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 0

소지역 단위의 지역 간 산업 연관성과 지역협력산업 선정에 관한 연구

Title
소지역 단위의 지역 간 산업 연관성과 지역협력산업 선정에 관한 연구
Author
허원도
Advisor(s)
김홍배
Issue Date
2013-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정부는 2009년부터 지역발전사업을 촉진하기 위해 지역 간 인적·물적 자원을 상호 보완하여 협력을 통한 지역발전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지역발전정책을 공간단위로 구분하면 초광역개발권, 광역경제권 그리고 기초생활권이 있다. 이러한 정책의 공통적인 목적은 지역간 상호협력을 통한 상생발전을 도모하는데 있다. 그러나 광역단위 중심으로 정책이 추진되면서 광역단위를 구성하고 있는 행정단위의 기초인 시군단위에 대한 정책은 미흡하다. 시군단위의 상호협력정책이 구체화 되어야 광역단위의 계획도 그 유효성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간 상호협력 즉, 경제적 측면에서의 상호협력은 지역산업연관성을 바탕으로 도출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지역산업연관성은 지역간 산업제품의 흐름으로 상호연관성을 파악하여 협력분야를 도출 할 수 있으며, 지역에 부족한 재원의 효율적인 투자방향을 제시하는 척도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관련문헌을 살펴보면 이러한 연구는 광역단위보다 시군단위에서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간접추계방법에 의해 경상남도 시군을 대상으로 지역산업연관표를 구축하여 이를 바탕으로 시군간 산업연관분석과 시군간 협력산업을 도출하고자 한다. 지역은 국가와는 달리 개방성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생산구조의 지역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들은 지역산업연관표 작성에 있어서 그대로 반영될 수 있다. 지역산업연관표 작성은 물동량 흐름을 바탕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지역간 산업에 있어 상호연관관계를 볼 수 있다. 이는 지역간에 어떠한 산업들이 상호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는지와 이를 통해 지역간 협력산업을 도출이 가능하다. 협력산업의 도출은 지역산업연관표에서의 산업연관승수를 이용하여 지역간 전후방연관계수를 통해 나타내었다. 또한 각 지역별 지역간·산업간 승수의 비중을 전후방연관성을 통해 상호의존관계도 나타내었다. 경남 각 시군의 지역간·산업간 전후방연관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지역의 개방적 특성을 고려할 때 시군단위는 지역간 보다 지역내 전후방연관성이 아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군지역의 경우는 전방연관성이 6.9%밖에 되지 않았다. 이는 지역내에서 완성된 생산물이 자기지역 생산활동을 위한 중간재로 많이 사용된다는 의미이며 생산체계의 지역적 완결성이 그만큼 높다는 의미이다. 시군간 협력산업 도출의 경우는 동부경남의 중심도시인 창원시를 중심으로 인접지역과 협력산업들이 도출되었다. 반면 군지역이 많이 분포되어있는 서부경남지역은 인접지역간에 협력산업이 도출되지 못하였다. 이는 군지역이 상대적으로 시 지역에 비해 생산기반의 부족으로 지역내 제품생산으로 인한 타 지역으로의 파급효과가 적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역간 산업연관성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은 크게 2가지로 볼 수 있었다. 첫째는 특정지역에서 모든 지역과의 산업연관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보다는 지리적 근접성과 산업의 기능성 고려가 필요하다. 특히 기술집약적 산업의 경우는 인접한 지역에서의 기술적인 네트워크 형성이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일정한 권역을 설정하여 권역내 주변지역과 산업연관성이 높은 중심 지역을 찾아 집중 육성시키는 정책이다. 이는 중심지역이 성장하면 산업연관성으로 인해 주변지역도 동시에 성장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의 재원은 한정되어있어 모든 지역을 성장시키기는 어렵다. 따라서 최소한의 재원으로 최대한의 효율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정책이 제시할 필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주요용어: 시군간 산업연관성, 다지역산업연관표, 지역간 협력산업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252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263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URBAN PLANNING(도시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