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4 0

영어 동사 put, set, lay의 의미

Title
영어 동사 put, set, lay의 의미
Other Titles
Semantics of English Verbs put, set, and lay : A Cognitive Grammar Analysis
Author
박영태
Advisor(s)
김일곤
Issue Date
2015-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논문은 인지문법(Cognitive Grammar)을 이론적 틀로, 한 물체의 장소이동을 나타내며 유사한 의미를 지닌 동사 put, set, lay의 중심의미를 찾아내고, 그 중심의미가 어떻게 확장되는지,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세 동사의 의미가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익주(1993)의 동사 put과 set에 대한 연구에서는 이러한 장소이동을 나타내는 동사들은 전치사가 뒤에 오는 명사를 세분화시키는 과정에서 이들 동사의 의미변화가 일어난다고 분석하며 전치사의 역할에 비중을 두고 있다. 그가 주장하는 이들 동사의 의미가 변화하는 과정은 상당한 합리성은 있지만, put과 set의 변화된 의미를 겉으로 드러나는 현상으로만 파악하여, 이 두 동사의 의미 차이를 정확하게 파악하기에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고 본다. 그리고 이기동(2008)의 동사 lay에 대한 연구에서는, lay를 자동사와 타동사 두 부류로 나누고 그 용법에 국한하여 의미를 파악함으로써 동사 lay의 본질적인 의미가 잘 드러나지 않는 점이 있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본 논문에서는 연구의 주 대상을 동사 put, set, lay의 중심의미의 본질을 파악하고, 이 중심의미가 상황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의미 변화를 의미 확장 현상으로 보고 그에 따른 영역변이를 더 분명하게 나타내 보이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수직성(verticality)’,‘수평성(horizontality), 그리고‘유연성(flexibility)’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고, 이것을 통하여 이동 후에 최종장소에 놓이는 지표1(목적어)의 모습을 묘사한다. 또한 지표가 이동을 할 때, 그 이동방향을 상향이동, 수평이동, 하향이동의 모습으로 분류하여 설명하는데, 이것은 지표1의 이동 후 최종장소에서 의 모습이나, 지표1이 이동하는 방향성이 세 동사들의 중심적인 특성을 구별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리고 장소이동 동사들과 함께 쓰이는 불변화사의 역할도 중요한 내용으로 다루어 동사와 불변화사의 의미관계에서 나타나는 세 동사의 의미차이를 더 명확하게 파악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를 시작하게 된 목적을 밝히고, 그 구성에 대한 언급을 한다. 제2장에서는 본 논문과 관련된 선행연구의 분석을 소개한다. 동사 put과 set에 관해서는 나익주(1983)의 분석을 알아보고, 동사 lay에 관해서는 이기동(1995, 2008)의 분석을 살펴보고, 이 연구들이 갖는 장점과 미비점을 알아본다. 이 논문의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체로 손으로 다룰 수 있는 개체(manipulated entity)들인 지표1들의 이동의 방향이 세 동사의 의미파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put은 상향이동, 수평이동, 하향이동 등에 제한이 나타나지 않는 동사로, set은 수평이동, 하향이동에 제한이 나타나지 않는 동사로, lay는 하향이동에 제한이 없는 동사로 성격을 결정할 수 있었다. 둘째, 세 동사들의 중심의미 파악에는 지표1의 이동 후의 모습이 주요한 요소로 등장하는데, put은 지표가 이동한 후에 최종장소에서 보이는 모습을 크게 부각시키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set은 지표가 이동 후에 최종장소에서 주로 수직으로 나타나는 특성을 보이고, lay는 최종장소에서 지표가 수평성을 주로 보이는 특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이들 동사들의 의미변화 현상은, 주어에 해당되는 탄도체와, 목적어로 쓰이는 지표1, 전치사 뒤에 나오는 명사인 지표2의 기여도에 의해 결정이 되는데, 즉, 장소이동을 나타내는 동사들은 지표1과 지표2 사이에서 나 타나는 의미적 관계(semantic relation)에 따라, 의미의 전이(semantic shift)가 일어나고, 여기에서 주어에 해당되는 탄도체의 행위자성과 사역성이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표1의 이동현상과, 지표1의 재귀성과 복원성, 그리고 지표들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영역이동(domain shift)과 이에 의한 의미 확장(semantic extension) 현상이 지표의 의미윤곽의 이동현상에 중요한 요소가 됨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들 동사들이 불변화사 up, down, in, out과 함께 만드는 구절동사에서도 세 동사의 중심의미는 구절동사의 문법성과 의미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809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745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NGLISH LANGUAGE & LITERATURE(영어영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