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6 0

문화자본과 직업포부와의 관계에 관한 질적연구

Title
문화자본과 직업포부와의 관계에 관한 질적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apital and Vocational Aspiration : focused on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Author
김민철
Alternative Author(s)
Kim, Min Chul
Advisor(s)
김병수
Issue Date
2015-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직업포부 형성과정이 청소년들이 보유한 문화자본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고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청소년의 문화자본 보유 수준에 따른 직업포부 형성과정을 알아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포부 형성유형을 4가지로 나누어서 유형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Y고등학교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1:1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다. 직업포부가 형성되는 과정은 학생 개개인의 주관적인 생각이기 때문에 변수 간 상관관계만을 보여주는 양적 연구방법으로는 직업포부의 형성유형을 제대로 파악하기 어렵다고 판단되어, 기존의 양적연구들과는 다르게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질적 연구방법 중 Strauss & Corbin의 근거이론을 연구방법으로 선택하였고, QSR NVivo 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제별로 코딩 작업 후 그 내용을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과정을 통해 의미를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문화자본 보유는 경제적 배경과 부모가 가진 문화자본에 따라 그 수준에 차이를 보였고, 학생들의 문화적 취향은 경제 수준에 따라 차별성을 보였다. 둘째, 대부분의 학생들은 직업포부를 형성하는데 학업성적과 대학입시에 관해서 어려움을 느꼈고. 직업과 관련된 경험 부족과 직업에 대한 정보 부족을 가장 큰 아쉬운 점으로 나타내었다. 셋째, 경제 수준이 낮은 학생들의 부모들은 학생들이 안정적인 직업을 가지기를 원하였고, 학생들도 그러한 부모의 영향을 받아 안정적인 직업을 추구하기도 하였다. 넷째, 문화자본 보유 수준에 따른 직업포부형성과정 유형을 성취형, 노력형, 고민형, 무관심형으로 분류하였다. 구체적인 직업포부를 가진 유형 중 풍부한 문화자본을 소유한 집단을 성취형으로 부족한 문화자본을 소유한 집단을 노력형으로 나눌 수 있었고, 낮은 직업포부를 가진 유형 중 풍부한 문화자본을 소유한 집단을 고민형으로 부족한 문화자본을 소유한 집단을 무관심형으로 나누었다. 성취형은 안정적이거나 높은 사회경제적 지위를 얻는 직업을 희망하고 있었고, 노력형은 빨리 취업이 되는 직업이나 안정적인 직업을 희망하였다. 고민형은 어떤 직업을 가져야 할지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었지만, 자신들의 흥미나 적성에 맞는 본인들이 하고 싶어 하는 일을 희망하고 있었고, 무관심형은 본인들이 앞으로 어느 직업을 가져야 할지에 대해 제대로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직업포부 형성유형 간의 비교를 통해서 문화자본이 직업포부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기 때문에 문화자본 보유 수준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직업포부 형성유형에 따라 다른 진로지도 방식 강조에 대해 논의하였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957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617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