강화현상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영어의 단어 중에서도 강약격(Trochaic)의 강세를 갖는 단어를 주요한 분석 대상으로 삼아왔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단어에 내재하고 있는 강-약의 리듬 때문에, 단어의 첫 부분에 이미 단어 강세에 의한 장음화(Lengthening)와 강화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그러므로 진정한 의미에서의 운율 영역 초 강화현상만을 설명하였다고 보기 어렵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영어 단어가 약강격(Iambic)의 강세를 갖는 2음절의 영어단어와, 그 단어와 소리가 비슷하지만 강약격의 강세를 갖는 마찬가지로 2음절의 영어단어를 한꺼번에 비교하고, 각 단어에서 운율 영역 초 강화현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여기서 세울 수 있는 가설은 단어 강세가 운율 영역 초 강화현상과 함께할 때에만 강화현상이 유의미한 크기만큼 일어난다는 것과, 반대로 단어강세가 단어의 첫 음절에 존재하지 않더라도 운율 영역 초 강화현상 만으로 첫 음절이 유의미하게 강화된다는 것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영어에서 그 동안 자주 연구되지 않았던 유성자음(Voiced consonant)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이전의 연구들은 주로 운율 영역 초 강화현상이나 영어의 문장강세(Pitch-accent)에 의한 장음화 현상(Accentual lengthening)에 의해 영어의 무성음이 갖는 음운적/음성적 자질 중 어떤 것이 어떤 방식으로 강화되는지를 주로 보여주었다. 그러나 영어의 무성음이 강화현상에 영향을 받을 때 좀 더 자음과 같은 성격을 띠게 되는 데에 반해, 유성자음이 어떤 방식으로 강화되는지 연구된 바가 적었다. 본 연구는, 영어의 /b, d/라는 유성자음이, 단어 강세와 결합한 또는 결합하지 않은 운율 영역 초 강화현상에 의해 어떤 자질을 강화시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어에서 운율 영역 초 강화현상이 약강격을 띠는 단어의 첫 음절에서도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운율 영역 초 강화현상은 단어 강세와 결합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작용하는 현상이라는 것을 밝혔다. 또한 이러한 운율 영역 초 강화현상은 문장강세와 다른 방식으로 단어의 강화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먼저 운율 영역 초 강화현상은 대개 단어의 첫 번째 자음에 집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에 오는 모음이나 다음 음절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보여주지 않았다. 즉 운율 영역의 경계(boundary)에 가까운 소리를 강화시켜 단어의 경계를 더욱 쉽게 인지하도록 하였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반면에 문장강세는 강조가 되는 단어를 전반적으로 더 길고 큰 소리로 발화함으로써 단어의 모든 소리를 강화시켰다. 즉 단어 자체의 인지를 더욱 쉽게 만들어주는 방향으로 작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영어의 유성 자음이 영어의 무성 자음과는 다른 방식으로 강화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먼저 영어의 무성 자음은 본 연구에서도 이전 연구들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기식현상(aspiration)과 발성시차(Voice Onset Time)을 크고 길게 만드는 방향으로 강화되었다. 그러나 영어의 유성자음은 어떤 강화현상의 영향 아래 있느냐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운율 영역 초 강화현상의 영향을 받았을 때 유성자음은 마치 무성자음과 같이 자음의 자질들인 기식현상과 발성시차를 크고 길게 만드는 방식으로 강화되었다. 그러나 문장강세의 영향을 받았을 때 유성자음은 유성음으로서의 자질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강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즉 전자의 방향은 유성자음이 그 다음에 오는 모음과의 대비를 좀 더 분명하게 만드는 효과를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으며, 후자의 방향은 유성자음이 무성자음과의 대비를 더욱 분명하게 만드는 효과를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study was motivated by the fact that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s of domain-initial strengthening have been mostly focusing on the lexically stressed initial syllables of a word in English. Therefore, in this acoustic experiment, 4 different lexically unstressed initial syllables of a disyllabic word were tested against 4 different lexically stressed counterparts. It is hypothesized that if the lexically unstressed initial syllable shows any effects of domain-initial strengthening, such effects are supposed to be purely driven by domain-initial strengthening as the initial syllable is exempt from the prominence induced by the lexical stress. Moreover, because the locus for pitch-accent is shifted when the stress pattern is modified, the effects of domain-initial strengthening and accent-induced strengthening was expected to interact with each other. Also examined was the onset consonant of the test words. The voiced stop consonants /b,d/ under the effects of domain-initial strengthening as well as accent-induced strengthening was tested against their voiceless counterparts /p,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way the voiced consonants enhance their phonetic qualitie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confirmed that the effects of domain-initial strengthening may stand alone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the lexical stress in the affected initial syllable. However, this effect was observed only in the onset consonant of the initial syllable but it did not spread to the following vowel.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the scope of the pure domain-initial strengthening effects is limited to the onset consonant. As for the scope of the accentual lengthening, not only the results confirmed the conclusions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that the influence of the accentual lengthening was the strongest in the lexically stressed syllable, but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fluence could be spread leftwards as well as rightwards within the affected prosodic word. From the results, it seems that the accentuation effect is used to enhance the entire lexical word while the domain-initial strengthening only enhances the segments that are nearest to the prosodic boundary.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cilitation of lexical recognition versus the facilitation of phrasing by prosodic boundary. The results regarding the voicing contrast enhancement suggest that the voiceless consonant becomes more consonant-like, implying a type of syntagmatic contrast enhancement strategy. The voiced consonant behav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ource of prosodic strengthening. When the consonant was under the influence of domain-initial strengthening, it showed greater aspiration, similar to the voiceless consonant. However, the voiced consonant became more sonorant when it was influenced by the accent-induced strengthening, which is suggestive of a type of paradigmatic contrast enhancement.; The present study was motivated by the fact that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s of domain-initial strengthening have been mostly focusing on the lexically stressed initial syllables of a word in English. Therefore, in this acoustic experiment, 4 different lexically unstressed initial syllables of a disyllabic word were tested against 4 different lexically stressed counterparts. It is hypothesized that if the lexically unstressed initial syllable shows any effects of domain-initial strengthening, such effects are supposed to be purely driven by domain-initial strengthening as the initial syllable is exempt from the prominence induced by the lexical stress. Moreover, because the locus for pitch-accent is shifted when the stress pattern is modified, the effects of domain-initial strengthening and accent-induced strengthening was expected to interact with each other. Also examined was the onset consonant of the test words. The voiced stop consonants /b,d/ under the effects of domain-initial strengthening as well as accent-induced strengthening was tested against their voiceless counterparts /p,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way the voiced consonants enhance their phonetic qualitie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confirmed that the effects of domain-initial strengthening may stand alone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the lexical stress in the affected initial syllable. However, this effect was observed only in the onset consonant of the initial syllable but it did not spread to the following vowel.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the scope of the pure domain-initial strengthening effects is limited to the onset consonant. As for the scope of the accentual lengthening, not only the results confirmed the conclusions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that the influence of the accentual lengthening was the strongest in the lexically stressed syllable, but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fluence could be spread leftwards as well as rightwards within the affected prosodic word. From the results, it seems that the accentuation effect is used to enhance the entire lexical word while the domain-initial strengthening only enhances the segments that are nearest to the prosodic boundary.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cilitation of lexical recognition versus the facilitation of phrasing by prosodic boundary. The results regarding the voicing contrast enhancement suggest that the voiceless consonant becomes more consonant-like, implying a type of syntagmatic contrast enhancement strategy. The voiced consonant behav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ource of prosodic strengthening. When the consonant was under the influence of domain-initial strengthening, it showed greater aspiration, similar to the voiceless consonant. However, the voiced consonant became more sonorant when it was influenced by the accent-induced strengthening, which is suggestive of a type of paradigmatic contrast enhancemen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266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218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NGLISH LANGUAGE & LITERATURE(영어영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