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8 0

한·중 분류사의 대조 연구

Title
한·중 분류사의 대조 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research about quantifier between Korean and Chinese
Author
조효뢰
Alternative Author(s)
Zhao, Xiao Lei
Advisor(s)
이필영
Issue Date
2014-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한국어 분류사는 수가 많고 의미와 용법도 복잡해서 한국어를 제2언어로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자어 등의 영향을 받아서 한국어 분류사를 배울 때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선행의 연구들에 의하여 한국어 분류사와 중국어 분류사의 개념 및 분류를 검토하고, 분류사의 구성방식을 대조 분석해서 양국 분류사의 수량표현 구성의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사전적 의미와 예문들을 참조하여 한국어 분류사와 중국어 분류사의 의미와 용법을 제시하고 양국 분류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들을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분류사를 전면적으로 인식하고 정확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그들의 일상생활에서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먼저 1장에서는 고찰 목적 및 필요성과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에 대해 제기하여, 한국어 분류사의 연구, 중국어 분류사의 연구, 그리고 한.중 분류사의 대조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해 보고 서술한다. 2장에서는 한.중 양국 언어학자들의 견해들을 바탕으로 한국어 분류사와 중국어 분류사의 개념 및 분류를 이론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3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분류사의 수량표현 구성방식을 대조 분석해서 양국 분류사구의 구성방식에 대해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찾아보고자 한다. 이 장에서 한국어와 중국어 분류사의 단일구성과 중첩구성의 유형을 제시하여 대조 분석을 통해 양국 분류사의 수량표현 구성방식의 특징을 밝히고 양자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4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늘 쓰이는 분류사를 연구대상으로 양국 분류사의 의미와 용법을 대조하여 분석한다. 본고는 사전적 의미와 예문에 의해 한국어 한자어 분류사와 중국어 분류사의 대비와 한국어 고유어 분류사와 중국어 분류사의 대비로 나누어 제시하고자 한다. 전자는 완전 동의, 부분 동의, 한국어에서 의미가 더 있는 경우, 중국어에서 의미가 더 있는 경우, 완전 이의의 5가지로 분류하여 대조하고 후자는 한국어 고유어 분류사에 대응되는 중국어 분류사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2가지로 살펴보고자 한다. 제5장 결론에서는 본 논문의 논의와 문제점을 정리하여 결론으로 제시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182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440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국어교육전공)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