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1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응화-
dc.contributor.author김명산-
dc.date.accessioned2020-02-19T16:31:30Z-
dc.date.available2020-02-19T16:31:30Z-
dc.date.issued2015-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7949-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7299en_US
dc.description.abstractIT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현대 생활은 전방위적인 디지털 혁명의 소용돌이에 휩쓸리고 있다. 교수/학습 방식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라, 교수자 중심의 전통적인 제도권 교육에서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는 전천후 교육체제로 변화되고 있다. 즉, 교수자 중심적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에게 보다 많은 책임감과 자유권을 주는 학습자 중심적인 학습환경(learner-centered environment)으로 전환되고 있다. 특히,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는 고등교육 자료를 일반인들에게 개방하자는 대학의 움직임으로 시작되어 이제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만 마련되면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학습을 해서 실력을 갖출 수 있는 길을 열고 있다. 모바일 환경에 있어서도 교육 서비스는 콘텐츠 자체의 양적, 질적 성장을 거듭하고 있으나, 지속적인 학습동기를 부여하고 소기의 학업성취를 이룰 수 있는 지원체계는 매우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서비스를 이용하는 학습자 관점에서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고, 학습효과와 관련된 기능수요를 도출하여 모바일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모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문헌연구와 언론 보도 자료를 기본으로 한 실증연구를 통해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교수/학습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스마트기기 대중적 보급과 모바일 인프라의 안정적 구축에 따른 모바일 교육환경의 확산 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모바일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필연적으로 직면하는 자기조절학습과 관련된 이론적 배경과 온라인 교육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 전략이 유효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지에 대한 선행 연구를 리뷰함으로써 모바일 교육 서비스에 대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 Ⅲ장에서는 모바일 교육 콘텐츠를 접하는 인터페이스로서 다양한 채널을 통해 확산되고 있는 모바일 교육서비스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교육공급자 관점에서 전통적인 교육 체제를 탈피한 공개강좌 서비스의 사례를 수집하고 각 사례별로 특징을 파악해 보았다. 또한, 교육 콘텐츠의 소비자 관점에서 공개강좌 서비스의 이용 동기, 유형 등 서비스 이용행태에 대해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모바일 교육 서비스 이용행태에 대한 기초 자료를 바탕으로, 서비스 플랫폼의 사용성 평가를 통해 서비스 사용자 경험을 파악해 보았다. 평가에 앞서 선행 연구 리뷰를 통해 모바일 교육 서비스 사용성 평가를 위한 평가척도를 도출하였다.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여 평가척도에 대해 검토하고, 수정 보완된 사용성 요소를 바탕으로 보다 많은 평가단을 통해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평가과정을 통해 교육서비스의 기능적, 감성적 사용성을 분석하고, 학습 효과 제고를 위한 기능적 수요를 파악하였다. Ⅴ장에서는 Ⅳ장의 모바일 교육 서비스 사용자 경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서비스 개선 방향을 정의하고, 학습자 중심의 모바일 교육 서비스 대안으로서, 모바일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구사하여 학업성취를 제고할 수 있는 개념적 모델을 제안하였다. 특히, 모바일 교육콘텐츠의 주를 이루는 동영상 타임라인을 기반으로 한 상호작용 모델과 구현방안을 연구의 결과로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모바일 교육 서비스를 이용하는 학습자 관점에서 사용성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는 점과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활용하여 학습효과 제고할 수 있는 기능 수요를 도출함으로써 기존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개념적 모형이, 향후 교육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 보다 자기주도적인 학습 동기를 발현하여, 효과적으로 학업성취를 이룰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 개발 및 리뉴얼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서의 역할을 기대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모바일교육 서비스 사용자경험(UX) 향상을 위한 자기조절 학습 지원모형-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김명산-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디자인학부-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시각디자인-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SIGN(디자인학부)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