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1 0

Exploring the Consumption and Saving Propensities of Filipino Migrant Workers in South Korea:

Title
Exploring the Consumption and Saving Propensities of Filipino Migrant Workers in South Korea:
Other Titles
한국의 필리핀 이주노동자의 소비 성향과 저축에 관한 연구: 수명주기 모델 분석을 중심으로
Author
조프리
Advisor(s)
Youen Kim
Issue Date
2014-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Filipino migrant workers under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in South Korea earn an income of at least four times higher compared when they were in the Philippines. However, their actual savings were reported to be consistently very low relative to their potential savings. This study explores and defines the consumption and saving propensities of Filipino migrant workers in South Korea amidst higher incomes using the Life Cycle Model. It identifies the demographic, economic and socio-behavioral drivers of their consumption and savings as well as examines their perception on these driving factors.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mpirical data reports that there are gaps in the Life Cycle Model to explain the case of Filipino migrant workers, particularly in the early age life period (below 40 years old) as majority of them fall under this period. Most of them retire from their work in South Korea in this life period. The gap in their high propensity to consume is primarily induced by their high transitory income and not by borrowing against future incomes. Their propensity to earn is high (as opposed to low) because they receive a high transitory income on top of their low permanent income. However, this high income is good only while working in South Korea. Both the model and the case of Filipino migrant workers show low propensity to save, although the latter presents a high potential precautionary savings from their transitory income. This study speculates that the anticipation of higher incomes and savings with lower propensity to consume in the middle years period (between 40 to 60 years old) is inconsistent with the model because they have low propensity to earn based on their limited education and low skills. Moreover, the potential high savings from their high transitory income during the early life period have not been transferred to the next period because it was already spent. Upon retirement (ages 60 years and older), they are expected to have no savings to consume since they were not able to accumulate any money during their middle life years in which they show low propensity to earn, relative to their transitory income in their early life period. The consumptions of Filipino migrant workers, including their dependents, rely mainly on their disposable income (Keynes’ Consumption Theory). They increase their consumption as their income increases, however not a linear relationship. Most of them are not forward-looking, as opposed to Fisher’s Intertemporal Consumption, and therefore do not reflect any precautionary savings. It is inconsistent to Friedman’s Permanent Income Hypothesis because they do not show any consumption smoothing behavior. Their permanent and transitory consumptions are dependent of their current income. Accordingly, their consumption with their high transitory income has become their permanent level of consumption. They also behave with pretense that their high transitory incomes have no end and do not discriminately anticipate any transitory consumptions such as emergency hospitalization. The income of migrant workers is defined as a tradeoff between their expenditures and savings. Their high propensity to consume at par to their transitory income explains their low savings. The factors that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high transitory and permanent consumption expenditures include: 1) global economic crisis that resulted to unfavorable foreign exchange rates and inflation; 2) emotional state pushed by social pressure and inner struggles; 3) stress that goes with high expectations from dependents; 4) culture of consumerism through change in lifestyles influenced by “keeping-up-with-the-Jones” (Duesenberry) and providing “instant gratification” (Laibson). Consequently, their perceptions on these factors coincide with their actual situation. This study has principal implications for training and education in personal finance of migrant workers and their family members. It could contribute to establish public policy, both for the South Korean and Philippine governments, to help migrant workers achieve their financial goals and cope with their financial burden. |한국의 고용허가제 하의 필리핀 이주노동자들의 임금소득은 필리핀 현지 노동자보다 최소한 4배 높다. 그러나, 그들의 실제 저축은 그들의 잠재적 저축 능력에 비해 항시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 논문은 필리핀 현지 노동자보다 더 높은 소득을 올리는 한국 내 필리핀 이주 노동자의 소비와 저축 성향에 대해 수명주기모델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모델을 통해, 본 논문은 소비와 저축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경제적, 사회행동적 추동 요인들을 제시하고, 그러한 추동 요인들에 대한 필리핀 이주 노동자들의 인식을 탐구하였다. 이 논문의 질적 및 양적 연구의 결과는 한국 내 필리핀 이주 노동자들의 사례, 특히 이들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40대 미만의 연령층 집단의 사례를 설명함에 있어, 수명주기모델은 잘 맞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이 모델은 이전의 대출이 높은 소비 성향의 원인이고, 일시적 소득 증가는 그들의 현재 소비와 관계가 없다고 말하고 있으나, 이는 필리핀 이주 노동자의 사례에 부합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들의 높은 소비는 일차적으로 일시적인 높은 소득에 의한 것이지 미래 소득을 고려한 대출에 의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둘째로, 이 모델은 일시적 소득 증가는 미래 대비 예비 저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하고 있지만, 그러한 경향은 필리핀 이주 노동자의 경우에서 보여지지 않는다. 이 연구에 의하면, 중년기(40에서 60세)에는 더 높은 소득과 저축을 하는 가운데 낮은 소비 성향을 보이리라는 일반적 예측은 수명 주기 모델과 일치하지 않음을 보여주는데, 이는 근본적으로 필리핀 이주 노동자들이 낮은 교육 및 기술 수준으로 인해 소득수준이 낮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필리핀 이주 노동자들이 인생의 젊은 시기에 벌어들이는 높은 일시적 소득은 그 시기에 이미 소비해 버리기 때문에 중년기로 이전되지 않는다. 은퇴 후(60세 이후)에, 그들은 소비할 수 있는 저축이 없을 것으로 예측되는데, 그들은 젊은 시기의 높은 일시적 소득과 비교하여 낮은 소득 수준을 보이는 중년기 동안 저축을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케인즈 이론에 따르면 부양가족을 포함한 필리핀 이주 노동자들의 소비는 주로 가처분 소득에 의존한다. 그들은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소비도 증가하지만, 소득과 소비 사이에 선형적 관계(linear relationship)를 보여주지는 않는다. 그들 대부분은 피셔의 시제간 소비(Intertemporal Consumption) 이론과는 달리 미래계획성을 보여주지 않으며, 따라서 예비 저축도 하지 않는다. 또한 그들은 소비 평활화(consumption smoothing) 행동을 전혀 보여주지 않기 때문에 프리드만의 항상소득 가설과도 부합하지 않는다. 그들의 항상소비와 일시적 소비는 그들의 현재 소득에 의존한다. 따라서 일시적 소득이 높은 상황에서 그들의 소비는 항상소비 수준이 된다. 또한 그들은 높은 일시적 소득이 마치 계속될 것처럼 행동하며, 응급 입원과 같은 일시적 소비를 식별력 있게 예측하지도 않는다. 필리핀 이주 노동자들의 소득은 지출과 저축 사이의 균형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들의 일시적 소득에 따른 높은 소비 성향은 그들의 낮은 저축을 설명해 준다. 그들의 높은 일시적 소비 및 항상소비 지출과 의미 있는 관련 요소들은 다음의 것들을 포함한다: 1) 불리한 환율과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지는 세계경제 위기; 2) 사회적 압력과 마음 고생에 의한 감정 상태; 3) 부양가족의 높은 기대에 따른 스트레스; 4) 유행에 집착하고 즉각적인 만족감을 추구하는 생활스타일에 따른 소비주의 문화 등이 그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들 요인들에 대한 필리핀 이주 노동자들의 인식은 그들의 실제 상황과 일치한다. 이 연구는 필리핀 이주 노동자들과 그들 가족들의 재정 문제에 대한 훈련과 교육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하겠다. 또한 이 연구는 한국정부와 필리핀 정부 모두가 필리핀 이주 노동자들이 재정적 목표를 달성함과 동시에 재정적 부담에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공정책을 구축하고 시행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4) culture of consumerism through change in lifestyles influenced by “keeping-up-with-the-Jones” (Duesenberry) and providing “instant gratification” (Laibson). Consequently, their perceptions on these factors coincide with their actual situation. This study has principal implications for training and education in personal finance of migrant workers and their family members. It could contribute to establish public policy, both for the South Korean and Philippine governments, to help migrant workers achieve their financial goals and cope with their financial burde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058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469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S](국제학대학원) > KOREAN STUDIES(한국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