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2 0

BIM을 활용한 복합용도 시설물 계획단계에서의 단위 공간 별 개산견적을 위한 부위별 분류체계 연구

Title
BIM을 활용한 복합용도 시설물 계획단계에서의 단위 공간 별 개산견적을 위한 부위별 분류체계 연구
Author
강신엽
Advisor(s)
김주형
Issue Date
2014-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건설사업에서의 사업타당성 검토, 설계대안의 평가 및 선정, 사업진도관리 등 여러 목적에 따른 주요 의사결정은 사업정보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기획 및 계획설계 단계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초기단계에서의 개산견적은 도면과 시방서 등 설계도서가 확정되지 않아 정보가 부족한 상태에서 주로 전문가들의 지식과 과거 사례를 기반으로 한 공사비 예측방법을 선호한다. 하지만 복합용도 시설물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초기단계에서의 개산견적은 유사프로젝트를 경험한 실적 데이터 및 전문가들의 경험 및 직관에 의존한 추정하는 방법과는 다른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방법이 요구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설계초기단계에서의 공사비 예측은 실시설계단계에서 확정된 설계안에 따른 견적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으로 사업예산이 초과할 경우 초과된 비용을 삭감하기 위하여 시설물의 마감수준을 임의적으로 낮추는 등 전체 설계의 통합품질을 저해하는 행위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결국 최종 결과물이 발주자측의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건축물의 원가절감 및 관리기법이 발전하면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파라메트릭 객체 정보와 건설정보 분류체계를 활용한 공사비 예측이 대두되고 있다. BIM을 활용한 개산견적은 주로 실시설계단계에서의 부재 및 골조의 물량산출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며 공공주택 및 학교시설물 같이 단일시설물의 물량산출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도면표현, 재질, 형태 등의 세부정보 등 구체적 정보가 한정된 계획 설계단계 에서 물량을 산출하기에 어려움이 나타난다. 따라서 기획설계단계와 기본설계단계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견적 방법이 필요하다. BIM환경에서의 건설정보가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정확하고 원활한 정보의 교환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3차원 객체 속성 등에 관한 분류체계의 확립이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 건설정보 분류체계는 각각 상이한 분류방식 및 코드체계를 사용하고 있어 건설정보의 전달과 통일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국외 분류체계와 비교 시 국내 분류체계는 대부분 공사 진행 과정에서 실시되는 공종별 분류체계로 분류되어 공사 착수 전 초기단계에서의 공사비 산출을 위한 분류체계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복합용도 시설물의 공간 별 개산견적을 위해 현재 국내에서 통용되고 있는 공종별 분류체계 대신 초기 요소단위의 분류체계를 제시하고자 유럽의 건설정보 분류체계인 Uniclass와 북미지역의 Uniformat을 매핑하여 국내 실정에 효과적인 분류체계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분류체계에는 각각의 객체 부위별 분류체계와(Standard Module Elements)와, 복합시설물 공간용도코드, FID(Finish Identity) 코드를 제시하여 단위 공간 별 공사비 산출 방법을 제시하고 실제 OO시 OO역 복합환승센터를 사례로 적용하여 공간단위 공사비를 산출하였다. 따라서 초기단계에서의 수량 산출 과정에서 구축된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에 객관적 정보를 사업 참여자들에게 제공하여 이해관계자들 간의 상이한 견해 차이를 줄일 수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088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323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FRONTIER ARCHITECTURAL AND URBAN ENVIRONMENTAL ENGINEERING(첨단건축도시환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