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재준-
dc.contributor.author이종륜-
dc.date.accessioned2020-02-19T16:32:10Z-
dc.date.available2020-02-19T16:32:10Z-
dc.date.issued2015-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8161-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7400en_US
dc.description.abstract국 문 요 지 건설 프로젝트에서의 생산성 문제는 국내의 건설산업에 종사하는 모든 이해관계자의 오랫동안의 관심사였다. 특히, 건축물의 전 생애주기 중 직접공사비가 투여되는 시공단계에서의 생산성 문제는 해당 프로젝트의 수익성, 즉 성패를 가르는데 아주 중요한 이슈로 손꼽힌다. 이러한 측면에서, 시공 프로젝트를 발주받아 공사를 수행하는 원도급자, 즉 일반건설업체는 프로젝트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강구하게 되는데, 주로 공정관리, 원가관리, 품질관리, 인력관리 등이 그 예로써 이러한 분야에 대한 연구나 학문은 Construction Management에서 오랫동안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정작 프로젝트를 직접도급 혹은 원도급자로부터 하도급받아 공사를 수행하는 전문건설업체의 생산성에 대한 연구나 논의는 충분하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프로젝트의 수익을 높이는 방안으로써 전문건설업체의 생산성을 화두로 삼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으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응용하는 아이디어에서 시작하였다. 물론 발주처/CMr의 관점에서의 시공 BIM 기술이나 원도급자가 활용할 수 있는 시공 BIM 기술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반면, 실제 공사를 수행함으로써 프로젝트의 생산성에 직접영향을 끼치는 전문건설업체의 시공 BIM 활용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태인 반면, 그 중요도는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문건설업체의 시공 BIM 기술 활용을 위해서는 단편적이고 체계적이지 않은 기술 접목이 아닌 일반건설업체의 관리를 위한 개념에서의 전문건설업체 시공 BIM 수행계획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 하에서, 전문건설업체 중 프로젝트의 공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골조공사를 담당하는 철근콘크리트 업체의 시공 BIM 수행계획을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철근콘크리트 업체의 시공 BIM Use List와 BIM 활용 Master Process, 그리고 각각의 시공 BIM Use에 대한 Detailed Process를 모델링하고자 한다. 개발되는 시공 BIM 수행계획은 원도급자인 일반건설업체의 입장에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다양한 전문건설업체의 공정, 원가, 기성, 품질, 안전, 공사 등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시공단계에 참여하는 전문건설업체를 위한 시공 BIM 수행계획 구축 - 철근콘크리트 업체를 중심으로 --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종륜-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공학대학원-
dc.sector.department건설관리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DEPARKMENT OF CONSTRUCTION MANAGEMENT(건설관리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