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 0

이광수의 일제말기 소설 연구

Title
이광수의 일제말기 소설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Lee, Kwang-soo's Novel in the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Author
임보람
Alternative Author(s)
Lim, Boram
Advisor(s)
서경석
Issue Date
2014-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 국문요지 이 논문은 일제 말기에 창작된 이광수의 대일협력소설이 ‘민족을 위한 친일’이라는 이광수의 협력 논리의 한 실천 방식으로서 창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역설적으로 그의 논리에 내포된 균열의 지점을 드러내는 데 일조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일제 말기, 이광수는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 명분을 조선민족의 발전을 위한 이상적인 담론으로 받아들인다. 그리고 창씨개명과 학병권유연설에 나서는 등 스스로를 이 이상적 이데올로기의 실천적 담지자로 자리매김한다. 따라서 이 시기 이광수에게 소설 창작이란, 자신이 이상적인 것으로 받아들인 내선일체의 이데올로기를 지지해 줄 실천적 기획의 일부였던 셈이다. 그러나 이광수가 보여준 대일협력의 내적 논리를 밝힌다는 기획 아래 이광수의 대일협력문학을 그의 실제 행위와, 나아가 이광수 그 자신과 섣불리 동일시하는 것은 창작 주체와 텍스트 사이의 의도하지 않은 어긋남, 벌어져 있는 간극의 의미를 말소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이러한 접근방법의 문제는 이광수의 협력 논리의 전모를 이해하고, 나아가 일제의 식민지 지배 논리 속에 내포된 모순을 드러내는 핵심이 바로 이 ‘균열’에 있다는 것을 간과하게 만드는 데 있다. 이광수의 대일협력소설은 그의 협력논리를 아무런 흠집 없이 담아낸 무결한 이데올로기적 세계가 아니며, 오히려 이광수가 체현한 일본제국주의의 식민지 지배 담론의 맹점을 드러내 보이고 있다. 이 논문은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Ⅱ장에서는 이광수의 대일협력 소설에 접근하기에 앞서 이광수의 ‘민족을 위한 친일’의 논리가 형성 · 전개되는 과정 및 그가 개진한 국민문학론의 성격에 대해 검토한다. 1절에서는 이광수의 대일협력의 집적적인 배경이 되었던 동우회 사건과 도산 안창호의 죽음에 집중하여 이광수의 대일협력이 단순히 정치적인 선택이 아니라 영점(zero point)으로 회귀한 자신의 주체성을 재설정하는 문제와 결부되어 있음을 밝힌다. 이어 2절에서는 이광수의 대일협력이 일본의 식민지 지배 이데올로기에 대한 ‘성급한 동일화’에 기초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그가 보여준 ‘내선일체’의 신앙과 ‘민족을 위한 친일’이라는 대의의 관계를 규명한다. 마지막으로 3절에서는 이광수가 작품을 통해서 형상화하고자 했던 대일협력의 논리란 무엇이었는가를 국민문학론과의 관계를 통해서 살펴본다. Ⅲ장에서는 본격적인 작품 분석을 통해 이광수의 협력논리들이 상징적 질서로부터 이탈, 분리되는 양상을 살핀 후 그것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에 관한 분석을 시도한다. 먼저 1절에서는 장편 「그들의 사랑」과 단편 「소녀의 고백」을 통해 조선인이 일본인 가정으로 편입하려는 시도가 실패로 끝나게 되는 일련의 과정을 검토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가 내선인 간의 정(情)의 교류를 통해 일체로 화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내선일체 이데올로기의 이면에 자리한 차별의 정당화 논리를 어떻게 뒷받침하고 있는지를 살핀다. 다음으로 2절에서는 단편 「대동아」 속에서 일제의 대동아공영권 이데올로기가 학자의 논리와 위정자의 논리로 분열되는 모습을 중국인 청년의 시선을 통해 살펴본다. 한 가지 흥미로운 것은 작품의 형상화 과정에서 드러나는 이데올로기와의 어긋남이 작가인 이광수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발생한다는 점이다. 이광수가 작품을 통해서 내선일체를 표상 그대로 믿어야 한다고, 일본의 진의(眞意)를 의심해서는 안 된다고 강하게 주장할수록 균열은 확대되고, 그의 노력은 일종의 희극적인 것으로 변모한다. 물론 이 의도치 않은 연출이 겨냥하는 것은 이광수가 끊임없이 동일시를 시도한 일제의 식민지 지배담론 그 자체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013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526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