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 0

요시험지봉의 단백과 비중을 결합한 추가적인 검사정보 생성

Title
요시험지봉의 단백과 비중을 결합한 추가적인 검사정보 생성
Other Titles
Additional information by coupling protein with specific gravity of urine dipstick test
Author
한송희
Alternative Author(s)
Hahn, Song Hee
Advisor(s)
박일규
Issue Date
2014-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배경:단백뇨는 신장 질환의 중요한 지표이다. 요 단백의 정량적 측정에는 24시간 요 단백량의 측정이 표준검사이나, 검체 채취가 쉽지않고 오류의 가능성이 있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단회뇨의 단백/크레아티닌 비나 단백/삼투압 비가 사용되고 있다. 간편하고 신속한 요 선별검사 결과를 결합하여 소변의 희석, 농축이 반영된 검사 결과를 얻었고 24시간 요 단백량을 반영하는 지표로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방법:한양대학교 구리병원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417명을 대상으로 요시험지봉 검사의 단백과 정량측정한단백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또 다른 3022명의 요 비중결과를 요 삼투압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요시험지봉 단백과 정량단백그리고 요 비중과 요 삼투압 사이에서 도출된 회귀곡선식으로 추정 요 단백/삼투압 비를 구하였다. 추정 요 단백/삼투압 비와 정량측정한 요 단백/크레아티닌 비의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ROC 분석을 통해 정상 단백뇨, 신증후군 단백뇨진단의 24시간 요 단백량을 기준으로 추정 요 단백/삼투압 비와 널리 사용되는 요 단백/크레아티닌 비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각각 구하여 서로 비교하였다. 결과:요시험지봉 단백과 자연 로그를 취한 요 정량단백(r=0.860)과 요 비중과 요 삼투압 사이(r=0.735)에서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추정 요 단백/삼투압 비와 정량측정한 요 단백/크레아티닌 비 사이에서는 0.662의 상관계수가 확인되었다. 추정 요 단백/삼투압 비와 24시간 요 단백량의 ROC 분석 결과 추정 요 단백/삼투압 비 0.0447에서 정상 단백뇨의 진단에 91.1%와 88.6%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였고 0.2035에서 신증후군 단백뇨의 진단에 100%와 80.4%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였다. 정량측정한 요 단백/크레아티닌비는 정상 단백뇨와 신증후군 단백뇨의 진단에 각각 95.9%, 90.1%와 100%, 90.8%의 민감도, 특이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본 연구를 통해 얻은 추정 요 단백/삼투압 비는 정상 단백뇨와 신증후군 단백뇨 진단에서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요 단백/크레아티닌 비와 민감도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24시간 소변 채취나 정량분석 없이 소변 선별검사로 얻어지는 요시험지봉 단백과 요 비중의 결과로 신질환을 진단하는데 비용-효율적 측면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977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523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