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희선-
dc.contributor.author신연자-
dc.date.accessioned2020-02-27T16:34:57Z-
dc.date.available2020-02-27T16:34:57Z-
dc.date.issued2014-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1688-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3748en_US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는 한국전쟁 이후 세계에서 전례 없이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루었으나, 그 과정에서 몇 가지 성장통을 앓게 되었다. 경제대국이 되었음에도 미혼모자에 대한 경제적지원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사회적 편견 또한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미혼모 문제는 입양과 불가분의 관계로 대부분의 미혼모들이 여전히 양육보다는 입양을 선택하고 있는 현실속에서 정부는 2012년 8월에 입양특례법을 시행하였고 입양특례법 중 제 11조에 의하면 입양진행을 위해 아동의 출생등록이 언급되고 있는바 개정 전, 고아호적 등록이 가능했던 것이 불가능해졌다. 물론 출생한 아이는 출산한 주체인 부모에게 출생등록이 되어야하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그러나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해소되지 않았으며, 여전히 미혼모를 향한 사회적 질타로 인해 미혼모가 아이를 양육을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미혼모가 분만한 아이를 필수적으로 출생등록 하도록 한 입양정책에 대해서는 생각해 볼 일이다. 왜냐하면, 미혼모의 사회적, 심리적 상황들을 이해하지 못한 성급한 정책은 미혼모들을 사지로 내몰았고, 자신들의 미래에 두려움을 느낀 미혼모들이 급기야 아이를 몰래 유기하는 상황까지 초래하였다. 그 동안 사회복지 연구에서 소외되어 온 미혼모자 복지문제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이에 대한 연구와 복지 개선을 통해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미혼모의 아기유기문제를 예방하고자 한다. 따라서 서비스를 직접 제공받고 있는 미혼모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전달체계에 대한 만족도와 그 전달체계가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서울시 소재 미혼모자사회복지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입소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3년 10월 2일부터 2013년 10월 8일까지 일주일동안 실시하였다. 표본 집단은 총 4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요인 별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미혼모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차이에 대한 서비스 만족도와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고, 각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Duncan의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설문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혼모자복지서비스 전달체계가 서비스 공급자에 대한 만족도에 긍정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은 통합성, 적절성, 책임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전문성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제거하였다. 하지만 접근성 요인은 서비스 공급자에 대한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사회의 부정적인 시선을 두려워하여 섣부른 접근을 원치 않는 미혼모들의 특성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또한 미혼모자복지서비스 전달체계가 서비스 이용결과에 대한 만족도에 긍정적으로 미치는 영향력 적절성 요인 하나뿐이었고, 전문성 요인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나머지 접근성, 통합성, 책임성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서비스를 제공할 때 미혼모들의 특성에 정확하게 맞추어 가장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미혼모시설이 외부로부터 철저히 차단되어 있어 설문을 받기 어려웠다는 것이다. 둘째, 서비스 이용자들이 평가한 만족도만을 전달체계 구성 원칙의 유일한 평가요소로 삼았다는 것이다. 셋째, 해당 시설의 직원들과의 친분 때문에 의식적으로 만족한다고 응답하는 성향을 보인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심층적으로 연구에 임할 수 있다면 좀 더 훌륭한 연구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미혼모자 복지서비스 전달체계 성과평가-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신연자-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공공정책대학원-
dc.sector.department사회복지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SOCIAL WELFARE(사회복지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