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8 0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고등학교 비평수업 지도방안 연구

Title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고등학교 비평수업 지도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about teaching plan on Criticism Class in high school Based on Intertextuality : Focusing on Miyazaki Hayao's Stories
Author
변경수
Alternative Author(s)
Byun, Kyung Soo
Advisor(s)
김선아
Issue Date
2015-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대중예술로서의 일본 애니메이션은 학생들의 인식전반에 강한 영향력을 끼친다. 자신의 감정을 이입할 수 있는 매력적인 캐릭터, 상상력을 자극하는 이미지, 그리고 시공간을 넘나드는 스토리 때문이다. 이 안에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측면의 문제들을 포함하여, 수많은 윤리적·철학적 딜레마들이 내포되어 있다. 이는 애니메이션이 엄연한 시각문화이자, 학생들의 삶의 문제에 깊이 개입하고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그러나 미술교육에 있어서 애니메이션은 여전히 창작기술이나 표현, 스토리텔링의 측면으로 그 연구가 집중되어 있으며, 이 문화를 비평적으로 소화하기 위한 접근은 부족하다. 또한, 비평의 대상이 기존의 전통적 회화에서 다양한 시각매체로 확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술비평 연구에서 활용하는 방법은 기존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이는 애니메이션이라는 소재를 활용한 비평수업 연구에 있어 또 다른 방법으로의 확장이 필요함을 뜻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미술비평의 연구범위를 애니메이션으로 확장함과 동시에 미술비평에 있어서 상호텍스트성의 유의미한 활용가능성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에 애니메이션이란 텍스트가 관계하는 다양한 요소와 텍스트를 보다 넓은 범위로의 의미 확장을 통해 비평이 자신의 삶에 유의미한 경험이 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고안하였다. 이를 위한 비평의 구체적 방법으로는 상호텍스트성에 주목하였다. 하나의 대상을 비평하는데 있어 관계하는 여러 대상에 주목하고, 수용자를 포함한 다양한 외적 텍스트와의 상호관계를 통해 의미를 구성하는 이 방법은 오늘날 비평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언어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비평은 대상을 있는 그대로 해석하고 수용했던 형식적·직선적인 방법을 보완하고, 다양한 요소와의 상호관련성이 가미된 순환적 비평수업을 설계할 하나의 방법으로써 의미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업에서 사용될 구체적인 소재로는 미야자키 하야오 작품에 집중하였다. 일본 내에서 철학자 또는 사상가로 인식되는 그가 30년 넘게 일본 애니메이션 발전의 중심에서 다른 작품에 끼친 영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본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메시지와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는 이미지들은 비평수업 내에서 학생들의 서로 다른 의미구성에 있어 적절한 소재가 된다. 특히 작품들에 일관되게 등장하는 소녀, 자연, 비행, 공동체 등의 요소는 상호텍스트성이란 방법적 측면에서 관계를 바탕으로 진행하는 본 수업연구에 유용하다. 이와 같은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비평수업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기존에 비해 학습자 중심의 순환적이고 역동적인 비평수업을 만들어 낼 수 있다. 하나의 대상을 비평하기 위한 다양한 텍스트의 활용, 다른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은 의미를 구성하기 위해 보다 복합적인 사고활동을 요구한다. 다중 텍스트를 접하는 과정 역시 교사의 제안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 찾아가는 것으로, 자신에게 의미 있는 것들을 자율적으로 판단하고 검토하게 된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작품에 대해 교사가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의미를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의미들과 스스로 상호작용하고 관계시키는 능동적인 독자가 될 것이다. 둘째,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이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사고를 길러줄 수 있다. 학생들에게 있어 일본 애니메이션은 삶과 매우 밀접한 매체이다. 미술교사는 애니메이션이 내포한 다양한 의미와 교훈 그리고 이데올로기를 비평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즉, 다양한 애니메이션을 수업의 소재로 활용하는 것은, 교실 내의 수업과 학생들의 교실 밖의 삶을 연결함과 동시에 이미지에 대한 비평적 사고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도안이 미술교육 현장에서 학습자 중심의 비평수업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또한 학생들에게는 단순한 흥밋거리, 어른들에게는 유치한 볼거리로 치부되었던 애니메이션이 다양한 텍스트와 상호 연관된 다양한 의미의 비평의 대상으로 받아들여지기 바란다. 이에 궁극적으로는 교실 내에서 작동했던 비평적 시각이 작품과 학습자의 경험을 연관시킴으로서 교실 밖 삶의 의미로까지 전이되는 경험을 제공하는데 일조할 것이라 기대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827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736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ART EDUCATION(미술교육전공)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