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7 0

에너지효율등급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건축물 탄소효율성 평가 및 적정 계획 모델

Title
에너지효율등급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건축물 탄소효율성 평가 및 적정 계획 모델
Other Titles
Assessment and Appropriate design model of Carbon Efficiency in Sustainable Buildings based on Energy Rating System
Author
정호건
Alternative Author(s)
Jung, Hogun
Advisor(s)
신성우
Issue Date
2014-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가 온실가스 감축 정책 총괄기관인 환경부는 2014년 1월 보도자료를 통해, 2020년까지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부문별 이행계획을 발표하였다. 건축분야는 전체 산업 탄소배출량의 약23%를 차지하며, BAU대비 26.9%감축을 목표로 한다(기존목표 유지). 이를 위한 세부 이행수단으로, 고효율 냉·냉방기기 보급 확대, 에너지 총량제 도입, 고효율 보일러 설치, 100만호 그린홈 보급과 680만호 기존건물에 대한 그린리모델링 확대를 통해, 건축에서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노력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축물 전과정 탄소배출량 산정 방법론에 대한 합의와, 탄소배출량 저감을 위한 전략적 접근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탄소배출량 저감과 함께, 경제적 이익을 동시에 평가하는 통합적 개념이 필요하다. 높은 수준의 기술만을 고집하기보다, 적정수준의 계획모델을 통해 이해당사자간의 합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지혜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탄소배출량 저감을 통한 경제적 효율성이라는 개념을 적용한 통합적 평가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이는 TBL(Triple Bottom Line)개념과 환경효율성(Eco-Efficiency)기법을 적용하여, 탄소효율성(Carbon-Efficiency)이라 하였다. 탄소효율성은 환경적인 측면과 경제적인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는 지속가능한 건축물의 통합적 평가 방법론(Integrated Assessment Method for Sustainable Building)이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1장은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방법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제 2장은 사회성 평가, 전 과정 탄소배출량 평가, 경제성 평가를 통해 TBL 개념의 지속가능한 건축물 통합 성능 평가 방법론을 정리하였다. 제 3장은 공동주택 에너지 효율등급 평가를 위한, 기존 현황과 문제점, 계획요소의 선정, 그리고 시뮬레이션 계획과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실험계획법을 통해, 시뮬레이션 평가를 위한 81회의 실험조건을 구성하였다. 제 4장은 탄소효율성 평가 방법론을 정의하고 제안하였다. 탄소효율성 평가식을 제시하고, 탄소효율성 평가를 위한 표준 에너지 비용, 표준 탄소배출량, 표준 공사비 산정 기준을 마련하였다. 제 5장은 81개 샘플의 탄소효율성 평가 결과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계획요소의 영향력을 분석하고, 요소별 영향력 차이를 비교하였다. 단계선택법 회귀분석을 통해 평가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제 6장은 탄소효율성 적정 계획 모델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제 7장은 본 연구를 수행하여 얻은 결론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속가능한 건축물의 통합적 평가 방법론(Inegrated Assessment Method for Sustainable Building)으로 탄소효율성 개념을 제안하고, 탄소효율성 평가식과 평가 예측식을 제시하였다. 2] 에너지 효율등급 시뮬레이션 평가에 따라 81회 실험을 실시하고, 탄소효율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다변량 통계분석을 실시하여, 에너지소요량과 탄소효율성에 대한 영향력 비교하였다. 탄소효율성에 영향력이 크게 나타나는 요소들은, 평가 예측식을 구성하는 주요 변수로 설정되었다. 이를 통해, 사전평가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3] 환경부하를 줄이면서, 경제적 이익을 취할 수 있는, 6개의 적정 계획 모델을 제안 하였다. 단순히, ROI만을 평가한 경제성 평가는 환경에 대한 검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가치평가가 되지 않는다. 이에 비해, 탄소효율성은 비용절감과 탄소배출량 절감 결과를 동시에 제시하기 때문에, 객관적인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 할 수 있다. 지속가능한 건축물의 평가는,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을 요하기 때문에, 환경, 사회, 경제를 통합할 수 있는 정략적 평가툴이 필요하다. 환경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평가하는 탄소효율성과 기존의 녹색건축물 인증제도를 결합하여 지속가능한 건축을 평가하는 통합적 평가 체계로 응용할 수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990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521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FRONTIER ARCHITECTURAL AND URBAN ENVIRONMENTAL ENGINEERING(첨단건축도시환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