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부연-
dc.contributor.author김지아-
dc.date.accessioned2020-02-25T16:31:23Z-
dc.date.available2020-02-25T16:31:23Z-
dc.date.issued2015-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8965-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5996en_US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 국제화와 정보화 시대의 흐름 속에서 사회는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그에 따라 창의성은 미래형 인재의 핵심 역량으로 부상하였고, 현 사회에서는 개개인의 창의성을 넘어 인성까지 두루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데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가진 특기와 관심 분야에 대해 배우고, 진로를 경험해 보고 계획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도입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창의성, 인성, 사회성을 발달시키기 위한 자유학기제 공공디자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선행 연구, 관련 학계의 학술지, 단행본을 중심으로 한 연구를 통해 창의·인성 디자인 교육적 활용 가치를 밝혀내고,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으로서 공공디자인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학습자의 삶과 연관되는 학습인 공공디자인은 학생들이 자신의 주변 환경에 대해 돌아보고, 자신을 포함한 사회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교육 컨텐츠이다. 이 점을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실무적인 프로세스를 적용한 공공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언어적인 진로교육이 아닌 다양한 자료와 사례와 직·간접적인 진로체험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능력을 키우고, 타인을 존중하는 인성과 타인과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인 사회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유학기제 교육 프로그램으로써 창의·인성 공공디자인교육 프로그램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한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과 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무적인 프로세스 공공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작품제작에 있어 다양하고 자유로운 창의적인 사고를 촉진하고, 공공을 위한 디자인 학습을 통해 타인을 이해하고 소통하는 인성과 사회성의 성숙이 가능하다. 둘째, 기존의 예술 활동 중심의 공공디자인 수업에서 벗어나 실무적인 공공디자인 프로세스를 경험함으로써 학습자들은 그와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이해화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자유학기제의 중점사항인 진로체험에 도움이 된다. 셋째, 익숙한 공간을 활용한 공공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과 자신을 포함한 주변 환경에 대해 이해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학생들에게 친숙한 공간인 학교 주변을 활용한 공공디자인 수업을 통해 자신에 대한 이해, 사회에 대한 주체적 인식, 그리고 긍정적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에 적용 가능한 창의·인성 공공디자인 교육으로써 학생들의 창의성, 인성,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실제적인 교육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자유학기제 디자인 연구가 이루어져 21세기 미래 인재를 위한 교육으로써 전문적이고 지속적으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Key words : 창의·인성교육, 디자인교육, 자유학기제, 공공디자인, 교육프로그램-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공공디자인을 활용한 창의·인성 디자인교육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Design Education Program Using the Public Design : Focusing on the Free learning semester system in Middle School.-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지아-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Ji Ah-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응용미술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미술교육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PPLIED ART(응용미술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