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안신원-
dc.contributor.author김지한-
dc.date.accessioned2020-02-25T16:32:19Z-
dc.date.available2020-02-25T16:32:19Z-
dc.date.issued2015-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9299-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6471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고에서는 원삼국시대 주거지의 평면형태 및 규모, 노지의 형태, 출토유물 등의 요소를 통하여 임진 ․ 한탄강 유역의 원삼국시대 주거지의 특징 및 편년에 대해 알아보았다. 원삼국시대의 주거지는 입구의 유무와 평면형태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평면 평태는 돌출도에 따라 원형, 방형, 오각형, 육각형으로 구분하였다. 규모는 주거지의 주축방향과 이에 직교하는 폭의 길이로 분류하였으며, 입구의 유무에 따른 성격 차이를 비교하였다. 구들시설은 형태에 따라'ㄱ‘자형과 ’ㅡ‘자형으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출토유물의 유형 및 형태, 개체 수에 따라 시기를 구분하였다. 앞의 방법론으로 주거지의 편년을 분석한 결과, 임진 ․ 한탄강 유역의 원삼국시대 유적을 BC 100~AD 300년 정도로 획기하였다. 또한 원삼국 1기, 원삼국 2기, 원삼국 3 기, 원삼국 4기(한성백제기) 등 세부적으로 4시기를 구분하였다. 원삼국 1기는 다시 전반과 후반으로 세분할 수 있는데, 전반에는 방형 주거지와 노지가 확인되며, 유물은 경질무문토기의 출토 빈도가 매우 높다. 원삼국 1기 후반에는 오각형계의 주거지가 설치되고 Ⅰ,Ⅱ형의 구들이 시설된다. 유물의 양상은 전반과 비슷하지만 타날문토기의 비율이 조금 더 증가한다. 원삼국 1기의 시기적 편년은 BC 100~AD 150년경으로 보인다. 원삼국 2기에는 오각형계 중 C1, Ca2형에 이어 Cb2형의 주거형태가 확인된다. 또한 구들시설은 Ⅱ형 보다는 Ⅲ형의 빈도가 증가한다. 주거지의 규모도 다양하게 분포하는 시기이며, 주거지의 개체수도 많다. 유물은 경질무문토기와 타날문 토기가 비슷하게 확인된다. 시기는 AD 150~200년경으로 보인다. 원삼국 3기는 기존의 주거형태가 계속 이어지며, 육각형계(D형)의 주거형태가 소수 확인된다. 구들시설도 Ⅳ형과 Ⅴ형이 소수 발견된다. 유물은 타날문토기가 완성형으로 보이며, 장란형의 대형옹이 확인된다. 경질무문토기도 없어지지는 않지만 비율이 줄어든다. 시기는 AD 200~250년경으로 보인다. 임진 ․ 한탄강 유역에서 원삼국 2기와 3기에 해당하는 유적은 분석 유구 중 60기에 대당하며, 짧은 기간에 유구가 밀집하여 분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시기가 임진 ․ 한탄강 유역이 가장 번성하였던 시기로 보이며, 당시 이 지역 정치체의 존재를 추측할 수 있는 자료라 할 수 있다. AD 3세기 중엽 이후에는 방형계의 주거지와 육각형계의 주거지가 확인되는데, 방형계의 규모는 소형에 속하며 육각형계의 주거지는 중~대형에 속한다. 또한 구들시설은 'ㅡ'자형 구들이 주를 이룬다. 유물은 타날문토기가 주를 이루며, 한성백제 시기의 토기 유형도 확인된다. 이는 임진 ․ 한탄강 유역에 한성백제의 영향이 미치기 시작하였다는 것으로 보았다. 주거지의 분석 결과 원삼국 3기와 원삼국4기 사이에 단절적인 현상이 발견되는데, 당시 이 지역에 있었던 기리영 전투라는 역사적인 사건의 영향으로 단절적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추측하였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임진 ․ 한탄강유역 원삼국시대 주거지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Settlements of Proto-Three Kingdom period in the Imjin and Hantan river Basin-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지한-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Ji Ha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문화인류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고고미술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ULTURAL ANTHROPOLOGY(문화인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