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3 0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사회교과제재의 통합 방식 분석

Title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사회교과제재의 통합 방식 분석
Author
정수용
Advisor(s)
주미경
Issue Date
2015-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21C 현대 사회는 끊임없는 과학기술의 발달과 지식의 무한한 생산 등으로 인해 복잡다단한 현상 속에서 급변해 가고 있다. 우리가 접하게 되는 사회문제는 더 이상 특정 분야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상호관련을 맺고 있다. 이러한 현대사회의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분과학문적 지식은 유용성을 갖지 못하고 다양한 지식 사이에 통합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왔다. 이에 따라 학교교육은 학문 분야 뿐만 아니라 실생활에서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 등을 포함한 융복합교육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지금까지 융복합교육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교육현장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게 된 계기는 융합인재교육(STEAM)(이하 STEAM)으로 다양한 교육적 방법들이 제시되어왔다. STEAM은 과학기술과 관련한 다양한 분야에 걸쳐 융합적인 소양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학교교육현장에서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안은 지속적으로 논의되어오고 있다. 그러나 STEAM이 과학과 기술 교과 중심으로 교과 간 연계 수준에 치우쳐 있다는 문제점들이 제기되어왔다. 따라서 단순히 교과 간 연계 수준을 넘어 사회문화적·인식론적으로 다양한 지식의 통합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교육 주체 사이에 협력적 관계를 통해 학습자가 지식의 능동적 생산자로 성장해갈 수 있는 융복합교육이 필요하다. 융복합교육은 자율성(autonomy), 연계성(bridgeability), 맥락성(contextuality), 다양성(diversity)의 ABCD 모델로 설명되어지는데, 수학교과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 국가 교육과정 및 교육정책 문서들의 내용을 살펴보면 융복합교육의 기본 원리를 함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수학교과가 가지는 융복합적 특징을 학교교육현장에서 구체화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함과 동시에 더 나아가 융복합교육이 수학교과에서 실현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분과학문적인 중등학교 교육현장에서 수학교과를 중심으로 다른 교과와의 통합을 구현해가는 일은 쉽지 않기 때문에 교육현장의 현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학교교육에서 중요한 학습자료인 교과서의 비교·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초등학교 교과서를 대상으로 분석하거나 STEAM 관련 특정 교과에 치우쳐 있기 때문에 좀 더 다양한 교과의 교과서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학교과에서 융복합교육의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기초연구로써 2009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에 기반한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사회교과제재의 통합방식을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2009 개정 중학교 사회교과서를 사회교과 용어사전을 중심으로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사회교과 내용영역에 따라 주로 제시하고 있는 사회교과제재들은 무엇인가? 2. 2009 개정 중학교 수학교과서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수학교과 내용영역에 따라 수학교과서에서 주로 제시하고 있는 수학-사회 공통제재들은 무엇인가? 3. 2009 개정 중학교 수학교과서에서 수학교과 전 내용영역에 걸쳐 등장한 수학-사회 공통제재는 무엇이며, 다른 제재와 어떠한 연결관계를 보여주고 있는가? 4. 2009 개정 중학교 수학교과서에서 수학교과 전 내용영역에 걸쳐 등장한 수학-사회 공통제재는 어떠한 통합방식을 보여주고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정량적 분석방법은 연구문제 1, 2, 3에서 텍스트마이닝 기법에 기초한 빈도분석과 연관분석을 활용하였고, 정성적 분석방법은 연구문제 4에서 내용분석법을 시행하였다. 분석대상은 2009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에 근거한 수학교과와 사회교과의 전 학년 교과서를 선정하였다. 각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에서는 사회교과 내용영역, 즉 지리와 일반사회 영역에 따라 제재라고 판단한 용어들을 빈도분석을 통해 추출하였으며, 그 중 합성명사에 해당하는 용어들만을 사회교과제재로 선정하였다. 각 내용영역별로 추출한 사회교과제재들을 살펴보면, 지리 영역은 ‘자연환경’, ‘다국적기업’, ‘사막화’ 등이었고, 일반사회 영역은 ‘기본권’, ‘행정부’, ‘민주정치’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2에서는 수학교과 내용영역, 즉 수와 연산, 문자와 식, 함수, 확률과 통계, 기하 영역에 따라 연구문제 1의 분석결과를 기준으로 사회교과제재에 해당하는 용어들을 빈도분석하여 추출하였다. 수와 연산 영역에서는 ‘지진해일’, ‘해수면’, ‘건축물’ 등 39개의 제재, 문자와 식 영역은 ‘인공위성’, ‘건축물’, ‘고속국도’ 등 41개의 제재, 함수 영역은 ‘이산화탄소’, ‘탄소발자국’, ‘사막화’ 등 45개의 제재, 확률과 통계 영역은 ‘올림픽’, ‘온실가스’, ‘강수량’ 등 55개의 제재, 그리고 기하 영역에서는 ‘문화재’, ‘제주도’, ‘인공위성’ 등 39개의 제재가 추출되었다. 추출된 제재들을 다시 지리와 일반사회 그리고 공통 영역으로 재분류하였다. 연구문제 3에서는 수학교과서에서 추출된 수학-사회 공통제재들을 수학교과 내용영역과 사회교과 내용영역에 따라 교차행렬표를 작성하여 전체 분포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수학교과서 전 내용영역에 걸쳐 등장한 수학-사회 공통제재를 탐색하여 각 제재가 교과서에서 서술된 부분을 대상으로 연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먼저 수학교과서에서 추출된 수학-사회 공통제재는 총 218개로써 사회교과 내용영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지리 영역은 104개, 일반사회 영역은 22개, 공통 영역은 92개로 나타났다. 한편, 수학교과 내용영역별 분포현황은 수와 연산 영역은 39개, 문자와 식 영역은 41개, 함수 영역은 45개, 확률과 통계 영역은 55개, 기하 영역은 39개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수학-사회 공통제재들 중 수학교과서 전 내용영역에 걸쳐 등장한 제재는 ‘제주도’, ‘이산화탄소’, ‘친환경’, ‘지구온난화’로 도출되었다. 이 제재들 중 ‘이산화탄소’와 ‘지구온난화’ 제재는 동일한 학습과제에서 같이 제시된 사례가 절반에 해당하여 동일제재로 분류하였다. 최종적으로 통합방식을 분석하기 위한 제재는 다빈도 분포를 기준으로 ‘제주도’와 ‘이산화탄소’ 및 ‘지구온난화’ 제재를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주도’, ‘이산화탄소’ 및 ‘지구온난화’ 제재를 중심으로 관련 제재와의 연결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연관분석을 시행하였다. ‘이산화탄소’와 ‘지구온난화’ 제재는 사회교과서와 수학교과서 모두 관련 제재들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상호간의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준 반면, ‘제주도’ 제재는 사회교과서에 비해 수학교과서에서 관련 제재의 연결관계를 찾아보기 어려웠다. 연구문제 4에서는 수학교과서에서 제시된 사회교과제재의 통합방식을 분석하기 위해 수학-사회 공통제재와 관련된 주제, 연관제재 등이 서술된 부분을 각각 사회교과서와 수학교과서에서 발췌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학중심형’, ‘사회중심형’, ‘지식연계형’, ‘생애기량형’의 통합방식 유형을 분류할 수 있었다. 총 70개의 학습과제 중에서 ‘수학중심형’ 38개, ‘사회중심형’ 12개, ‘지식연계형’ 13개, ‘생애기량형’ 7개로 분석되었다. ‘제주도’ 제재는 총 41개의 학습과제 중 ‘수학중심형’ 32개, ‘사회중심형’ 7개, ‘지식연계형’ 3개의 분포현황을 보여주었고, ‘이산화탄소와 지구온난화’ 제재는 총 28개의 학습과제 중 ‘수학중심형’ 6개, ‘사회중심형’ 5개, ‘지식연계형’ 10개, ‘생애기량형’ 7개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현 중학교 수학교과서에서는 일반사회 영역과 관련된 사회교과제재의 활용정도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수학교과서에서 추출된 사회교과제재들의 분포현황을 살펴보면, 총 218개의 사회교과제재 중 공통 영역을 제외한 일반사회 영역에 해당하는 제재는 22개로써 약 10%의 낮은 비율의 분포를 나타냈다. 학습자에게 여러 가지 제재를 중심으로 교과 간 통합학습이 이루어진다면 학습자는 다양한 통합의 맥락을 균형적으로 경험하게 될 것이다. 둘째, 현 중학교 수학교과서에서 유사한 빈도분포를 보여주고 있는 사회교과제재라 할지라도 관련 제재의 연결관계에 따라 수학교과와 사회교과 사이에 연계성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사회 공통제재인 ‘제주도’와 ‘이산화탄소’ 및 ‘지구온난화’를 중심으로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과 중심성 분석을 시행하여 사회교과서와 수학교과서를 비교하였다. ‘제주도’ 제재는 네트워크 관계도가 상당 부분 불일치하거나 사회교과서에 비해 수학교과서에서 낮은 중심성 지표 수준을 보여준 반면 ‘이산화탄소’와 ‘지구온난화’ 제재는 네트워크 관계도에서 다수의 동일한 제재들이 유사한 연결관계를 보여주었고 중심성 분석에서도 높은 지표 수준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제재를 중심으로 교과 간 연계성을 고려할 때 빈도수 뿐만 아니라 관련 제재와의 연결관계까지 살펴봐야 할 것이다. 셋째, 제재의 활용방식에 따라 교과 간 통합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교과서에서 사회교과제재가 활용된 부분을 근거로 수학교과서에서 사회교과제재의 통합방식을 분석하였다. 주로 제재를 단순소재로 사용하거나 사회교과와 관련없는 내용을 제시한 ‘제주도’ 제재는 주로 분절형, 순차모형과 유사한 ‘수학중심형‘이나 ’사회중심형‘이 약 93%의 비율로 나타났고, 사회교과제재와 관련된 내용을 사회교과와 수학교과의 핵심개념과 연계시키거나 실생활 기량과 연결시키는 ‘이산화탄소와 지구온난화’는 공유모형, 꼬치모형과 같은 ‘지식연계형’이나 ‘생애기량형’이 약 61%의 분포현황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교과 간 통합의 방식이 관련 제재를 중심으로 각 학문분야 사이에 지식, 기능, 태도 등을 어떠한 방식으로 연계시키느냐에 따라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교과 간 통합이 제재나 주제 중심으로 이루어진다면 상호교과에서 제재나 주제와 관련된 제재의 활용방식을 고려해야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사회 공통제재를 중심으로 관련 제재와의 연결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정량적인 연관분석과 정성적인 내용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제재들 사이에 네트워크 관계나 연계성이 부족한 ‘제주도’ 제재는 대부분 약 93%에 해당하는 다학문적 접근방식을 보여주었으나 제재들 사이에 상호관련성이 밀접한 연관관계를 보여준 ‘이산화탄소와 지구온난화’ 제재는 약 61%에 해당하는 간학문적 접근방식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상호관련성이 있는 제재들 사이에 연계성을 고려한 교과 간 통합이 이루어진다면 학습자는 보다 큰 그림 안에서 지식의 융복합성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게 되는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의 범위가 한정적이었던 선행연구들에 비해 본 연구는 중학교 전 학년에 해당하는 수학교과서와 사회교과서를 전수조사함으로써 표본조사를 통해 나타나는 결과의 오차를 최소화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점점 다양화 되어가는 교과서들의 자료를 분석함에 있어 빅데이터 분석에 적용되는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교과 간 연계가능한 제재들을 발견하고 많은 제재들 사이의 연계성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제재를 중심으로 교과 간 통합을 고려할 때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을 교차 활용함으로써 타 교과제재의 기준을 명확히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넷째, 현 학교교육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수학교과서에서 사회교과제재의 통합방식을 분석함으로써 융복합교육의 실질적인 교수-학습 자료의 방향성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교과서 분석뿐만 아니라 좀 더 다양한 교과 간의 통합을 통한 수학교과에서 융복합교육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복합어(합성명사)를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단일어에 해당하는 사회교과제재의 맥락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후속 연구에서는 단일어를 포함한 모든 제재들을 포함하여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인 빈도분석에 기초하여 사회교과제재를 선정하였기에 사회교과제재의 기준을 명확히 하는데 어려운 점이 있었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서는 교과 간 지속적인 분석과 협의를 통한 보다 합리적인 제재의 선정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일부 사회교과제재만을 분석대상에 선정하였기에 추후 연구에서는 좀 더 다양한 사회교과제재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사회교과로 분석대상을 한정하였기에 후속 연구에서는 좀 더 다양한 학급과 교과를 대상으로 교과 간 통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A modern society of 21 century is undergoing an abrupt change in complicated phenomena due to the constant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infinite production of knowledge. Social problems which we are faced with are not restricted to a certain field any longer but have to do with each other simultaneously in a variety of fields. Knowledge of diverse scientific branches could not show utility; instead, the significance of integration in resolving problems of a modern society has been emphasized. Eventually, nowadays school education is focused on Yungbokhab Education, which covers knowledge, function, and attitude necessary for our real life. As educational arenas in Korea started to address Yungbokhab Education, a wide range of educational methods based on STEAM have been presented so far. STEAM aims for cultivating creative and convergent able persons who are equipped with integrated culture over various fields, and plans for achieving it in educational arenas have been constantly discussed. However, problems have been raised of remaining at the level of making a connection between academic subjects by centering around academic subjects of science and technical training.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 socio- cultural and epistemic integration of diverse knowledge beyond the level of merely making a connection between academic subject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Yungbokhab Education by which learners can grow as active producers of knowledge through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educational participants. Yungbokhab Education can be explained through ABCD model of Autonomy, Bridgeability, Contextuality, and Diversity. Both details of various researches related to a subject of mathematics and documents of curricula and educational policies of the nation imply basic principles of Yungbokhab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xplore how to materialize Yungbokhab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in educational arenas of schools. Furthermore, plans for achieving Yungbokhab Education in a subject of mathematics should also be constantly sought. However, in educational arenas of secondary school, which are divided into diverse scientific branches, it is not easy to fulfill the math-centered integration of other academic subject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analyze textbooks, a crucial learning material of a fundamental research for grasping the exact state of affairs of educational arena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of integrating learning materials of a subject of social studies which were presented on the basis of middle school curriculum revised in 2009 as a basic research for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of Yungbokhab Education. Two analyzing devices for exploring the integrating methods were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For the sake of this exploration, the following subjects for inquiry were established: 1. As a result of making a quantitative analysis of middle school textbooks of social studies which were revised in 2009, by centering around the glossary of a subject of social studies, what are materials which are mostly presented according to content realms of social studies? 2. As a result of making a quantitative analysis of middle school textbooks of mathematics which were revised in 2009, what are common materials of mathematics and social studies which are mostly presented in mathematics textbooks according to content realms of mathematics? 3. What are common materials of mathematics and social studies which emerged across the overall content realms of mathematics in middle school textbooks of mathematics which were revised in 2009 and what relationship did they have with other materials? 4. What are integrating methods which common materials of mathematics and social studies have, in emerging across the overall content realms of mathematics in middle school textbooks of mathematics? In order to answer questions which are mentioned above, frequency analysis and linkage analysis based on a method of text mining in questions 1, 2, and 3 were utilized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while a content analysis method was performed in question 4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Whole-year textbooks of mathe- matics and social studies, which were based on middle school curriculum revised in 2009, were selected as analysis targets.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of each question are as follows: In question 1, terms which were considered to be materials in content realms of social studies―fields of geography and general social studies―were extrac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mong which only terms relevant to compound nouns were selected as materials of social studies. As for materials of social studies extracted according to each content realm, materials of a realm of geography were 'natural environment', 'multinational corporation', and 'desertification', etc; materials of a realm of general social studies were 'basic human rights', 'administration', and 'democracy', etc. In question 2, according to content realms of mathematics―number and arithmetic operation, letter and formulation, function, probability and statistics, and geometry―terms relevant to materials of social studies were extracted on the basis of analysis results of question 1. In a realm of number and arithmetic operation, 39 materials of 'tsunami', 'surface of the sea', and 'building', etc. were extracted; in a realm of letter and formulation, 41 materials of 'artificial satellite', 'building', and 'expressway', etc. were extracted; in a realm of function, 45 materials of 'carbon dioxide', 'carbon footprints', and 'desertification', etc. were extracted; in a realm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55 materials of 'Olympics', 'greenhouse gas', and 'precipitation', etc. were extracted; and in a realm of geometry, 39 materials of 'cultural assets', 'Jeju Island', and 'artificial satellite', etc. were extracted. Extracted materials were classified again into geography, general social studies, and common realms. In question 3, an overall current situation of distribution was examined by drawing a table of alternating matrix with common materials of mathematics and social studies extracted from mathematics textbooks according to content realms of mathematics and social studies. In addition, linkage analysis was carried out targeting details where each material was mentioned by exploring common materials of mathematics and social studies, which emerged across the whole content realms of a mathematics textbook. First of all, a total of 218 common materials of mathematics and social studies were extracted from mathematics textbooks. In a realm of geography, 104 materials were extracted; in a realm of general social studies, 22 materials were extracted; and in common realms, 92 materials were extracted. 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situation of distribution according to content realms of mathematics, in a realm of number and arithmetic operation, 39 materials were extracted; in a realm of letter and formulation, 41 materials were extracted; in a realm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55 materials were extracted; and in a realm of geometry, 39 materials were extracted. Secondly, common materials which emerged across the whole content realms of mathematics textbooks were 'Jeju Island', 'carbon dioxid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global warming'. Out of them, 'carbon dioxide' and 'global warming' were classified as the same material because half of cases of the two materials were presented together in the same learning tasks. 'Jeju Island', 'carbon dioxide', and 'global warming' were selected as materials for ultimately analyzing integrating methods on the basis of multi-frequency distribution. Finally, linkage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relevant materials, by centering around 'Jeju Island', 'carbon dioxide’, and 'global warming'. 'Carbon dioxide' and 'global warming' showed that both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mathematics textbooks had a variety of relevant materials and a clos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while in the case of 'Jeju Island', it was hard to find some relationship among relevant materials in mathematics textbooks, contrary to social studies textbooks. In question 4, in order to analyze integrating methods of materials of social studies, which were presented in mathematics textbooks, comparison and analysis were made by extracting details where both subjects associated with common materials of mathematics and social studies and their linked materials were described from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mathematics textbooks. As a result, types of integrating methods such as 'Math-Centered Model', 'Social studies-Centered Model', 'Knowledge Linkage Model' and 'Life-skill Model’. A total of 70 learning tasks consisted of 38 'Math-Centered Model', 12 'Social studies-Centered Model', 13 'Knowledge Linkage Model', and 7 'Life-skill Model’. In the case of 'Jeju Island,' the current situation of distribution indicated 34 'Math-Centered Model', 7 'Social studies-Centered Model', and 3 'Knowledge Linkage Model'. As to 'carbon dioxide' and 'global warming,' a total of 28 materials were made up of 6 'Math-Centered Model', 5 'Social studies-Centered Model', 10 'Knowledge Linkage Model', and 7 'Life-skill Model’.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possible to draw a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current middle school textbooks of mathematics are short of satisfactory availability of materials of social studies related to a realm of general social studies. The current distribution situation of materials of social studies which were extracted from mathematics textbooks indicated about 10% of low distribution rate―only 22 materials were relevant to a realm of general social studies except common realms out of a total of 218 materials of social studies. If learners carry out integrated learning among class subjects through a wide range of materials, they will be able to make a balanced experience of various contexts of integration. Second, though materials of social studies indicate similar frequency distributions in the current middle school textbooks of mathematics, mathematics and social studies can have separate connectivity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of relevant materials. In this study, the comparison of textbooks of social studies and mathematics textbooks was made by carrying out the analysis of social network and centrality, by centering around 'Jeju Isand', 'carbon dioxide', and 'global warming'―common materials of mathematics and social studies. 'Jeju Island' indicated the considerable discordance of a network diagram or a low level of centrality index in mathematics textbooks, contrary to textbooks of social studies, while in the case of 'carbon dioxide' and 'global warming', a lot of identical materials indicated a similar relationship in a network diagram. Therefore, given the connectivity among class subjects on the basis of materials, it is necessary to examine not only their frequencies but also a relationship with relevant materials. Third, integrating methods among academic subjects can vary according to methods of utilizing materials. In this study, integrating methods of materials of social studies in mathematics textbook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materials of social studies which were utilized in textbooks of social studies. In 'Jeju Island', where materials were simply used for the most part, or details unrelated to a subject of social studies were presented, 'Math-Centered Model' or 'Social studies-Centered Model', which were similar to a segment type or a sequential model, made up about 93% of the current situation of distribution.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carbon dioxide' and 'global warming', which connected details related to materials of social studies with either core constructs of mathematics and social studies or real-life skills, a 'Knowledge Linkage Model' or a 'Life-skill Model', which was similar to a shared model or a model of a skewered food, made up about 61% of the current situation of distribution. Consequently, difference can be made according to how integrating methods among class subjects connect knowledge, function, and attitude among each academic field, by centering around relevant materials. Fourth, for the sake of the integration among class subjects by centering around materials or topics, methods of utilizing materials or relevant materials should be considered by both of the two academic subjects. In this study, quantitative linkage analysis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relevant materials by centering around common details of mathematics and social studies. In the case of 'Jeju Island', which was short of a network relationship or connectivity among materials as a result of analysis, materials mostly indicated about 98% of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In contrast, in the case of 'carbon dioxide' and 'global warming', which had a close correlation among materials, materials showed 61% of approaches among academic fields. Therefore, if the integration among academic fields can be made by considering the connectivity of correlated materials, learners will be able to experience the quality of Yungbokhab of knowledge in various circumstances. The desired effec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ompared with earlier researches which had a narrow range of analysis targets,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e number of errors of results which are produced through a sample survey can be minimized by taking a total inspection of whole-year textbooks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and social studies. Second,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n analyzing data of textbooks which become diversified more and more, it is possible to discover materials which can be connected among academic subjects and to examine connectivity of a lot of materials by utilizing a method of text mining which is applied to analyzing large data. Third,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e standards which materials of academic subjects have became evident by utilizing alternately qualitative analysis and quantitative analysis in considering the material-centered integration among academic subjects. Fourth,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by grasping the relationship among materials through linkage analysis, the directivity of integration among academic subjects which can reflect properly contexts of other academic subjects could be established. Fifth,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by analyzing integrating methods of materials of social studies in mathematics textbooks which are utilized in the current educational arenas, it was possible to provide substantial data of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Yungbokhab Education. I intend to make a following suggestion for applying Yungbokhab Education to a subject of mathematics through the integration among a wider range of academic subjects as well as analyzing textbooks. First, in this study an analysis was carried out by centering around compound nouns, contexts of materials of social studies relevant to simple words were not sufficiently understo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all materials including simple words in a later study. Second, in this study the selection of materials of social studies was made on the basis of quantitative frequency analysis, so it was hard to clarify standards of materials of social stud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lect materials more rationally through constant analyses and discussions among academic subjects. Third, in this study only a few materials of social studies were selected as analysis targets, so it is necessary to analyze a wide range of materials of social studies in a later study.; A modern society of 21 century is undergoing an abrupt change in complicated phenomena due to the constant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infinite production of knowledge. Social problems which we are faced with are not restricted to a certain field any longer but have to do with each other simultaneously in a variety of fields. Knowledge of diverse scientific branches could not show utilit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802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690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ATHEMATICS EDUCATION(수학교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