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 0

재난적 의료비 예방을 위한 포괄적 의료비 상한제

Title
재난적 의료비 예방을 위한 포괄적 의료비 상한제
Other Titles
The Comprehensive Health Expenditure Ceiling System to Prevent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 Focusing on Applicability using Cost Estimation
Author
송은철
Alternative Author(s)
Song, Euncheol
Advisor(s)
신영전
Issue Date
2015-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배경: 한국 건강보장제도의 낮은 보장성은 재난적 의료비의 원인이 되며, 재난적 의료비는 빈곤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는 과도한 의료비 부담으로 인한 의료 이용의 제한과 이로 인한 건강수준의 하락 및 재난적 의료비 지출로 인한 삶의 질 하락 및 빈곤화가 서로 영향을 주며 반복되는 악순환의 과정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악순환을 멈추기 위해서 재난적 의료비와 이로 인한 빈곤화를 예방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며, 그 정책의 하나로 포괄적 의료비 상한제의 도입을 검토할 수 있다. 의료비 상한제의 기준이 재난적 의료비를 예방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정된다면, 재난적 의료비 인한 빈곤화 역시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재난적 의료비가 빈곤화의 원인이 됨을 밝히고, 재난적 의료비와 이로 인한 빈곤화를 예방하기 위한 포괄적 의료비 상한제의 기준을 설정하고 비용 추계를 통해 그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방법: 재난적 의료비는 지불능력에서 의료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10%, 20%, 30%, 40% 이상 일 때로 정의하였다. 재난적 의료비가 빈곤화에 미치는 영향은 한국복지패널 2010-2012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가구원 수를 보정한 가처분소득을 기준으로 중위소득의 50% 미만을 상대적 빈곤 상태로 정의하였으며, 의료비 지출 이전 해인 2010 비빈곤이었던 가구 중 지출 다음 해인 2012년에 빈곤 상태가 된 경우를 ’빈곤화‘로 정의하였다. 가구주 특성과 가구 특성을 모형에 포함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재난적 의료비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재난적 의료비 예방을 위한 포괄적 의료비 상한제의 기준 및 적용 가능성은 한국의료패널 2011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가구원 수를 보정한 가구 경상소득을 기준으로 가구 소득 10분위를 구분하여, 현재의 의료비 및 재난적 의료비 발생률을 확인하였다. 재난적 의료비 예방을 위한 포괄적 의료비 상한제의 기준 설정하기 위해 재난적 의료비 발생이 없는 소득 10분위별 상한제의 기준을 재난적 의료비 기준별로 산출하고, 산출된 상한액으로 회귀 방정식을 도출하여, 소득 분위별 의료비 상한액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포괄적 의료비 상한제 도입에 따른 재난적 의료비 발생의 감소를 확인하고, 이를 위해 투입되는 추가 비용을 산출하였다. 결과: 2010년에 빈곤하지 않았던 가구가 2012년에 빈곤화된 경우는 7.8%였고, 재난적 의료비를 지출한 경우 더 높은 빈곤화율을 보였다(relative risk 3.01 - 3.91, p<0.001). 가구주 특성과 가구 특성을 보정하여도 재난적 의료비의 모든 기준에서 재난적 의료비 지출이 빈곤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odds ratio 1.81 - 2.31. p<0.001), 가구 소득이 빈곤선 300% 이상인 경우는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가구 당 평균 133만원의 의료비를 지출하여 총 23.1조원의 의료비를 가구에서 지출하였으며, 재난적 의료비의 기준이 10%, 20%, 30%, 40%인 경우 각각 23.7%, 12.6%, 8.1%, 5.9%의 가구가 재난적 의료비를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적 의료비 발생이 없는 소득 10분위별 상한제의 기준을 산출한 후, 산출된 상한액으로 도출한 회귀 방정식을 통해 추정된 분위별 상한액은 재난적 의료비 기준이 10%인 경우는 0.0 - 285.0만원, 20%인 경우는 0.0 - 607.6만원, 30%인 경우는 0.0 - 1,095.2만원, 40%인 경우는 0.0 - 1,701.4만원이었다. 이 기준을 적용한 포괄적 의료비 상한제를 도입하면 재난적 의료비 발생률이 0.1 - 0.2%로 감소하며, 재난적 의료비 기준이 10%인 경우 15.9 - 26.3조원, 20%인 경우 11.9 - 19.7조원, 30%인 경우 9.3 - 15.4조원, 40%인 경우 7.8 - 12.8조원의 추가 비용이 필요한 것으로 추계되었다. 결론: 모든 기준에서 재난적 의료비가 빈곤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재난적 의료비 발생율과 이에 따른 빈곤화는 한국의 건강보장제도가 그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재난적 의료비의 발생을 막고 이를 통해 빈곤화를 억제하기 위한 건강보장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러한 개선 방안의 하나로 포괄적 의료비의 적용을 검토할 수 있다. 재난적 의료비를 예방하기 위한 포괄적 의료비 상한제의 소득 분위별 상한액은 재난적 의료비의 기준이 10%일 때, 0 - 285만원, 20%일 때 0 - 607만원, 30%일 때 0 - 1,095만원, 40%일 때 0 - 1,701만원으로 추정되었으며, 적용 시 추가로 소요되는 비용은 의료 이용 증가를 감안하여도 7.8조원에서 26.3조원으로 전 국민이 한 해 동안 민간의료보험료로 지출한 43.4조원의 18.0 - 60.6%에 불과하다. 재난적 의료비와 이로 인한 빈곤화를 예방하기 위해 포괄적 의료비 상한제의 적용이 필요하다.|Background: The low benefit coverage rate of South Korea’s health security system can caus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n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can be the cause of povertization. To prevent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nd povertization, the comprehensive health expenditure ceiling system is requir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e effect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povertization,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comprehensive health expenditure ceiling system using cost estimation. Methods: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as defined as equal to or exceeding a thresholds (10%, 20%, 30%, and 40%) of the household’s capacity to pay. The effect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povertization was ascertained by performing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2010-2012. The applicability of the comprehensive health expenditure ceiling system to prevent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as ascertained by analysis on data from the Korea Health Panel, 2011. Ceiling limits of health expenditures that were not catastrophic were estimated by income groups. The additional costs of the comprehensive health expenditure ceiling system were also estimated. Results: The povertization rate was 7.8%, and the rate of households facing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as higher than those households not facing it (relative risk 3.01 - 3.91, p<0.001). Even after adjusting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 and the household hea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as found to influence povertization (odds ratio 1.81 - 2.31. p<0.001). 5.9 - 23.7% of the households are facing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The estimated ceiling limits of the comprehensive health expenditure ceiling system were 0.0 - 2.9 (T/y≥10%), 0.0 – 6.1 (T/y≥20%), 0.0 – 11.0 (T/y≥30%), and 0.0 – 17.0 million won (T/y≥40%). The estimated additional costs were 15.9 – 26.3 (T/y≥10%), 11.9 – 19.7 (T/y≥20%), 9.3 – 15.4 (T/y≥30%), and 7.8 – 12.8 trillion won (T/y≥40%). Conclusion: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as determined to be a cause of povertization. To prevent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nd povertization, South Korea’s health security system should be reinforced; notably, the comprehensive health expenditure ceiling system is one of the policy measures. The additional costs of the comprehensive health expenditure ceiling system were estimated to 18.0 - 60.6% of total private health insurance premiums. There is a need for application of the comprehensive health expenditure ceiling system.; Background: The low benefit coverage rate of South Korea’s health security system can caus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n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can be the cause of povertization. To prevent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nd povertization, the comprehensive health expenditure ceiling system is requir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e effect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povertization,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comprehensive health expenditure ceiling system using cost estimation. Methods: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as defined as equal to or exceeding a thresholds (10%, 20%, 30%, and 40%) of the household’s capacity to pay. The effect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povertization was ascertained by performing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2010-2012. The applicability of the comprehensive health expenditure ceiling system to prevent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as ascertained by analysis on data from the Korea Health Panel, 2011. Ceiling limits of health expenditures that were not catastrophic were estimated by income groups. The additional costs of the comprehensive health expenditure ceiling system were also estimated. Results: The povertization rate was 7.8%, and the rate of households facing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as higher than those households not facing it (relative risk 3.01 - 3.91, p<0.001). Even after adjusting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 and the household hea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as found to influence povertization (odds ratio 1.81 - 2.31. p<0.001). 5.9 - 23.7% of the households are facing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The estimated ceiling limits of the comprehensive health expenditure ceiling system were 0.0 - 2.9 (T/y≥10%), 0.0 – 6.1 (T/y≥20%), 0.0 – 11.0 (T/y≥30%), and 0.0 – 17.0 million won (T/y≥40%). The estimated additional costs were 15.9 – 26.3 (T/y≥10%), 11.9 – 19.7 (T/y≥20%), 9.3 – 15.4 (T/y≥30%), and 7.8 – 12.8 trillion won (T/y≥40%). Conclusion: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as determined to be a cause of povertization. To prevent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nd povertization, South Korea’s health security system should be reinforce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900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649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