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재승-
dc.contributor.author이현진-
dc.date.accessioned2020-03-03T16:31:19Z-
dc.date.available2020-03-03T16:31:19Z-
dc.date.issued2013-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2404-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2934en_US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 보건의료기관의 93%이상이 민간시설인데, 그 대부분이 중.대도시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급격한 사회경제의 발전은 대형종합병원의 신설이나 기존병원시설의 확충을 낳고 있다. 더구나 의료전달체계의 미정착과 치료중심의 수가제도는 3차 의료기관인 이런 대형종합병원에 쏠림현상을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21세기에 들어와서 치료와 예방의학의 발전으로 병원을 찾는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고, 특히 의학의 전문성과 세분화가 확대되면서, 이를 수용해야만 하는 병원들이 고층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종합병원의 고층화, 대형화에 따른 필연적인 수직형 종합병원의 이용자와 사용자가 수직이동 동선을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건축코어계획을 세 가지 분석의 틀 속에서 연구하였다. 첫째, 건축코어의 규모는 면적조사를 통해 수평적으로 공간을 분석하고 층수와 높이조사를 통해 수직적으로 공간을 분석하여, 초기 기획설계 단계에서 필요한 자료를 마련한다. 둘째, 종합병원의 수직동선은 기단부 진입층의 호스피탈 스트리트 동선축과 기준층 병동부의 복도축을 잇는 축으로 간주한다. 이들의 형태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형태구성의 기본 틀을 마련하였다. 셋째, 건축코어의 형태결정에 따라 볼록공간도과 공간위상도를 통해 깊이 값을 산정하여 코어의 기능 연계성을 분석한다. 이상의 건축코어의 규모, 형태유형, 주요공간의 기능연계성 등을 분석하여 종합병원의 효율적인 수직공간체계를 위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연대별 수직동선체계의 형태유형의 흐름을 분석한 결과, 1970년대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국내 도심에 위치한 종합병원의 병동은 사각형 또는 삼각형의 대칭평면유형이 대부분이었지만, 2005년을 기점으로 비대칭평면유형으로 변화하면서 코어의 형태유형 또한 비대칭의 형태로 변해가는 것을 알 수 있다. 2) 수직형 종합병원의 수직동선체계는 <V3a>의 유형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는 환자용승강기, 승객용승강기, 배선용승강기가 하나의 메인코어로 집중되며, 2곳의 비상용승강기와 피난계단이 대칭으로 배치되는 형태유형이다. 또 일부 <V4a>, <V4b>, <V4f>의 형태유형도 나타나는데, 이는 배선용승강기가 외주부로 분리되어 비대칭의 코어형태를 나타내는 유형이다. 3) 사례병원의 규모, 형태유형을 통해 중요도가 높은 수술부와 코어, 응급부와 코어공간의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 공간위상도에 깊이 값이 가장 낮게 나타난 <Sev>병원과 <Ajoumc>병원의 형태유형은 중앙진료부와 외래부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Type-A또는 Type-B이다. 이 병원들의 환자용승강기는 승객용승강기와 별도로 수술부와 응급부에 인접 배치되었으며, 환자용승강기 홀에서 바로 수술부 또는 응급부로 진입하는 진입구를 통하여 환자동선을 분리하였다. 대부분의 사례병원은 코어의 인지성과 접근성을 높이는데 초점을 맞추어 승객용승강기와 환자용승강기가 메인 호스피탈 스트리트에 인접해 집중배치 되어있다. 환자의 동선 단축과 독립적인 이동환경을 위해 환자용승강기 배치는 수술부 또는 응급부 환자출입구와 인접배치하고 별도의 내부복도를 계획하여 방문자와 보호자와의 동선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하루 3회 이상 모든 병동으로 이동하는 급식물품의 동선은 수직형 종합병원에 있어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 중에 하나다. 사례병원은 대부분 배선용승강기가 지하층의 급식부에서 공용의 복도를 지나지 않고 바로 이동하여 공간위상도상 깊이 값 1또는 2를 나타낸다. 반면 배선용승강기에서 각 병실까지 이동하는 병동의 수평이동 동선의 깊이 값을 단축하기 위한 배선용승강기의 배치는 복도유형뿐만 아니라 병동의 형태유형에도 많은 영향을 준다. 사례병원의 공간위상도가 가장 낮게 나타난 <Snubh>병원과 <Kuh>병원의 코어공간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기단부 진입층의 수평동선은 홀형동선 형태로 강한 중심성과 집중을 나타낸다. 수직동선축의 유형은 <V3a> 또는 <V1a>유형으로 배선용승강기가 병동의 중심에 집중 배치되는 것이 유리함을 알 수 있다. 병동부의 수평축은 <W1c>의 중복도 또는 <W2a>의 이중복도 유형으로 병동의 수평동선을 단순화하는 것이 유리하며, 상대적으로 순환형복도 유형은 각 병실까지 깊이 값이 깊게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비대칭평면 유형에서 생기는 순환형 꺽임 복도의 유형은 공간위상도상 깊이 값이 높아지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난다. 도심형 종합병원의 수직동선체계의 계획은 환자를 위한 효율성이 무엇보다도 먼저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이 효율성 제고를 위한 수직동선의 표준설계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작은 디딤돌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Most of health care institutions in Korea, over 93% of which are private, locate themselves at middle/big urban. Rapid socioeconomic development has also caused new creation of large-scale general hospitals and expansion of existing hospital facilities. In addition, treatment-oriented fee system and staggering medical delivery system have brought about a phenomenon that patients should be crowded at the 3rd medial institutions of the general hospitals. In this 21st century, more and more people tend to visit the hospitals to receive high-quality treatment and preventive medicine, and in particular, as the speciality and classification of medicine are expanded, hospitals become more high-rise to accept them as well. This study has examined architectural core plans under the 3 analytical frameworks so that users and visitors can smoothly and effectively take advantage of the vertical circulation lines. To reach these goals, the following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First, the horizontal spaces are analyzed through area measurements, the vertical spaces through the number of floors, and the data required are prepared at the initial stage of planning and design. Second, the vertical circulation line of general hospital is regarded to be the axis connecting the hospital street line axis of the stylobate entry floor and corridor axis of the ward parts at the reference floor. To classify such type of form, basic frameworks of form formation are prepared. Third, calculated are the depth value through Convex map of Space Syntax and Justified Graph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form of architectural core and analyzed the functional connectivity of cores. By analyzing the architectural cores size, type-form and function connectivity of main spaces,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or effective vertical space system. 1) Analyses of the flow of the type-form of vertical circulation systems during the period of time from 1970's to the middle of 2000 shoe that most are square or triangle types of symmetrical plane types, but in 2005 as a starting point, they changed into asymmetrical plane type and the type-form of core turned into the asymmetrical form, either. 2) <V3a> type takes the most in vertical circulation system of the horizontal general hospitals. Elevators for patients, passengers and food carrying are concentrated as one main core, and 2 emergency elevators and escape stairs are arranged in symmetry. In addition, <V4a>, <V4b>, <V4f> sometimes show the asymmetrical core type as the elevator for food carrying is separated to the outside part. 3) The type-form of <Sev> hospital and <Ajoumc> hospital with the lowest depth value in spatial phase diagram, was Type-A or Type-B where central treatment part and outpatient part are arranged vertically. In most case hospitals, elevators for passengers and passengers for patients are intensively arranged at the main core. It focuses on arrangement adjacent to the main hospital streets in order to enhance the accessibility and recognition of core. For shortening of flow line of patients and private movement environment, however, it is desirable to arrange the elevators for patients adjacent to the operation part and patient entrance of the emergency part, to plan separate interior corridor and to separate the flow line of visitors and guardians. 4) Flow line of meal goods that moves to all wards over 3 times a day is one of important assignments to solve in the vertical general hospital. At case hospital, 1 or 2 elevators for food carrying directly moves from the meal part at the underground floor without passing common corridor, and show the depth value in spatial phase diagram. On the other hand, the arrangement of elevators for food carrying to shorten the depth value of the horizontal movement line of ward from elevators for food carrying to each hospital room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orm type of wards as well as the type of corrido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eatures of core spaces of <Snubh> hospital and <Kuh> hospital showing the lowest spatial phase diagram of the case hospital, the horizontal line of the stylobate access floor is hall movement flow line, showing strong centrality and concentration. Type of vertical core is <V3a> or <V1a> type and centralized arrangement of elevators for food carring at the center of ward is found to be beneficial. Horizontal axis of the ward part is overlap corridor of <W1c> or double corridor type of <W2a>, and is found to be beneficial to simplify the horizontal flow line of ward. Type of cyclic corridor is found to show depth value deeply even for each hospital rooms. In particular, the cyclic breaking corridor type generated at asymmetric plan type is found to be the main factor that raises the depth value in spatial phase diagram. Effectiveness for patients should be considered for vertical circulation design of the urban general hospitals. I expect this thesis may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preparing the foundation of standard design of vertical flow line for improvement of effectiveness.; Most of health care institutions in Korea, over 93% of which are private, locate themselves at middle/big urban. Rapid socioeconomic development has also caused new creation of large-scale general hospitals and expansion of existing hospital facilities. In addition, treatment-oriented fee system and staggering medical delivery system have brought about a phenomenon that patients should be crowded at the 3rd medial institutions of the general hospitals. In this 21st century, more and more people tend to visit the hospitals to receive high-quality treatment and preventive medicine, and in particular, as the speciality and classification of medicine are expanded, hospitals become more high-rise to accept them as well. This study has examined architectural core plans under the 3 analytical frameworks so that users and visitors can smoothly and effectively take advantage of the vertical circulation lines. To reach these goals, the following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최근 국내 도심 종합병원의 수직동선체계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dc.title.alternativeAn Architectural Planning Study of Vertical Circulation System in Recent Urban Hospitals in Korea-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이현진-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Hyun Ji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건축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건축이론비평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