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8 0

라스 폰 트리에 영화에 나타난 운동-이미지의 세 양상

Title
라스 폰 트리에 영화에 나타난 운동-이미지의 세 양상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hree aspects of the movement-image on Lars von Trier: Focusing on the concepts of Gilles Deleuze
Author
이승엽
Advisor(s)
정태수
Issue Date
2014-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라스 폰 트리에 영화의 표면에 드러난 상징적인 이미지가 아닌 그 이면에 있는 본질적인 이미지에 대한 논의이다. 본질적 이미지는 들뢰즈의 이미지론을 중심으로 파악할 수 있는데, 그것은 단순히 폭력적이고 그로테스크한 이미지가 아니라 우리에게 사유를 촉발하게 하는 어떠한 기호라 할 수 있다. 들뢰즈는 예술이 이미지를 제시하여 우리에게 사유를 강요하는데 영화는 이러한 사유를 생산하는 대표적인 예술이라고 하였다. 그는 베르그손의 이미지론을 바탕으로, 영화 이외 예술에서는 볼 수 없었던 운동성이 영화에서는 즉자적으로 나타나 그 자체가 이미지이자 운동인, 운동-이미지 개념을 제시한다. 들뢰즈는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체계를 우주라고 하며, 이 중심이나 축이 없는 세계에서 이미지는 내재성의 평면 위에 즉자적으로 존재하는 무한집합들이고 물질이다. 그러므로 이미지와 운동과 물질은 같은 것이며, 운동-이미지의 총체가 실재적인 물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물질적 우주에 존재하는 운동-이미지는 현실의 재현이 아닌 실재 그 자체이며, 인간의 주관적인 지각에서 벗어난 탈중심적인 카메라는 그러한 현실의 조각들인 운동-이미지를 지각하여 그 실체가 드러나게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라스 폰 트리에의 영화에 나타난 이러한 운동-이미지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 이미지들이 어떤 식으로 삶의 본질과 진실을 보여주는지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운동-이미지에는 카메라의 지각으로 인해 몇 가지 변이된 이미지가 있는데, 라스 폰 트리에의 영화에는 그 중 지각-이미지, 정감-이미지, 충동-이미지의 세 가지 성격이 가장 강하게 나타난다. 우선 베르토프가 말한 카메라-의식은 인간의 주관적인 지각을 넘어 탈중심화된 객관적인 지각으로 나아가려는 경향성을 가지기 때문에 영화-사실과 같은 진실을 포착한다. 이를 바탕으로 라스 폰 트리에 영화에서 나타난 지각-이미지에 대해 그가 영화-눈을 통해 어떤 식으로 운동의 물질적 요소를 보여주는지 그리고 어떻게 현실의 조각들을 이미지로 형태화하는지 분석한다. 정감-이미지에서는 클로즈업에 대한 논의와 함께 그의 영화에 나타난 이미지가 단순히 부분의 확대나 강조가 아닌 이질적인 차원으로 연결되는 것을 확인한다. 이 이미지는 모든 시공간적 사건과 시간에서 벗어난 순수한 잠재태적 이미지이다. 마지막으로 라스 폰 트리에 영화의 공간은 역사적이나 사회적인 공간의 재현이 아니라 원초적 충동이 있는 근원적인 세계이다. 그 공간에는 비정형적인 현실의 조각들이 가득 차 있지만, 그것이 마치 주어진 환경 안에 위장된 것과 같이 잠재되어 있다. 이처럼 위장된 삶의 진실은 그 근원적인 세계에 내재해 있는 충동의 조각들을 시간의 시작과 끝으로부터 탐색하고 끌어모으는 이미지, 즉 충동-이미지로 드러난다. 본 논문은 지배적인 영화 관람 방식과는 다른 방식을 라스 폰 트리에의 영화에서 찾는다. 그 방식은 관객이 유기적인 서사구조에 몰입이나 교감을 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감각되기 이전의 운동-이미지와 같은 낯선 기호들과 마주치게 하는 방식이다. 지각, 정감, 충동과 같은 파편적인 이미지들은 시각적 이미지 너머의 진실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사유를 촉발시킨다. 이것은 인간 위주의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좀 더 객관적인 체계의 우주적 차원에서 세계를 바라볼 수 있게 해주는 방식이다. 결국, 우리는 이를 통해 삶의 본질과 마주할 수 있는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125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369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