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 0

정지용 시 영향관계 연구

Title
정지용 시 영향관계 연구
Author
하빛나
Advisor(s)
유성호
Issue Date
2015-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문초록 이 논문은 정지용 후기 시집 『백록담』이 『청록집』에 미친 영향을 밝히고자 작성되었다. 예술에서 영향은 필연적이다. 훌륭한 작품의 창조적 계승이 다시금 예술작품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의 영향관계를 분석하는 일은 시인의 시사적 위치와 시세계를 조망하는 주요한 열쇠가 될 수 있다. 이 논문은 정지용 후기시집 『백록담』과 박목월, 조지훈, 박두진 세 시인의 합동시집 『청록집』을 대상으로 삼는다. 청록파 세 시인은 모두 정지용의 추천으로 『문장』을 통해 등단하였다. 당시 『문장』지의 편집위원으로 있던 정지용은 후배 시인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문장』으로 등단한 시인들의 회고는 정지용의 선후평이 후진의 시의식을 지배하고 시작의 방향까지 좌우했음을 보여준다. 세 시인 역시 이러한 영향에서 자유롭지는 못했을 것이다. 청록파 시인의 추천작이 모두 자연을 소재로 한 작품이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본 논문은 총 4장으로 구성되었으며 Ⅱ장에서는 세 시인의 『문장』지 추천작의 특징과 정지용의 평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정지용의 평가가 그들의 시 창작 초기에 구체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청록파 세 시인 중 시후평에 따라 가장 큰 변화의 폭을 보인 시인은 조지훈이었다. 이어 Ⅲ장에서는 『청록집』에 실린 시편들의 내용, 형식, 시어와 『백록담』의 시세계를 비교 분석하여 정지용 후기 시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지용의 후기시의 특징을 ‘산수시’로 규정할 수 있다. 『백록담』은 산을 주제로 하거나 공간적 배경으로 하는 작품들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정지용에게 산은 탈속하여 안정을 구하는 실제적 장소임과 동시에 심미적 공간이기도 하였다. 지용이 후에 도달한 산의 세계가 청록파 세 시인에게는 공통된 출발점이 된다. 시의 내용적 측면에서 접근하였을 때 『백록담』과 『청록집』 모두 ‘산’을 중심으로 구성된 시편이 지배적이다. 그중 조지훈의 ‘산’이 정지용의 ‘산’과 가장 유사하다. 그가 형상화하는 ‘산’에서는 탈속하여 자연과 합일하고자 하는 소망이 드러난다. 한편 박목월의 ‘산’은 정다운 고향의 모습이다. 그가 그리는 자연은 풍요로우며 정감이 넘친다. 이와 대조적으로 박두진의 ‘산’은 기독교적 세계관의 영향으로 결핍된 공간으로 그려진다. 어휘 면에서 정지용의 고유어와 방언, 고어적 표현 등이 청록파 시인들에게서도 자주 발견된다. 형식면에서는 정지용의 짧은 2행 단위의 형식이 세 시인의 시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박두진의 시에는 정지용 후기 산문시형식의 영향이 잘 드러난다. 청록파 세 시인에게 선배 시인 정지용은 시를 추동하는 하나의 동력이자 넘어서야만 하는 큰 존재였을 것이다. 『청록집』은 전통서정시의 계승을 표방하고 있지만 그 속에서는 보다 높은 예술적 성취를 이루고자 하는 내적 욕망이 작동하고 있다. 이러한 열망이 시작 전반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이 논문은 개별 작품을 통한 심층 연구로 청록파 시인들의 창조적 계승을 확인하고 그 시사적 위치와 의의를 밝히고 있다.|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collection of late poems of Ji-yong Jeong, Baengnokdam, on Cheongnokjip. An influence is inevitable in art: creative succession to a good work may lead to another art work. An attempt to analyze the influencing relations of poems can be an important key to review the poet's suggestive position and poetic world. In this study, the collection of late poems of Ji-yong Jeong, Baengnokdam, and the collaborative collection of poems of Mok-wol Park, Ji-hun Cho, and Du-jin Park were reviewed. All of the three Cheongnokpa poets started their literary career through Munjang by the recommendation of Jeong. The then editor of the magazine, Jeong would have exerted tremendous effects on younger poets. The recollections of the poets who made their debut through the magazine demonstrate that Jeong's comments dominated younger poets' poetic consciousness and even determined the direction of their poem-writing. The three poems would not have been free from his influence, either. It is notable that the recommended works of the Cheongnokpa poets were all concerned with nature. This study is composed of four chapters in total; Chapter 2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mmended works of the three poets in Munjang and Jeong's comments. This analysis confirmed that Jeong's comments had specific effects on the initial stage of their poem-writing. Of the three Cheongnokpa poets, it was Ji-hun Cho who showed the greatest change according to his comments. Chapter 3 made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contents, forms, and words of the poems in Cheongnokjip and the poetic world in Baengnokdam and confirmed the effects of Jeong's late poems. Jeong's late poems can be characterized as 'scenic poems.' Baengnokdam contains lots of works with a mountain as a theme or as a spatial background. For him, a mountain was not only a real place for rising above the world and pursuing stability but also an aesthetic space. The world of mountains he reached later became the common starting point for the three Cheongnokpa poets. In terms of the contents, poems centered on 'mountains' dominate both Baengnokdam and Cheongnokjip. Of these, the 'mountains' of Ji-hun Cho are most similar to those of Jeong. The 'mountains' he describes imply his desire to rise above the world and become united with nature. The 'mountains' of Mok-wol Park represent a sweet home. The nature he describes is affluent and very emotional. In contrast, the 'mountains' of Du-jin Park represent a space of deficiency under the influence of the Christian world view. In terms of vocabulary, some words peculiar to Jeong and some of his archaic;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collection of late poems of Ji-yong Jeong, Baengnokdam, on Cheongnokjip. An influence is inevitable in art: creative succession to a good work may lead to another art work. An attempt to analyze the influencing relations of poems can be an important key to review the poet's suggestive position and poetic world. In this study, the collection of late poems of Ji-yong Jeong, Baengnokdam, and the collaborative collection of poems of Mok-wol Park, Ji-hun Cho, and Du-jin Park were reviewed. All of the three Cheongnokpa poets started their literary career through Munjang by the recommendation of Jeong. The then editor of the magazine, Jeong would have exerted tremendous effects on younger poets. The recollections of the poets who made their debut through the magazine demonstrate that Jeong's comments dominated younger poets' poetic consciousness and even determined the direction of their poem-writing. The three poems would not have been free from his influence, either. It is notable that the recommended works of the Cheongnokpa poets were all concerned with nature. This study is composed of four chapters in total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788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755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