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2 0

간호사의 간호과오 경험과 포괄간호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간호배상책임보험제도에 관한 연구

Title
간호사의 간호과오 경험과 포괄간호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간호배상책임보험제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Nurses‘ Malpractice Experiences, Perception of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and Nurse's Liability Insurance System
Author
이미준
Alternative Author(s)
Lee, Mi Joon
Advisor(s)
유은광
Issue Date
2015-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이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 후에 양적 연구를 시행하는 순차적 다각화(Sequential Triangulation) 방법론을 사용하여, 간호사가 경험한 간호과오의 속성과 의미를 탐색하고, 포괄간호서비스에 대한 간호사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포괄간호서비스 확대 시 가능한 과오예방 및 대처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질적 연구는 일상생활기술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2014년 10월 20일부터 2014년 11월 27일까지 포괄간호서비스 운영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인과 포괄간호서비스 비운영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6인 등 총 7명을 최대한의 다양성을 고려한 의도표본추출법(maximum variation purposive sampling)으로 선정하였으며,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하였다. 질적 연구 결과, 크게 3개의 문화적 주제와 11개의 범주 그리고 36개의 속성이 도출되었다. 1. 3개의 문화적 주제는 『업무환경』, 『간호과오 경험』, 『위험대비』이다. 첫 번째 주제인 『업무환경』은 ⌜과오 발생이 커지는 환경⌟이 범주로 '업무환경이 너무 바쁘고 힘듦', '책임이 커져 어깨가 짓눌림'이 속성으로 세분화되었다. 두 번째 주제인 『간호과오 경험』은 8가지 범주로 ⌜간호과오 유형⌟, ⌜과오 발생이유⌟, ⌜과오 후 조치경험⌟, ⌜과오 후 느낀 감정⌟, ⌜과오 후 면담경험⌟, ⌜과오 후 주변반응⌟, ⌜과오 후 긍정적 반응⌟, ⌜분쟁경험⌟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간호과오 유형⌟의 범주는 '투약을 잘못해 정신과 치료받음', '욕창을 발생시켜 비난을 받음', ‘주사용량 착오로 무릎꿇림을 당함’, '도난사고도 간호사의 책임임', '보호자 있는 환자 사고도 간호사 관리 소홀임', '화재진압을 돕던 보호자가 입은 상처도 간호사 잘못임', '의료기구 파손 발견도 간호사 책임임'의 속성으로 세분화되었다. 두 번째 ⌜과오 발생이유⌟의 범주는 '예상하지 못한 결과임', '소홀함으로 발생함', '프로세스를 지키지 못함', '업무량 과다로 시간이 부족함', '병원 시스템이 문제임'의 속성으로 세분화되었다. 세 번째 ⌜과오 후 조치경험⌟의 범주는 '사고경위서 쓰고 사직함'의 속성으로 이루어졌다. 네 번째 ⌜과오 후 느낀 감정⌟의 범주는 '안절부절 못함', '환자 상태를 몹시 걱정함', '자신을 책망하게 됨', '당황하고 후회하게 됨', '위축되고 자신감이 결여됨', '보호자 대면이 어려움'의 속성으로 세분화되었다. 다섯 번째 ⌜과오 후 면담경험⌟의 범주는 '관리자의 질책이 느껴짐', '과오가 타직원에게 공개됨'의 속성으로 세분화되었다. 여섯 번째 ⌜과오 후 주변반응⌟의 범주는 '동료의 태도가 냉랭해짐', '외면을 당함', '비난과 낙인찍힘'의 속성으로 세분화되었다. 일곱 번째 ⌜과오 후 긍정적 반응⌟의 범주는 '기본에 더욱 충실해짐', '신중을 기하게 됨', '환자에게 최선을 다하게 됨'의 속성으로 세분화되었다. 여덟 번째 ⌜분쟁경험⌟의 범주는 '감봉이나 징계를 받음', '환자에게 소송을 당함', '보호자에게 폭행을 당함'의 속성으로 세분화되었다. 세 번째 주제는 『위험대비』로 ⌜간호과오 예방교육⌟, ⌜보험제도와 정책⌟이 범주로 나타났다. 첫 번째 ⌜간호과오 예방교육⌟의 범주는 '정기적 의료사고 예방교육을 원함', '수련기간 동안 충분한 교육을 원함'이 속성으로 세분화되었다. 두 번째 ⌜보험제도와 정책⌟의 범주는 '배상책임보험이 도입되기를 바람', '제도와 정책으로 보호받기를 원함'이 속성으로 세분화되었다. 2. 간호사는 간호과오가 발생하면 스스로 혼자라는 생각을 하게 되고 열악한 근무환경과 시스템적인 문제로 어쩔 수 없이 발생함에도 보호받지 못하는 약자라는 생각에 힘들고 속상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포괄간호서비스 운영병원 간호사는 업무로 인해 간호사의 자존감이 떨어져 이직률이 높아지고, 간호사를 보호해 주는 보호 장치와 과오에 대한 예방교육의 필요함이 시사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양적연구를 위한 60개의 예비문항이 개발되었고, 이를 5명의 전문가를 통한 내용타당도를 분석하였으며, 일차적으로 간호사 45인에게 초기 도구를 확인한 후 이차적으로 10명에게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신뢰도 검증(Cronbach's α)을 거쳐 최종적으로 55문항이 확정되었다. 양적연구는 질적 연구를 통해 확정된 문항을 기초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이 도구로 Cohen이 제시한 독립표본 t검정으로 양측검정을 실시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의 포괄간호서비스 운영병원 3개소에 각각 22명씩 66명과 포괄간호서비스 비운영병원 3개소에 각각 22명씩 66명 등 총132명이었고, 탈락률 20%를 고려하여 총 156명을 표본수로 산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였고 일반적 특성과 간호과오 유형, 간호과오 경험은 빈도분석, 간호사의 교육과 직접 간호과오 발생의 관계는 교차분석(x²-test), 포괄간호서비스 운영과 비운영병원의 간호사 특성과 포괄간호서비스에 대한 인식은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간호배상책임보험 제도 필요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1. 간호과오 16개 유형 중 투약, 낙상, 주사(근육과 혈액)순으로 과오 유형은 간접과 직접의 유형이 거의 비슷한 순이었다. 직접 경험한 과오유형은 낙상(28.3%)이 가장 높았고, 간접 경험한 간호과오는 투약(25.1%)이 가장 높았다. 직접 간호과오와 간접 간호과오를 경험한 근무기간은 2~5년이 각각 47명(30.3%), 56명(36.1%)으로 가장 많았다. 참여자의 간호과오 교육여부와 직접 간호과오 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x²=3.303, p>.192). 2. 포괄간호서비스 확대 및 간호배상책임보험 제도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은 포괄간호서비스 운영병원과 비운영병원 간 인구학적 특성의 차이는 연령, 근무기간, 주관적 건강상태와 월수입의 4개 항목 중에서 월수입을 제외하고는 3개 항목이 동질하게 나타났다. 포괄간호서비스 필요여부에 대해서는 필요함이 80명(51.3%), 불필요함이 75명(48.1%)이었다. 포괄간호서비스 운영병원과 비운영병원 간호사간 포괄간호서비스 제도(t=8.164, p<.000)와 간호서비스의 질(t=2.929, p=.004)에 대한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포괄운영병원 간호사들의 인식이 더 높았다. 포괄간호서비스의 간호 업무(t=1.883, p=.062)와 책임여부(t=1.354, p=.178)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포괄간호서비스 확대 시 검토 사항으로 간호과오배상책임보험 제도가 필요함이 139명(89.1%)이었고 불필요함이 17명(10.9%)으로 대부분이 간호과오배상책임보험제도 도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간호과오배상책임보험제도 필요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포괄간호서비스 시행여부(p<.002), 연령(p<.033)과 직급(p<.008)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가장 큰 영향요인은 직급으로 직급이 높은 간호사가 낮은 간호사에 비해 3.7(Exp B)배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의 간호과오에 대한 유형과 간호과오의 경험은 간호과오 예방과 문제해결을 위한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되며, 포괄간호서비스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은 포괄간호서비스의 안정된 정착을 위해 간호배상책임보험제도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This study uses the methodology of sequential triangulation, conducting a qualitative study and then a quantitative study with nurses. This was done in order to check the properties and meaning of their experienced malpractice, understand their perceptions of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and provide basic data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expansion. For the qualitative study, the ethnographic research method was used. Data was collected from seven people se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with the seven nurses were selected with a maximum variation purposive sampling among the nurses working at medical institutions in Korea, from October 20, 2014; through November 27, 2014; and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1. Three cultural subjects: 『working environment』, 『nurse’s malpractice experience』, and 『preparation for risk』; 11 categories: ⌜environment of increasing malpractice⌟, ⌜type of nurse’s malpractice⌟, ⌜cause for malpractice⌟, ⌜experience of measures after malpractice⌟, ⌜emotion felt after malpractice⌟, ⌜experience of interview after malpractice⌟, ⌜reaction of surrounding people after malpractice⌟, ⌜positive impact after malpractice⌟, ⌜experience of dispute⌟, ⌜nurse’s malpractice preventive education⌟, and ⌜insurance system and policy⌟; and 36 properties were drawn. Based on them, the 60 preliminary questions of a survey for a quantitative study were developed, an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reliminary questions was analyzed by five experts. First, an initial tool was verified by 45 nurses, and then, second, a reliability test was conducted with 10 nurses on a five-point scale, through Cronbach’s α, and finally, 55 questions were confirmed. 2. The nurses responded that they would think to themselves that they were alone if a nurse’s malpractice took place, and that they would have trouble and be upset, thinking that they were the unprotected weak, though they could not help suffering from what happens due to poor working conditions and systematic problems. 3. The nurses at hospitals that were operating a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responded that the service decreased the nurses’ self-esteem and increased their resignation rate, suggesting that there should be protective devices that protect the nurses and an education that prevents malpractice. For the quantitative study, a questionnaire based on the questions confirmed through the qualitative study was used, and was given to a total of 132 nurses: 66 people, 22 each at three hospitals operating a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and 66 people, 22 each at three hospitals not operating the service were selected, and the number of samples was a total of 156 people, considering a drop-out rate of 20%, using a two-tailed test by an independent sample t-test suggested by Cohen, using this tool. For the data analysis, SPSS 18.0 for Windows was used.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nurses' malpractice types, and nurses' malpractice experiences. A chi squared test (x²-test) was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 education and the occurrence of direct nurses's malpractice.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nurses' perceptions about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at the hospitals that were operating a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and those that were not. In addition, for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s of the necessity of a nurses' malpractice liability insurance system,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1. For the 16 types of nurses' malpractice, the type that occurred most often was drug errors, falling, and injection (muscle and blood) were similar in the indirect type and the direct type. The type that occurred most often was falling (28.3%) was the highest of the types they directly experienced and drug errors (25.1%) was the highest of the types they indirectly experienced. The nurses' service period of their direct and indirect malpractice experiences was 2-5 years in 47 persons (30.3%), and in 56 persons (36.1%), respectively. The education of the participants on nurses' malpractice and their direct malpractice experi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x²=3.303, p>.192). 2. In the nurses’ perceptions of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expans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ree ite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service period,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onthly income between those at hospitals that were operating a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and those at hospitals that were not. Regarding the necessity of a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80 people (51.3%) respond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while 75 people (48.1%) responded that it would not be necessary. There were differences in system (t=8.164, p<.000) and quality (t=2.929, p=.004) on the perceptions of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between the hospitals that were operating the service and those that were no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nursing practice (t=1.883, p=.062) and liability (t=1.354, p=.178)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between the two groups. 3. As for the matter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expanding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139 people (89.1%) responded that a nurse's malpractice liability insurance system would be necessary, while 17 people (10.9%) responded that it would not be necessary. Most of them perceiv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introduce the nurse's malpractice liability insurance system. As for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s of the need of a nursing malpractice liability insurance system, the implementation of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p<.002), age (p<.033), and position (p<.008)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types of nurses' malpractice and their experiences of it would be useful resources for the prevention of nurses' malpractice and problem-solving. The nurses’ perceptions of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could be used as basic data in considering a system of malpractice liability insurance. Key words: nurse's malpractice experience, type of nurse's malpractic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nursing malpractice liability insurance, sequential triangulation, ethnographic research method; This study uses the methodology of sequential triangulation, conducting a qualitative study and then a quantitative study with nurses. This was done in order to check the properties and meaning of their experienced malpractice, understand their perceptions of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and provide basic data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expansion. For the qualitative study, the ethnographic research method was used. Data was collected from seven people se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with the seven nurses were selected with a maximum variation purposive sampling among the nurses working at medical institutions in Korea, from October 20, 2014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834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714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