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8 0

성형외과의원의 스페이스 플랫폼 구축을 위한 기초 조사 연구

Title
성형외과의원의 스페이스 플랫폼 구축을 위한 기초 조사 연구
Other Titles
The basic Investigation research for building a Space Platform of the Plastic Surgical Clinics
Author
양지영
Alternative Author(s)
Yang, Jee Young
Advisor(s)
장순각
Issue Date
2014-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에 있어 사회적, 경제적인 환경의 변화와 함께 삶의 질이 향상되고 여유를 찾은 사람들은 질병이 목적이 아닌 미용을 목적으로 또는 자신의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성형외과를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의료관광 산업이 법제화된 2009년 이래 급속도로 성장한 국내 의료관광 시장의 성장률은 점점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최근 성형외과 의원들의 개원도 매우 빠른 증가율을 보이는 것이 현실이며, 다양한 트렌드에 맞게 주기적으로 개원 또는 리모델링을 해왔다. 그러나 공간이 바뀌거나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에 따라 전체적인 설계 진행과정을 새롭게 다시 진행해야했기 때문에 그로인한 시간 및 비용이 매우 비효율적이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스페이스 플랫폼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형외과 의원의 현장사례조사를 통해 공간구성 및 특성들을 분석 후, 성형외과의원 공간현황에 따른 카테고리를 개발하여 성형외과의원 종사자들의 인터뷰를 통해 앞으로 리모델링 또는 개원 할 성형외과의원 설계에 접목 가능한 정형화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성형외과의원으로는 1985년 이후부터 2014년 현재까지 성형외과 개원 전문의 현황 45%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서울에 위치한 성형외과의원을 연구의 범위로 선정하고, 의료관광산업이 법제화된 2009년 이후에 개원하거나 리모델링한 성형외과의원으로 연구범위를 선정하였다. 그 중 전문인테리어 잡지, 단행본을 통해 앞선 조건이 충족된 강남구 9곳, 서초구 3곳, 성동구 1곳의 총 13곳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조사대상지 13곳을 현장 방문하여 일반적 개요, 실의구성, 동선구성, 면적구성을 바탕으로 성형외과의원의 공간구성을 분석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스페이스 플랫폼을 위한 카테고리화 작업 및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형외과의원 분석 결과를 토대로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형외과의원의 실의구성 분석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성형외과의원의 진료 공간 현황은 진료실, 치료실, 상담실, 수술실, 소수술실, 피부관리실, 레이저실, 제모실, 입원실, 회복실, 치과교정실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이중 진료실, 상담실, 수술실은 모든 성형외과의원이 갖추고 있었다. 최근 성형외과의원의 공간구성에는 기존의 진료실과 수술실 외에도 피부관리실, 레이저실, 제모실과 같은 피부과 시설들이 포함되어 성형외과의 원래 목적인 미용성형 후에도 피부 관리까지 해결 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고 있었다. 환자입장에서는 수술을 받은 의원에서 추후 관리까지 받으며 더 효율적이고 안정감과 만족감을 느끼는 공간으로 성형외과의원이 변모하여야 하는 시점이라고 판단된다. 2) 성형외과의원의 진료지원 공간 현황은 접수/안내, 수술준비실, 차트실, 소독실, 사진실, X-ray실, 초음파실, CT촬영실, 세탁실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이중 접수/안내는 모든 성형외과의원이 갖추고 있었다. 진료공간과 같은 맥락에서 외과적 수술을 위한 공간이 우선 나타났으며 차트실과 같이 환자들 정보관리를 위한 공간이 다음 순서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근 컴퓨터의 발달로 많이 사라지고 있는 추세였으며, 의원 공간 내에서 최신 IT기술을 통한 더 효과적인 홍보나 수술방법 및 과정을 환자들에게 쉽게 이해시킬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3) 성형외과의원의 직원 공간은 직원들을 배려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했으며, 다른 직원공간들과 혼용되어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 같은 공간 내에 직원들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배치와 구성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4) 성형외과의원의 환자 공간 현황은 대기공간, 파우더룸, 환자탈의실, 샤워실, 테라스로 나타났다. 파우더룸은 작은 면적이라도 배치하여 환자중심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었으며, 샤워실을 갖추고 있는 의원의 경우 가슴 전문분야 의원인 것으로 봐서 샤워실의 유무와 전문분야의 관계가 있을 것으로 유추된다. 또한 조사대상 병원관계자의 인터뷰 결과 테라스의 경우 규모가 큰 의원일수록 선호하는 경향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환자들을 위한 공간을 중요시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5) 성형외과의원의 공용 공간 현황의 경우 화장실과 복도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화장실의 경우 의원 내에는 없더라도 건물 내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성형외과의원의 특성상 환자들이 불편함을 겪을 수 있는 부분이며, 이러한 부분까지 보완 가능한 대책이나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6) 성형외과의원의 VIP공간현황은 VIP 대기실, 회복실, 상담실로 나타났으며, 다른 고객들과의 접촉을 최대한 피하며 프라이버시를 지킬 수 있도록 구성하려 했었으나 불가피한 동선의 겹침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VIP공간에 대한 동선과 공간 구성에 대한 연구는 따로 진행이 되지 않았으므로 그에 대한 심화연구를 진행하여 중요고객들의 프라이버시를 완벽히 지킬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기를 바란다. 둘째, 성형외과의원의 동선구성 분석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성형외과의원의 동선은 크게 환자와 직원의 동선으로 나뉠 수 있었으며 환자의 경우 방문목적에 따라 초진, 수술, 재진화자로 나누어 동선이 나타났으며, 직원의 경우 간호사, 의사의 동선이 나타났다. 환자의 경우 방문목적에 따라 성형외과의원 내부의 공간들을 제한적으로 이용하고 있었으며 자신의 목적에 맞는 동선을 이용할 것이 예측 되었다. 그에 반해 간호사의 동선을 살펴보면 성형외과의원의 곳곳에 가장 많이 나타나는 형태를 보여주고 있었으며, 간호사가 주로 대기하고 있는 안내/접수공간에서 환자의 관찰이 필요한 회복실간의 동선 고려가 필요하다. 또한 의사의 경우는 최대한 환자의 동선과 겹치지 않으면서 진료실 및 수술실 동선을 최소화하여 자신만의 영역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공간 구성으로 사료된다. 2) 성형외과의원의 동선구성을 살펴보면 크게 세 가지의 형태를 띠고 있었다. 이는 성형외과의원의 규모에 따른 차이가 아닌, 평면의 형태에 따라 분류가 되었다. 먼저, 평면의 모양이 정사각형에 가까울수록 가운데 안내데스크나 다른 실을 마련하고 그 주변으로 동선이 형성되는 순환형이 있었으며, 가로축이나 세로축 중 한쪽만 유난히 긴 형태의 평면에서는 하나의 통로를 두고 좌우로 실이 구성되어 있는 복도형, 이 두 가지 형태의 평면이 혼합된 복합형 동선이 나타났다. 순환형의 경우 자연스러운 동선의 흐름과 내원 환자들 간의 동선의 부딪힘이 줄어드는 장점을 갖고 있고, 복도형의 경우 ㅡ자복도형, ㄱ자복도형, 이중복도형으로 나뉘었으며 ㅡ자복도형이 면적의 경제성과 운영효율성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평면형이었다. 이러한 동선의 결과는 성형외과 의원을 설계할 때 평면의 전체 형태만을 갖고도 어떠한 공간이 만들어 질 수 있을지 추측할 수 있는 하나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하지만 직접적인 관찰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한 동선 파악을 위해선 병원의 적극적 협조를 통한 면밀한 관찰조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성형외과의원의 면적구성 분석 결론은 다음과 같다. 성형외과의원의 공간별 면적구성은 진료공간이 전체면적 중 43%, 진료지원 공간 9%, 직원 공간 8%, 환자 공간 17%, 공용 공간 21%, VIP 공간 2%로 나타났다. 성형외과의원의 전체면적 중 50%가까운 공간을 진료공간으로 구성하고 있었으며, 의원의 규모가 클수록 진료공간의 비중이 줄어들고 진료지원 공간 또는 직원공간이 늘어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면적에 따라 소·중·대 규모로 나눌 수 있었으며, 면적이 클수록 환자의 공간은 줄어들며 공용공간과 VIP공간이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전문분야에 따라 대기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리 예약하는 환자들의 증가로 면적 대비 대기공간이 줄어들고, 실의 세분화로 인한 복도의 증가로 공용공간이 늘어나기 때문으로 유추된다. 넷째, 성형외과의원의 카테고리 분류는 면적, 전문의 수, 전문분야, 평면형태에 따라 분류 되었다. 면적으로 볼 때 3가지(소규모, 중규모, 대규모)로 나뉠 수 있으며, 전문의 수에 따라 전문의1명, 전문의2명, 전문의3명 이상으로 나뉠 수 있었다. 전문분야로는 4가지로(안면윤관, 가슴, 눈·코, 기타)로 나뉠 수 있었고, 평면의 형태 혹은 동선에 의해 순환형, 복도형(ㅡ자복도형, ㄱ자복도형, 이중복도형), 복합형으로 나뉠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해서 카테고리를 나눠보면 총 180가지의 분류가 가능했으며, 현재 운영되는 성형외과의원의 분류 외에도 다양한 조건의 성형외과의원의 공간예측이 가능해졌다. 본 논문은 앞으로 리모델링 또는 개원 할 성형외과의원의 설계에 접목 가능한 정형화된 자료를 제공하는‘성형외과의원의 스페이스 플랫폼’연구에 기초적인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라며 공간에 대한 스페이스 플랫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설계에 있어 하나의 큰 전환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028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512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