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재준-
dc.contributor.author윤하정-
dc.date.accessioned2020-02-27T16:33:20Z-
dc.date.available2020-02-27T16:33:20Z-
dc.date.issued2014-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1373-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3469en_US
dc.description.abstract최근 국내 CM(건설사업관리) 시장의 규모는 최근(2011년)까지 CM 계약실적금액 총 1,893,961,000,000원으로, CM 도입시기부터 2007년도까지의 성장률은 398%로 활발히 성장해왔으나, 2008년부터 2011년도까지는 각각 전년도 대비 69%, 116%, 93%, 122%로 미비하게 증감하는 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다.(국토해양부 CM 능력 공시현황 분석자료) 반면, 국토해양부에서 공시한 CM 능력평가 공시 자료에 의하면, CM 시장에 참여하기 시작한 국내 기업들은 2010년 68사, 2011년 171사로, 2011년도에 전년도 대비 251%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CM 기업의 수가 급격히 늘어난 것을 나타냈다. 이는 정체되고 있는 CM 시장 안에서 관련 기업들의 증가로 인한 시장경쟁구조 심화에 대한 문제점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CM 시장의 정체성과 급증한 CM 기업에 대한 CM 시장의 경쟁 구조 변화를 알기 위해 시장집중도 및 DEA 모형의 Malmquist 생산성 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CM 시장의 기업별 경쟁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BCG Matrix로 각 기업을 비교분석 하였다. 시장집중도에서 분석 가능한 데이터의 CM 기업 54사를 대상으로 5년간(2007~2011년) 비교한 결과, 기업 번호 4, 20, 41, 47, 54번, 각각 KW, SW, TP, HM, HR 기업이 다른 기업에 비해 매년 꾸준히 높은 시장점유율을 나타냈다. 이는 CM 시장이 소수 기업에 의해 독과점유 되고 있는 것을 뜻하였으나, 매년 시장점유율이 고르게 퍼져나가는 형태를 나타냄으로써 완화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DEA-Malmquist 생산성 분석에서는 분석 가능한 데이터의 CM 기업 22사를 대상으로 3년간(2009~2011년) 비교한 결과, T-2(2009~2010년)에서는 22사 중 8개의 기업만, T-3(2010~2011년)에서는 7개 기업의 생산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는 생산성이 감소하였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BCG Matrix를 이용하여 CM 시장 기업별 경쟁 구조를 살펴본 결과, 분석 가능한 22사 중 DMU 8인 SW 기업이 스타(Star)기업으로, 고점유·고생산성인 기업이며, 높은 수익성과 높은 기회 즉, 경쟁력이 제일 좋은 기업임을 나타냈다. 이 외 DMU 2, 17, 22인 KW, HM, HR 기업은 캐시카우(Cash cow)로, 고점유·저생산인 기업이며, 시장지위가 확립되어 있어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에 안정적인 기업이나, 미래 발전 가능성은 높지 않은 기업으로 나타났다. 또한 DMU 19인 HL 기업은 물음표(Question mark)로, 저점유·고생산인 기업이며, 생산성은 높지만 시장지위가 낮아 앞으로 어떻게 될지 의문인 기업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나머지 대다수의 기업은 저점유·저생산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그(Dog)라고 하며, 수익성은 낮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경쟁력이 없는 기업으로, 현재 국내 CM 시장 대다수 기업들의 경쟁 현황을 반영하며 본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한편, 본 연구를 수행하며 CM 시장 분석을 위해 유효한 자료를 수집하는 데 있어 한계가 있었다. 이는 건설사업관리자의 업무수행능력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발주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축적되고 있는 CM 공시자료가, 현재 자율적인 CM 능력평가신청으로 인해 많은 기업들이 정보 제공에 동의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여 체계적으로 축적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향후 CM 시장을 정확히 분석하고 진단하기 위해서는 CM 공사자료를 체계적으로 축적하기 위한 제도적 방안 마련 및 시장의 경쟁력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평가 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CM 기업을 비롯한 시장의 이해관계자들에게 CM 시장의 경쟁 구조를 진단하고 기업의 경쟁력을 비교할 수 있는 실증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시장에서 경쟁력을 진단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건설사업관리시장의 기업별 경쟁 구조 분석-
dc.title.alternativeAn Analysis for Market Competitive Structure of the Construction Management Company-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윤하정-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Youn, Ha Jung-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건축환경공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건축공학-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USTAINABLE ARCHITECTURAL ENGINEERING(건축환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