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8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운미-
dc.contributor.author천주은-
dc.date.accessioned2020-03-03T16:31:37Z-
dc.date.available2020-03-03T16:31:37Z-
dc.date.issued2013-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2543-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3020en_US
dc.description.abstract국문초록 천년의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한국의 전통연희는 우리 민족의 근간(根幹)이자 악․가․무․극(樂.歌.舞.劇)이 하나로 융합된 총체적 예술이다. 그러나 한 나라의 문화를 대표하고, 국격(國格)을 드높이는데 중추적 역할을 하였던 전통연희의 위상은 시간이 지날수록 그 가치가 변모하고 있다. 서구문화의 무비판적 수용으로 인한 문화 정체성의 불안정, 문화재보호법의 ‘원형보존’ 법칙에 따른 대중과의 문화적, 정서적 소통단절, 여기에 첨단과학기술의 빠른 보급화는 전통연희가 대중들의 관심 속에서 점차 멀어지는 상황을 초래하게 하였다. 또한 대중들은 전통연희에 대한 외면의 궁극적인 이유로 시대에 뒤처진 지루하고, 고루한 공연형태와 反현대적 성향을 주된 이유로 삼았다. 이렇게 전통연희의 가치와 위상이 점차 떨어져 가고, 대중들의 시선에서 멀어지는 상황을 우리는 더 이상 좌시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논자는 전통연희의 활성화를 위한 문제 해결을 위해 여러 방책(方策)을 모색 하였으며,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3D 홀로그램’ 과 ‘프로젝션 맵핑’을 연구방법의 기술적 도구로 제시하였다. ‘3D 홀로그램’은 21세기에 주목해야 할 트렌드 중 2010년부터 현재 IT시장에서 가장 비약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기술이며, 입체감에 따른 사실감, 다양한 공간의 활용성, 실제 사물의 완벽한 재현 및 무안경 방식으로 장시간 관람 가능 그리고 무엇보다 관객과의 소통이 뛰어나 공연에 가장 적합한 기술로 각광 받고 있다. 그리고 ‘프로젝션 맵핑’은 고광량 프로젝션으로 실제 사물 전면에 영상을 투영하여 실제의 조형물이나 실물 등에 환상적인 CG 작업으로 고정된 물체에 생명력을 불어 넣으며, 3D 입체 효과 뿐만 아니라 미디어 효과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차세대 최첨단 시스템이다. 본 연구의 설계는 지난 2012년 9월 작업착수 하여 2013년 3월까지 약 7개월간 진행되었으며, 2013년 3월 21일 포이동에 위치한 M극장에서 구현되었다. 공연은 옴니버스 형식에 따라 제 1장부터 4장까지 장별로 다른 컨셉과 콘텐츠를 적용하여 연출되었으며, 각 장에 해당하는 내용은 아래와 같다. 제 1 장. 그림 속에 담긴 한국 전통연희의 풍경 제 2 장. 탈춤, 홀로그램을 입다 제 3 장. 비보이를 통한 한국춤의 현대적 재해석 제 4 장. 한국의 전통악기, 그리고 작고한 예인들과의 재회 위와 같이 총 4장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장마다 전통연희에 담긴 본연의 색깔과 모습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 및 실제 구현 결과 악․가․무․극(樂.歌.舞.劇)의 종합예술인 전통연희에 ‘3D 홀로그램’과 ‘프로젝션 맵핑’ 이라는 진보된 기술이 융합되어 감성과 기술이 가미된 디지로그(Digilog)가 하나의 공간에서 연출되었으며, 영상과 사물에 생명을 불어넣는 작업 과정을 통해 전통연희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신개념 ‘홀로맵핑(Holomapping) 프로토콜(Protocol)’을 연구의 결과물로 제시하였다. 영상 콘텐츠로써 전통연희는 무궁무진한 감성적 소재와 창의적인 요소들을 담고 있어 융복합 콘텐츠 자료로 매우 의미 있게 활용되었으며, 적용기술로써 본 연구의 핵심 기술인 ‘3D 홀로그램’과 이를 뒷받침한 보조 기술 ‘프로젝션 맵핑’은 전통연희에 담겨있는 전통적 요소들을 변질시키지 않고 본연 그대로의 색깔과 모습을 표현 가능하게 한 기술 도구로 사용되었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첨단과학기술을 활용한 전통연희의 ‘현대적 재해석’ 을 통해 다양한 시각적 멀티플렉스를 도출하고, 새로운 기술 고안 및 적용을 통해 향후 포터블(Portable) 홀로그램의 가능성을 제시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예술(전통연희)과 첨단기술(홀로그램)을 융합한 실험논문으로서 처음 시도되는 논제이자 규모는 크지 않지만 보급형 홀로그램으로써 방향성을 제시한 첫 사례 연구로도 의미가 있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기술이 문화와 인간의 감성을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기술을 통해 인간의 감성을 깨우고, 더불어 정체 되어 있는 전통 예술문화를 대중적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기반연구가 되기를 간구해 본다. 주요용어: 한국전통연희, 대중화, 활성화, 융복합, 3D 홀로그램, 프로젝션맵핑-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한국 전통연희의 활성화를 위한 3D 홀로그램 설계 및 구현-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천주은-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무용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한국무용-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