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9 0

대학도서관 주제자료실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Title
대학도서관 주제자료실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Author
장아리
Advisor(s)
황연숙
Issue Date
2014-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대학도서관은 특정 전공을 가지고 있는 대학생의 학습 및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관이다. 다양한 전공특성의 이용자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2005년 이후 대학도서관에 주제화가 처음 도입되었다. 이용자 중심의 적극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도서관 환경의 변화로 국내에서 주제화 서비스를 도입한 대학은 현재 70여개로 늘어난 상황이다. 이는 주제별로 세분화 된 운영 및 서비스 뿐 아니라 자료실의 장서배치와 자료실 공간운영에도 변화를 가지고 왔다.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학도서관은 일반열람실 위주의 공부방 기능에 치우쳐 도서관의 본질적 기능이 약화되어 있는 현실이다. 즉, 자료의 열람 및 대출이나 이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공간보다는 개인자료를 이용하는 학습 장소로서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주제자료실이 이용자의 전공특성에 따라 차별적인 계획이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진행되었으며, 일반열람실 이용에 치우쳐 있는 대학도서관 이용자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주제자료실 환경을 조성하여 그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의 전공특성을 고려하여 대학도서관 주제자료실의 공간계획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는 대학도서관 건립과 리모델링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고찰을 통해 도서관에서의 공간계획요소를 추출하고 전공에 따른 중요도 차이를 기반으로 공간평가 항목을 도출하였으며, 사례의 공간특성 평가를 통해 주제자료실을 유형화 하였다. 전공특성에 따른 중요 요인을 파악하고 실제 사례의 이용자 평가를 통한 만족도와 선호도를 분석하여 공간계획을 제시하였다. 사례분석을 위한 조사대상 대학도서관은 서울소재 4년제 총 14개 대학의 15개 도서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학도서관 이용자 43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통계분석을 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χ²검정, t-검정, F-검정, 요인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이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 주제자료실에서 이용자의 전공특성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공간계획요소는 기능적, 사회적, 심미적, 물리적 4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기능적 요인은 이용행태에 영향을 주는 공간 및 가구의 배치특성이며 사회적 요인은 프라이버시 수준을 나타내는 심리환경 특성으로 개인열람석의 형태 및 개인열람공간 면적 등이 있다. 심미적 요인은 미적 감성에 영향을 주는 디자인 특성으로 장식요소, 그래픽디자인 등의 요소가 있으며, 물리적 요인은 시각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색채 및 마감재 등의 통합 이미지를 나타내는 요소이다. 이용자의 전공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면 자연과학계열 전공자는 물리적 요인과 심미적 요인에 대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높았으며, 인문사회계열 전공자는 개인의 프라이버시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요인에 대해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용자의 전공특성 간 명확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대학도서관 주제자료실 공간계획시 자료실의 학문 주제에 따른 이용자 전공특성을 고려하여 차별적으로 공간계획요소를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전문화 되어 있는 전공특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도서관의 장서를 주제별로 구분하여 이에 따라 자료실 공간을 운영하고, 주제와 관련된 전문사서를 배치하여 이용자와의 접근성을 높이도록 한다. 현재 많은 대학도서관에서 주제화 서비스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대부분 단일건물의 중앙도서관에 장서를 단순히 십진 분류법 순으로 수장하고 주제전문사서가 공용사무실에 위치하여 주제자료실 이용자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소극적 공간운영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보다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주제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자료실 공간을 주제별로 구분하고 각 주제자료실 내부 또는 주제자료실에서 접근이 용이한 공간에 주제전문사서 공간을 계획해야 한다. 셋째, 대학도서관의 주제자료실은 공간특성 분석을 통해 유형화 될 수 있다. ◾주제자료실과 다른 기능 실들의 공간구성 관계에 따라 기능분리형, 기능연계형, 기능복합형으로 구분된다. 각 공간을 분리시켜 배치한 기능분리형 도서관의 비율이 많았으나, 최근에 신축되거나 리모델링 된 도서관은 각 기능의 공간을 서로 연계하여 개방적으로 계획하는 기능 연계형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자료실의 자료공간과 열람공간의 상대적 면적비율에 따라 자료대출형과 자료열람형으로 구분된다. 개관한지 오래된 도서관 일수록 열람공간 면적이 작은 서가 위주의 자료대출형 비율이 높았다. 이는 연간 장서 증가량에 따른 서고면적의 부족 현상으로 인해 열람공간이 점차 자료공간으로 변용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자료공간의 서가방식을 이동식 밀집배가(Movable Compact Shelving)방식으로 부분적 교체하는 등 열람공간의 면적 확보를 유지하면서 장서량을 최대로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배가방식 도입으로 열람공간의 면적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제자료실의 자료공간과 열람공간의 배치관계에 따라 서가중심형(서가중앙형, 서가분리형)과 열람중심형(열람중앙형, 전체형, 그룹형)으로 구분된다. 실 중앙에 서가가 밀집된 서가중앙형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 유형은 대량의 장서 보관량이 확보되고 서가 주변으로 위치한 열람공간의 채광이 유리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열람공간이 폐쇄적으로 계획되고 다양한 열람형태를 제공하기 어려워 다른 유형의 가구배치 방식과 부분적으로 혼합하여 열람공간의 선택폭을 넓힐 수 있도록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제자료실 열람공간의 공용열람석과 개인열람석 비율에 따라 개인열람형, 공용열람형, 열람분배형으로 구분된다. 열람공간은 4인용 이상의 개가형 책상 위주로 계획된 공용열람형의 비율이 높았으나 이용자들은 개인영역 확보를 위해 다른 사람과 간격을 두어 좌석을 이용하고 있어 실제 공용열람석의 효율은 개인열람석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열람석 계획시 좌석수를 늘리기에 앞서 개인열람석의 비율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대학도서관 주제자료실의 이용자 평가는 이용자의 전공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의 전공특성에 따라 주제자료실 이용목적이 다르게 나타났다. 자연과학계열이나 인문사회계열은 개인자료를 위한 개인학습 위주로 자료실을 이용하는 반면 예체능계열은 수장 자료를 열람하는 목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용자의 전공특성에 따라 만족도에 차이가 있었다. 인문사회계열은 기능적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자연과학계열은 사회적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그러나 인문사회계열이 공간계획에서 특히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적 요인과 자연과학계열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심미적, 물리적 요인에 대해서는 각각 낮은 만족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용자의 요구가 충족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용자의 전공특성에 따라 자연과학계열과 인문사회계열은 유사하게 나타났고 예체능계열은 차이가 있었다. 자연과학계열과 인문사회계열은 주제별 자료실 간의 연계와 열람공간의 개방화, 열람책상의 프라이버시 보호 등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나는 공통점을 보였다. 반면 예체능계열은 독립적으로 분리된 주제자료실을 선호하고 주제자료실 내의 열람공간에서도 자료공간과의 시야가 차단할 수 있는 공간구분을 요구하여 전공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전공특성과 이용자 평가를 통해 도출한 대학도서관 주제자료실의 공간계획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자연과학 주제자료실은 인문사회 주제자료실과 부분적으로 연계하여 개방형 자료실을 제공하고, 연계된 공간에 자연과학 주제자료실 이용자와 인문사회 주제자료실 이용자가 공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직원 카운터 및 주제전문사서 서비스 공간을 설치한다. 실의 중앙에는 서가가 밀집하도록 하되 가장자리는 낮은 서가를 이용하여 공간의 시각적 여유를 주도록 한다. 서가와 서가 사이에 부분적으로 공간을 확보하여 위요감을 느낄 수 있는 그룹형 열람공간을 제공한다. 실에서의 열람공간은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계획하되 면적비율이 실 전체 20% 이상이 되도록 한다. 열람공간은 개방적으로 계획하되 공용열람가구의 비율을 늘리고, 개인열람가구는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이 강한 캐럴(carrel)형 열람석을 높은 비율로 배치한다. ◾인문사회 주제자료실은 자연과학 주제자료실과 부분적으로 연계하고, 연계된 공용 공간에 휴게 및 독서가 가능한 개방형 라운지를 계획한다. 열람공간의 면적을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로 구성하되 실 전체 면적의 15% 전후로 계획하고 중앙에 밀집된 서가영역인 자료공간의 면적 비율을 높게 계획한다. 열람공간은 1인용 책상 및 Bar형 책상 등 개인열람가구의 비율을 늘리고 그룹으로 이용 가능한 가변적 스터디룸을 설치하되 유리소재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개방되도록 한다. ◾예체능 주제자료실은 다른 주제자료실과는 구분하여 독립적으로 계획하는 것이 좋다. 중앙도서관 건물 내에서 구조적으로 분리하여 계획하거나 단과대학에 독립적으로 계획한다. 예체능계열 이용자는 전문도서관 형태로 분리된 공간구분형에 대한 선호가 높았는데 이는 현재 법학도서관이나 의학도서관 위주로 운영되는 전문도서관 형태에서 예체능 전문도서관 계획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가 될 수 있다. 실의 중앙은 개방성 있는 열람공간을 계획하고, 벽면이나 파티션, 서가 등을 이용하여 자료공간과 분리된 별도의 열람공간을 계획한다. 또한 주제자료실 내 예체능 주제전문사서 공간을 계획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123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365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실내환경디자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