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6 0

서울 두드림 길의 경관 만족도와 지역 활성화와의 상관성 분석

Title
서울 두드림 길의 경관 만족도와 지역 활성화와의 상관성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s to the Revitalization of Seoul dodream street :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treet between Dongdaemun station and Dongdaemun Digital Plaza -
Author
김태원
Alternative Author(s)
Kim, Tai-Won
Advisor(s)
조세환
Issue Date
2015-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경관은 그 도시의 가치를 판단하는 척도가 되고 도시를 구성하는 인자 중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특히 가로경관은 가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나아가 가로환경의 질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동한다. 그러나 가로경관은 이러한 시작적 이미지 또는 공간의 장소성 부여뿐만 아니라 경관을 통해 특정 가로의 활성화와를 기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도 있다. 경관이 좋으면 사람을 불러 모으는 흡인력이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그 가로의 경제, 사회, 문화, 환경적 활성화가 기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시 내 가로공간은 단절되어 있는 공간이 아니라 연속된 공간이며, 구성요소의 집합체라기보다는 총체적인 경험의 공간으로서 도시공간의 모든 속성을 보여주는 리트마스 용지로 간주된다. 가로공간을 경험한다는 것은 무의식적인 도보행위가 아닌 주변 환경과 시각적, 사회적으로 소통하고 공간에 흥미로움을 가지고 활동하는 것이다. 이처럼 보행은 단순한 이동의 수단을 넘어서서 도시공간과 소통이 이루어지는 인간의 신체적 체험이다. 연구 대상지의 이용객 특성 및 패턴을 살펴보면, 동대문역 권역의 경우 재래시장을 중심으로 형성된 상업가로인 점에서 시장을 보거나 업무를 위한 방문이 많은 것으로 해석된다. 대형 쇼핑몰을 중심으로 형성된 동대문역사문화관 상업가로는 연인과의 데이트 및 친구들과 쇼핑을 즐기거나 지역의 프로그램을 즐기기 위해 찾는 것으로 해석된다. 지역민과 방문 이용객 간의 만족도 차이를 살펴보면, 동대문역 권역과 동대문역사문화관 권역 모두 두 집단 간 만족도 인식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집단 특성이 다르더라도 만족도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 물리적 경관요소와 경관 만족도 간의 상관분석 결과 연구가설처럼 만족도는 정 반대 성향을 보였지만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의 경우 공통되는 요소가 대부분이었다. 두 대상지 모두에서 경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경관요소로 ‘건물 입면의 아름다움, 포장패턴과 디자인의 아름다움, 포장 패턴의 건축 입면과의 조화, 가로수로 인한 간판 가림 현상’ 등의 요소가 만족도를 결정짓는 주요 경관요소로 해석할 수 있다. 이처럼 경관 만족도의 경우 반대의 성향을 보일 수 있지만 만족도를 결정하는 경관요소의 경우 공통되게 나타날 수 있다. 즉, 인간이 가로경관을 인지할 때는 그것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이거나 기준은 동일시하여 결정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시 말해 경관형성에 있어 건물의 입면, 간판디자인, 가로수, 포장패턴과 같은 시각적 요소가 그 공간의 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서울 두드림 길(구 걷고 싶은 거리) 조성에 따른 지역 활성화 요소와 활성화 만족도 간의 상관분석에서는 두 대상지 간 차이가 나타났다. 비 물리적 요소라 할 수 있는 지역 활성화는 물리적 경관요소처럼 많은 공통성을 지니지 않았다. 다만 지역의 활성화는 이용객 또한 인지되고 있으며, 가로경관은 그 지역의 활성화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다시 말해 경관 이미지가 부정적인 경우 지역 활성화가 낮게 나왔으며, 경관 이미지가 긍정적인 경우 지역 활성화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게 되면 경관 이미지, 물리적 경관요소, 지역 활성화, 이용자 행태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인자가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리적 경관요소의 질이 떨어진다면 경관 이미지가 낮아지고, 경관 이미지가 낮은 지역은 사람들의 방문횟수에 영향을 주게 된다. 점차적으로 사람의 왕래가 줄어든 지역은 지역 활성화가 떨어지게 되고,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 지역은 물리적 경관요소 질이 정비가 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떨어지는 악순환이 이루어 질 것이다. 즉, 앞으로의 가로경관 계획은 이 모든 것을 개별적인 인자로 보는 것이 아닌 통합적으로 바라보고 접근하는 계획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최종적으로 지역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질을 높일 수 있는 매력적인 가로경관을 조성하게 될 것이다. 주요어 : 서울 두드림 길, 상업가로, 물리적 경관 요소, 지역 활성화, 만족도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949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628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ECOLOGICAL LANDSCAPE ARCHITECTURE(생태조경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