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6 0

업무 신속성과 직무 성과, 조직시민행동 간 관계에서의 조절효과 고찰

Title
업무 신속성과 직무 성과, 조직시민행동 간 관계에서의 조절효과 고찰
Other Titles
The Role and Boundary Conditions of Hurriedness in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uthor
유동희
Alternative Author(s)
Yoo, Dong Hee
Advisor(s)
신유형
Issue Date
2015-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나라는 한국전쟁 이후 1970~1980년대 ‘한강의 기적’이라 불릴 만큼 빠르고 급격한 경제 성장을 이뤄냈다. 그 결과 현재 우리나라의 경제규모는 선진국의 문턱까지 다다랐다. 또한 국내 조직에서는 이러한 여파로 ‘빨리빨리’ 문화가 조직에 만연하며 조직에 속해있는 구성원들 또한 이러한 문화를 쉽게 겪고 느낄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의 시대적, 문화적 배경에 착안하여 우리가 속해있는 조직에 흔한 현상인 업무 신속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해보고자 한다. 업무 신속성의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업무 신속성과 일치하는 개념은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나 외국학계에서는 업무 신속성과 유사 개념인 업무 속도 연구가 점진적으로 진행 중인 데 비해 국내에서는 아직 이론적으로나 실증적으로 업무 신속성을 검증하는 연구는 전혀 없는 상황이다. 업무 신속성과 유사 개념인 업무 속도는 조직의 구성원들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견하고 발전시키며, 문제 해결, 외부 이해관계자들과의 상호작용을 관리 하는 속도와 그들 스스로 상호작용을 관리하는 속도의 복합적 현상을 의미한다(Gersick, 1989). 본 연구의 업무 신속성 또한 이러한 업무 속도와 일맥상통하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는데 그러한 근거는 Jansen과 Kristof-Brown(2005)에서 찾아볼 수 있다. Jansen과 Kristof-Brown(2005)에서는 업무 신속성(hurriedness)을 업무를 얼마나 신속히 처리하는지 속도(speed, pace)의 개념으로써 다루고 있다. 이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업무 신속성이라는 개념이 조직과 조직 구성원들에게 적용하는 데 있어 업무 속도보다 포괄적인 개념이라 판단하여 업무 신속성(hurriedness)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본 연구는 국내 조직과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증적 방법을 통해 업무 신속성의 개념을 고찰하고 직무 성과와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를 검증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관계에서 개인, 팀 수준의 조절 효과까지 검증한다. 구체적으로 업무 신속성과 직무 성과 간 관계에서 개인 수준의 조절 변수로는 예방 초점이 투입되어 조절 효과를 살펴보고, 팀 수준으로는 팀 안전 풍토를 투입하여 조절 효과를 살펴본다. 다음으로 업무 신속성과 조직시민행동간 관계에서 개인 수준의 조절 변수로는 친 사회적 동기가 투입되어 조절 효과를 살펴보고, 팀 수준의 조절 변수로는 팀 협력적 풍토를 투입하여 조절 효과를 살펴본다. 이러한 연구 가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교차 수준 연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총 25개 팀, 168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 응답을 통해 변수를 측정하였는데, 설문은 동일방법편의를 예방하기 위해 본인 설문과 상사(동료)설문으로 나뉘어 구성되었으며 이것이 한 쌍의 설문으로 구성돼 배포되었다. 즉, 본인 설문에서는 업무 신속성과 예방 초점, 친 사회적 동기, 팀 안전 풍토, 팀 협력적 풍토를 측정하였고, 상사(동료)설문에서는 직무 성과와 조직시민행동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설문을 분석하는 통계적인 도구로는 SPSS 18.0과 HLM;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7.0을 사용하였다. 또한 가설 검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를 통제 변수로 설정하였는데 개인 수준 변수의 통제 변수들로는 근속 년수, 관리직 유무, 향상 초점, 직무 역량, 학력 더미Ⅰ(고졸), 학력 더미Ⅱ(대학원졸)를 투입하였으며, 팀 수준의 통제 변수로는 팀 크기, 평균 팀 근속 년수, 직종 더미Ⅰ(영업직), 직종 더미Ⅱ(생산·서비스직), 직종 더미Ⅲ(금융사무직), 팀 업무 신속성 풍토를 설정하였다. 위계적 선형 모형의 가설 검증 결과 업무 신속성과 직무 성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는 정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조절 효과의 검증 결과 업무 신속성과 직무 성과, 조직시민행동간 관계에서 개인 수준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투입하였던 예방 초점과 친 사회적 동기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친 사회적 동기가 업무 신속성과 직무 성과 두 가지 조직시민행동(OCBI, OCBO)에 대해서 부(-)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친 사회적 동기가 낮을 때보다 높을 때 오히려 직무 성과가 낮고, 조직시민행동을 덜 하게 된다는 결과를 나타낸다. 팀 수준의 조절 효과를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업무 신속성과 직무 성과 간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팀 조절 변수로 투입되었던 팀 안전 풍토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팀 협력적 풍토는 두 가지 조직시민행동(OCBI, OCBO)을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팀의 협력적 풍토가 높을 경우 협력적 풍토가 낮은 조직에서보다 조직시민행동이 활발히 이루어진다는 결과를 나타낸다. 검증 결과로 미루어 보았을 때 업무를 신속하게 처리하는 개인은 주어진 업무를 단순히 신속하게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질적인 측면의 정확성과 완성도를 겸비하여 직무 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시사점을 줄 수 있으며, 업무를 신속히 처리할 경우 조직 혹은 조직 내 동료를 위해서 시민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음을 증명한 것의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업무 신속성과 직무 성과 간 관계에서 개인 수준의 예방 초점, 팀 수준의 팀 안전 풍토의 조절 효과와 업무 신속성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개인 수준의 친 사회적 동기의 조절 효과를 유의미하게 검증하지 못한 점은 추후 연구를 통해 보완해야 할 사항이다. 그렇지만 본 연구는 우리가 속해있는 조직에서 흔하고 매우 중요한 개념이지만 그동안 조직 행동연구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연구가 소홀했던 업무 신속성이라는 개념을 이론적, 실증적으로 검증한 것은 대단히 큰 의의가 있으며, 더 나아가 본 연구를 통해 이론적,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970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638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