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3 0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의 자기결정동기화 모형 구축

Title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의 자기결정동기화 모형 구축
Author
이혜린
Advisor(s)
이훈
Issue Date
2015-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influencing factors of the BPNF-OR in explaining Restorative Environment Experience was Autonomy, Nature-relatedness, Competence in turn. After performing the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focused on the BPNF-OR to compare pure correlation, the results displayed that highest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Competence and Fascination, Social-relatedness and Compatibility, Nature-relatedness and Being Away respectively. Theoretical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as follows; The first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paper is to draw nature-relatedness need satisfaction as the exploratory factor with reconsidering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outdoor recreation context with Biophilia Hypothesis perspective. Secondly, a great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psychological mechanism from outdoor recreation experience to basic needs and motivation was identified. Thirdly, the theoretical integration ART and SDT was proved to be useful in explaining the psychological recovery experience of human by verifying that restorative environment experience in nature satisfied human needs, and influenced self-determined motivation positively. Fourth, it was revealed that nature-relatedness was important factor which caused motivation to be self-determined as nature-relatedness was verified to be the sole need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intrinsic and identified motivat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s specific schemes to providers and managers in the outdoor recreation settings; findings out the influence of the Restorative Environment Experience factors provide the information needed in designing restorative environment and improving leisure service strategy.; This study applied Self-Determination Theory(SDT) and Attention Restoration Theory(ART) to explain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the outdoor recreationists' self-determined motivation. The inquiry questions about the concept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the social conditions are needed to reconsider when the motivational model of SDT is applied to the outdoor recreation settings; 본 연구는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참여자들이 자기결정적으로 동기화되는 심리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자기결정성이론과 주의회복이론을 적용하였다.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의 맥락에서 자기결정성이론의 동기화모형 적용시 기본심리욕구 개념과 사회적 조건에 대한 재고찰의 필요성을 문제제기 하였다. 이에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의 기본심리욕구충족 척도를 재구성하였고, 회복환경경험을 사회적 조건으로 설정하여 주의회복이론과 자기결정성이론을 통합한 자기결정동기화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함으로써 야외기본욕구을 중심으로 한 심리적 메커니즘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고자 하였다. 야외기본욕구충족 척도를 재구성하고 자기결정동기화 모형을 구축하는 데에 있어서 진화심리학 측면에서 바이오필리아 가설(Biophilia Hypothesis)의 관점을 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크게 두 가지의 연구과제를 설계하였다. 첫 번째 연구과제는 기존의 기본심리욕구충족 척도를 수정·보완함으로써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맥락에 적합한 기본심리욕구충족 척도를 재구성하는 것이다. 두 번째 연구과제는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맥락의 자기결정동기화 모형을 구축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의회복이론의 회복환경경험을 독립변수로, 야외기본욕구충족을 매개변수로, 자기결정동기를 종속변수로 설정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과제1에서는 야외기본욕구충족 척도를 재구성하였다. 자기결정성이론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욕구 충족에 대한 문항을 수집하였고, 표적집단면접 및 심층면접을 통한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경험자 의견조사를 통해 자연교류성욕구 충족에 관한 문항을 수집하였다. 1차적인 야외기본욕구충족 문항이 완성된 후, 10인의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 문항을 정제하고, 전문가 검토 및 예비조사의 과정을 통해 최종적인 문항을 완성하였다. 연구과제2에서는 주의회복이론과 자기결정성이론을 통합하여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맥락의 자기결정동기화 모형을 구축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네 개 산에서 정기적인 등산활동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효표본 366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설은 회복환경경험의 구성요인이 야외기본욕구충족(자율성, 유능성, 사회성, 자연교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 1∼4를, 야외기본욕구충족이 자기결정동기(내재동기, 동일시된조절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 5∼8을 설정하였다. 가설의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4의 검증결과를 종합하면, 회복환경경험은 자율성, 유능성, 사회성, 자연교류성 욕구 충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보면, 회복환경경험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야외기본욕구는 자율성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가설 5∼8의 검증결과를 종합하면, 유능성을 제외한 자율성, 사회성, 자연교류성 욕구 충족은 자기결정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내재동기와 동일시된조절동기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율성과 자연교류성이며, 이 중 자연교류성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내재동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성이고, 동일시된조절동기에는 자연교류성으로 나타났다. 회복환경경험과 야외기본욕구충족의 하위요인들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야외기본욕구충족을 설명하는 데에 중요한 회복환경경험 요인은 적합성, 매혹성, 일탈성, 가독성 순이며, 회복환경경험을 설명하는 데에 중요한 야외기본욕구충족은 자율성, 자연교류성, 유능성, 사회성 순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순수한 상관비교를 위하여 야외기본욕구충족을 중심으로 한 편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욕구마다 유의한 요인은 다르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자율성과 유능성은 매혹성과, 사회성은 적합성과, 자연교류성은 일탈성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바이오필리아 가설의 관점을 바탕으로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의 맥락에 적합한 기본심리욕구를 재고찰하여 자연교류성 요인을 도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재구성된 야외기본욕구충족 척도는 추후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을 대상으로 한 SDT 연구에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야외기본욕구충족을 중심으로 자연경험의 어떠한 과정을 통해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지, 그 심리적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셋째, 자연에서의 회복환경경험이 인간의 기본심리욕구를 충족시켜 자기결정적인 동기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증명함으로써 주의회복이론과 자기결정성이론을 통합한 이론적 틀이 인간의 심리적 회복경험을 설명하는 데에 유용함을 증명하였다. 넷째, 자연교류성욕구 충족은 자기결정적인 동기인 내재동기 및 동일시된조절동기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욕구인 것으로 나타나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의 자기결정적인 동기화를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임이 증명되었다. 실무적 시사점으로, 본 연구결과는 회복환경경험의 세부 요인들의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야외여가공간 조성·관리차원에서 기본심리욕구를 충족시키는 회복적 환경을 설계하고 여가서비스 향상 전략을 제시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applied Self-Determination Theory(SDT) and Attention Restoration Theory(ART) to explain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the outdoor recreationists' self-determined motivation. The inquiry questions about the concept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the social conditions are needed to reconsider when the motivational model of SDT is applied to the outdoor recreation settings;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cale was reorganized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al model in outdoor recreation context was set-up with Restorative Environment Experience of AR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eate self-determined motivational model in outdoor recreation context. To achieve such a goal, two studies were designed. First study was to reorganize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cale in the outdoor recreation settings; Second study was to specify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among Restorative Environment Experience,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 of the outdoor recreation participants by applying ART and SDT. In doing so, Biophilia Hypothesis perspective from evolutionary psychology was taken, which explain humans possess an innate tendency to seek connections with nature and other forms of life. In first study, literature review, interview of outdoor recreationists, expert investigation, and pre-test were carried out. The existing basic psychological needs(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were collected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es; nature-relatedness need was derived from focus group interview and in-depth interview. Final items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Fulfillment scale in the Outdoor Recreation context(BPNF-OR) were completed by experts' assessment of suitability and pre-test. In second study, the self-determined motivational model with integrating ART and SDT in outdoor recreation context was developed and verified. A site survey was performed targeting the regular hikers in four mountains, and totally 36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hypothesis 1〜4 are were set up about the effect of the Restorative Environment Experience on the four needs of BPNF-OR(autonomy, competence, social-relatedness, and nature-relatedness), and the hypothesis 5〜8 were designed for the effect of BPNF-OR on the self-determined motivation.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verification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hypothesis 1〜4, it turned out that the Restorative Environment Experience had a positive (+) effect on all needs of the BPNF-OR. Of needs, Autonomy had the highest level of influence with the Restorative Environment Experience. Secondl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hypothesis 5〜8, it turned out that Autonomy, Social-relatedness, and Nature-relatedness except Compet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Determined Motivation. Of these, Autonomy and Nature-relatedness significantly affected both Intrinsic motivation and Identified motivation; Nature-relatedness's influence was stronger than Autonomy. However, Social-relatedness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only with Intrinsic motivation.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among component factors of the two variates(Restorative Environment Experience and BPNF-OR). The results showed that influencing factors of the Restorative Environment Experience in explaining the BPNF-OR was Compatibility, Fascination, Being Away, Legibility in tur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785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742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OURISM (관광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