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 0

경모궁 입지와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Title
경모궁 입지와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anges of Site and Space Composition of Gyeongmogung
Author
정송이
Alternative Author(s)
Jung, Song Yi
Advisor(s)
한동수
Issue Date
2014-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17세기 이후 입승대통(入承大統), 형제계승(兄弟繼承), 종통개정(宗統改定) 등 적장자계승과 다른 방법으로 왕위계승이 되는 경우가 많아졌고, 이에 따라 영·정조대 왕의 사친(私親)을 어떻게 예우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궁원제(宮園制)라는 예제가 정립되었다. 궁원제는 왕과 왕비의 경우에는 능묘(陵墓)와 종묘(宗廟), 왕의 사친일 경우에는 원묘(園墓)와 궁묘(宮廟), 그 밖의 왕실가족의 경우 묘(墓)와 묘(廟)를 조성하도록 하였다. 궁원제의 예법에 의해 왕의 생모를 모신 왕실사묘는 대빈궁(大嬪宮), 육상궁(毓祥宮), 저경궁(儲慶宮), 선희궁(宣禧宮), 연우궁(延祐宮), 경우궁(景祐宮), 덕안궁(德安宮) 등이 있으며 왕의 생부를 모신 경모궁(景慕宮)이 있다. 대빈궁, 경우궁, 덕안궁을 제외하고 모두 영·정조대에 건립되었다. 영조 어머니의 사당인 육상궁, 진종 어머니의 사당인 연우궁, 사도세자 어머니의 사당인 선희궁 모두 경복궁의 서쪽인 한성부 북부 순화방(順化坊)에 건립되었다. 사도세자의 사당은 이건(移建) 및 개건(改建)되어 입지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궁묘와 묘(廟)의 공간구성 및 건축적인 모습을 모두 살펴볼 수 있어 궁원제가 정착하는 과정을 도시 및 건축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왕실사묘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사도세자의 사당으로 최초 건립된 사도묘는 기존 왕실사묘가 집중적으로 건립된 북부 순화방에 위치하여 있으며 이를 통해 경복궁 서쪽이 한성부에서 지역적 우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부 숭교방(崇敎坊)은 사묘가 건립된 이후 행정 및 입지특성의 변화가 나타났다. 왕실사묘는 왕실의 제사시설로써 왕위의 정통성을 입증하고 유교국가의 논리를 보여주는 예제건축으로 한성부의 지역 특성 및 변화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였기 때문에 경모궁의 입지 변화 및 도시적인 위상변화를 살펴보았다. 사도세자의 사당이 사도묘(思悼廟), 수은묘(受恩廟), 경모궁(景慕宮)이라는 명칭으로 건립되는 기점이 궁원제가 정착하는 과정을 좀 더 세분하게 나눌 수 있는 기준이 되었다. 위와 같은 시기 구분에 따라 시대적 배경을 궁원제의 확립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입지와 공간구성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사도묘의 모습은 2012년 수원화성박물관에서 진행된 사도세자 서거 250주기 기념 특별전시회에서 공개된 「경모궁구묘도(景慕宮舊廟圖)」의 모습과 『수은묘영건청의궤(受恩廟營建廳儀軌)』의 칸수와 한 곳을 제외한 모든 전각의 규모가 동일한 것을 알 수 있어 사도묘의 모습으로 가정하였으며 도설, 의궤, 예제서 등을 기초로 사도세자 사당의 공간구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영조대에 세워진 왕실사묘는 저경궁을 제외하고 모두 북부 순화방에 건립되었다. 영조의 잠저였던 창의궁에 영조의 손자와 아들의 사당인 효장묘와 의소묘, 영조의 어머니 사당이었던 육상묘 또한 창의궁 내에 건립하려고 하였으나 신하들의 반대로 인해 경복궁 북쪽에 건립하였다. 이후 선희궁과 사도묘가 차례로 북부 순화방에 건립되는 것은 영조의 창의궁에 대한 애착을 비롯하여 육상궁, 선희궁, 창의궁에 자주 행행(行幸)한 기록을 통해 왕실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정치적 목적도 하나의 이유로 작용했을 것으로 본다. 결과적으로 영·정조대 북부 순화방은 한양도시공간에서 의례공간으로서의 우월적 지위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수은묘가 동부 숭교방으로 이건된 후 도시적 위상 변화는 없으나 경모궁으로 개건된 후 새로운 행정체계를 갖추고 관청을 설립하여 한성부 내의 위상이 변화했으며 꾸준한 수목관리를 통한 풍수 지리적 이점을 계속해서 보완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궁원제가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전에 건립된 사도묘는 미즉위 왕세자의 묘(廟)의 위상을 갖고 있지만 독립된 입지에 건립되어 제사시설에 필요한 준비 및 관리공간이 나타나게 되고 궁묘의 모습을 제도화하고 있는 당시의 시대적 상황이 반영되어 영역의 구체적 영역분화 및 재실의 등장 등 왕실사묘의 과도기적 모습이 보인다. 지나친 공간구성의 크기 및 단청안료 때문에 수은묘로 이건된 후에는 재실 및 향대청의 규모가 축소되어 정조가 즉위하기 전까지 모습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아 묘(廟)의 위상에 맞는 공간구성으로 체계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정조가 즉위한 후 수은묘는 궁원제의 적용을 통해 경모궁으로 개건되었다. 종래에 볼 수 없었던 정당영역의 좌우익각, 2단의 월대, 어재실, 악공청과 악기고, 재살청 등 종묘의 모습이 나타난다. 위와 같은 변화는 경모궁이 중사(中祀)로 편입되었고 악기, 무기, 일무(佾舞)를 사용하는 제례절차를 따랐기 때문에 나타난 것이다. 영·정조대는 궁묘(宮廟)와 묘(廟)가 많이 건립될 수 있는 시대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종통의 당위성을 세우기 위한 제도가 필요했다. 이 시기에 건립된 여러 궁묘(宮廟)는 제사를 위한 큰 틀의 공간구성을 공통으로 하고 있으며 육상묘는 육상궁으로, 사도묘는 경모궁으로 격상시켜 한성부 내 왕실사묘 입지의 위상을 높이고 중사(中祀)를 위한 공간구성의 모습을 갖춰나갔다. 궁원제라는 예제를 통해 지속적으로 격상되는 궁묘(宮廟)는 국가적 제례를 완성하여 왕실의 위상을 높이는 중요한 수단이었다는 것을 뒷받침해준다.| It was a controversial subject how to treat king's parents with exceptional respect after their death without king and queen under the reign of king Jeongjo and Yeongjo in th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Gungwonje system(宮園制), royal family divided three part and established the order of rank. Jongmyo(宗廟) was enshrined king's and queen's mortuary tablet. Gungmyo(宮廟) was looked back upon the memory of king's late father and mather who was not king and queen with reverence and affection. Finally Crown prince's mortuary tablet enshrined in the order of Myo(廟). There were conducted Daebingung shrine(大嬪宮), Yuksanggung shrine(毓祥宮), Jeogyeonggung shrine(儲慶宮), Seonhuigung shrine(宣禧宮), Yeonugung shrine(延祐宮), Gyeoengugung shrine(景祐宮) and Deokangung shrine(德安宮) for Kings' mother and Keongmogung Shrine(景慕宮) for King's father by Gungwonje system. Daebingung shrine, Yuksanggung shrine and Seonhuigung shrine were located on Suhwabang(順化坊) in North of Hanseongbu(漢城府). It is a representative sample to take Gyeongmogung Shrine(景慕宮) that can analyze space composition and location characters of Gungmyo(宮廟) because the shrine has three transition from Myo(廟) to Gungmyo(宮廟). Changing space composition, Gyeongmugung was also moved to Sunggyoban(崇敎坊), east of Hanseongbu. While Suhwabang(順化坊) had the significant position like that all of Gungmyo shrines were built before Gyeongmogung were located in, Sunggyobang(崇敎坊) hadn't a character first m but there gradually built up Gungmyo's status. According to transition of space composition and site of Gyeonmogun, the shrine is divided with period of Sadumyo(思悼廟), Suenmyo(受恩廟) and Gyeongmogung(景慕宮). The method can be show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Gungwonje with particular. Comparing with Jongmyo shrine(宗廟), Yuksanggung shrine(毓祥宮), Uisomyo shrine(義沼廟), Changes of Site and Space Composition of Gyeongmogung was analyzed. This study was materialized subject of analysis from Gungmyo(宮廟) to Gyeogmonug and was specified a period. So this was considered the process of Gungmyo as being more important than the result of Gungwonje. Keyword: Royal Shrine, Gungwonje, Sadoseja, Sooeunmyo, Gyeungmogung; It was a controversial subject how to treat king's parents with exceptional respect after their death without king and queen under the reign of king Jeongjo and Yeongjo in th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Gungwonje system(宮園制), royal family divided three part and established the order of rank. Jongmyo(宗廟) was enshrined king's and queen's mortuary tablet. Gungmyo(宮廟) was looked back upon the memory of king's late father and mather who was not king and queen with reverence and affection. Finally Crown prince's mortuary tablet enshrined in the order of Myo(廟). There were conducted Daebingung shrine(大嬪宮), Yuksanggung shrine(毓祥宮), Jeogyeonggung shrine(儲慶宮), Seonhuigung shrine(宣禧宮), Yeonugung shrine(延祐宮), Gyeoengugung shrine(景祐宮) and Deokangung shrine(德安宮) for Kings' mother and Keongmogung Shrine(景慕宮) for King's father by Gungwonje system. Daebingung shrine, Yuksanggung shrine and Seonhuigung shrine were located on Suhwabang(順化坊) in North of Hanseongbu(漢城府). It is a representative sample to take Gyeongmogung Shrine(景慕宮) that can analyze space composition and location characters of Gungmyo(宮廟) because the shrine has three transition from Myo(廟) to Gungmyo(宮廟). Changing space composition, Gyeongmugung was also moved to Sunggyoban(崇敎坊), east of Hanseongbu. While Suhwabang(順化坊) had the significant position like that all of Gungmyo shrines were built before Gyeongmogung were located in, Sunggyobang(崇敎坊) hadn't a character first m but there gradually built up Gungmyo's status. According to transition of space composition and site of Gyeonmogun, the shrine is divided with period of Sadumyo(思悼廟), Suenmyo(受恩廟) and Gyeongmogung(景慕宮). The method can be show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Gungwonje with particular. Comparing with Jongmyo shrine(宗廟), Yuksanggung shrine(毓祥宮), Uisomyo shrine(義沼廟), Changes of Site and Space Composition of Gyeongmogung was analyzed. This study was materialized subject of analysis from Gungmyo(宮廟) to Gyeogmonug and was specified a period. So this was considered the process of Gungmyo as being more important than the result of Gungwonje. Keyword: Royal Shrine, Gungwonje, Sadoseja, Sooeunmyo, Gyeungmogung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196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347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