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선아-
dc.contributor.author박지현-
dc.date.accessioned2020-02-25T16:33:03Z-
dc.date.available2020-02-25T16:33:03Z-
dc.date.issued2015-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954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6254en_US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는 디지털 기술의 급격한 혁신으로 인한 정보와 기술의 융합 시대에서 더 나아가 문화와 예술의 시대이다. 넘쳐나는 시각 정보의 홍수 속에서 비판적인 수용이 중요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미술의 영역이 확장됨에 따라 우리는 생활 주변의 모든 시각정보를 통해 다양한 문화를 접한다. 학습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실생활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시각문화는 미술 교과의 학습 소재가 될 수 있다. 정체성과 가치관이 확립되지 않은 학생들이 이러한 현실 속에서 비판적인 사고 없이 무조건적인 수용을 한다면 더 큰 문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각문화 속의 미술작품도 중요하지만 학습자들이 실생활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시각문화로 광고의 영향이 크다. 광고 속에서 미술 작품을 활용하는 것은 감성 마케팅 전략 중 하나로 자리 잡은 명화를 제품에 사용하는‘아트마케팅’이다. 이러한 마케팅은 제품 특성을 더욱 친숙하고 쉽게 알려준다. 또한, 감성을 자극하여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선호하고 예술품을 소장하고 싶어 하는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며,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았던 이미지를 친근하게 선사하고 있다. 우리는 소비자의 입장에서 이러한 마케팅전략에 대응하여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바라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입장에서 이러한 마케팅 전략에 대응하는 비판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감상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해주는 교육의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시각문화 미술교육 감상 수업에서 비판적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교수-학습지도안을 제시하였다. 광고 마케팅 속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아트마케팅을 소재로 하여 학습자들이 이에 대하여 비평적 글쓰기와 토론활동을 통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이끌어 내는 감상 수업 으로 다가가고자 한다. 학습자의 삶속에서 문화인으로서의 소양뿐만 아니라 생활 속의 미술을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보는 창조적인 능력과 비판적 사고의 태도를 기를 수 있다. 이의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비판적사고력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는 학습자의 흥미를 이끌기에 충분하다. 따라서 명화의 원작과 광고 속 마케팅을 인식시킴으로써 시각적 문해력과 비판적 사고력 교육에 적합하다. 둘째, 학습자 개인적인 생각과 반응을 수업의 중심요소로 끌어올릴 수 있다. 학습자의 경험에 의한 교감을 나누고, 폭 넓은 시각과 다각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 셋째, 아트마케팅은 생활 속 미술이기 때문에 미술이 생활과 동떨어진 과목이라는 인식에 대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넷째, 시각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비판적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학습지도안이 학교 미술 교육현장에서 학습자 중심의 시각문화미술 감상 지도를 위한 구체적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기존의 감상 수업은 전통적인 미술 감상 수업으로 인식하는 고정 관념에서 벗어나 우리 삶의 가까이에서 접할 수 있는 시각문화를 통하여 미술 감상교육을 진행함으로써, 학습자들의 비판적 사고력 발달에 도움이 되고자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아트마케팅 활용 시각문화 미술교육 지도방안-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visual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critical thinking faculty through art marketing-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박지현-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Park, Ji Hyeo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교육대학원-
dc.sector.department미술교육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미술교육-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ART EDUCATION(미술교육전공)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