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8 0

방범환경설계(CPTED) 전략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방범환경설계(CPTED) 전략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Strategy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Author
백낙종
Alternative Author(s)
Baek,Nak Jong
Advisor(s)
조성민
Issue Date
2015-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방범환경설계(CPTED)란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이란 뜻으로 건축물 설계 시부터 다양한 안전설계를 통해 범죄를 사전에 차단하는 기법이다. 안전시설물을 고안하고 건축물을 완성시켜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을 범죄로부터 안심시킬 수 있는 수단을 선(先)적용시키는 설계이론으로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이를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례들이 지역주민들의 주거 만족도에 미치는 실증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개발지역에 대한 CPTED 적용으로 주거환경을 개선한 특정 지역을 선정하고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 및 방범환경, 부동산 가치, 안전성, 커뮤니티 및 심리적 요인 등 주거 만족도의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CPTED 전략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대표적인 CPTED 적용 사례로 보고되고 있는 서울시 마포구 염리동 지역 거주민을 대상으로 CPTED를 적용한 주거환경개선 사례를 조사·분석하여 요인별 거주자의 주거 만족도와 그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지역적 요인은 교육환경, 대중교통 이용, 활동의 안전성면에서 지역 주민의 주거 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며, 차량 통행 및 주차의 편리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둘째, 방범환경 요인은 거주지 주변 경비 및 방범상태, 방범에 대한 주민 간 연대, 방범순찰활동에 있어서 주거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커뮤니티 요인은 운동시설 운영 면에서 높게 평가되었으며, 노인시설 및 휴게시설 운영에 있어서는 다소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심리적 요인은 주민의 생활의식과 관련하여 이웃 간의 친밀도, 지역주민과의 교제활동, 거주 지역에 대한 애착 정도에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범죄에 대한 두려움과 관련해서는 다른 요인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다섯째, 가격 요인은 지역의 가치와 주택가격의 상승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여섯째, 비용 요인은 주택의 관리유지와 관련하여 비교적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 보였다. 이를 분석해보면, CPTED를 적용한 주거환경개선이 범죄예방뿐만 아니라 환경 보전과 삶의 질 향상, 경제적인 가치 상승 면에서도 큰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노후화된 주택지역에 대한 범죄예방과 주거환경개선을 통한 주거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CPTED 적용 사례는 앞으로도 계속 증가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한 향후 발전 전망은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향후 CPTED 전략을 적용함에 있어서 CCTV 설치 확대 및 조명 개선 등 감시성의 강화, 효율적인 CPTED 지침서 작성 및 적용, CPTED 인증제도의 확립, 주민 참여형 CPTED의 추진 및 유지관리 강화 등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813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732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REAL ESTATE(부동산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