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주형-
dc.contributor.author최열균-
dc.date.accessioned2020-02-19T16:30:41Z-
dc.date.available2020-02-19T16:30:41Z-
dc.date.issued2015-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7786-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7339en_US
dc.description.abstract국 문 요 약 본 연구는 판교 알파돔시티를 사례지역으로 복합용도시설과 관련해 이용자 입장에서 잠재선호(stated preference)를 분석하고 이를 계획적 단계에서 상업시설 구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크게 판교지역 복합용도시설 이용자 소비행태 분석과 판교지역에 복합용도시설이 개발되었을 때 잠재적 이용자그룹이 되는 판교지역 근무자들과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복합용도시설 이용패턴을 분석하였다. 우선 판교지역 소비행태 분석결과, 충분한 주차시설과 합리적 소비를 유도할 수 있는 테넌트 구성이 필요하다는 점과 복합용도시설 내 판매시설. 식음료시설, 문화․여가시설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개발과정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시설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복합용도시설 연계이용패턴 분석결과, 우선 판교지역 근무자그룹은 복합용도시설 내 여러 기능의 시설을 다양하게 이용하기 보다는 대형판매시설, 문화집회시설, 식음료시설 위주로 이용하는 패턴을 보였다. 이들 시설은 다른 시설로의 이용을 연결하는 허브(HUB) 역할도 수행하는 주요 시설로 분석되었다. 판교지역 거주자의 경우 대형판매시설을 가장 처음으로 이용하는 핵심 테넌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근로자 그룹과 달리 소형판매시설을 선이용한다는 응답비율이 높게 나타났다는 점과 다양한 상업시설을 연계해서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는 점이 차이점으로 나타났다. 판교지역 근무자와 거주자 모두 대형판매시설과 문화집회시설을 주로 이용하면서 근무자들은 식음료시설, 거주자들은 소형판매시설을 연계하여 이용하는 패턴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복합용도시설 내에서 대형판매시설과 문화집회시설은 핵심시설로 주 진입로를 통해 연결되는 공간 중앙에 배치하고 식음료시설 및 소형판매시설을 연계 이용할 수 있도록 공간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복합용도시설 개발을 위한 소비행태 및 연계이용특성 분석-
dc.title.alternativeAn Analysis on the Consumptio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Multi-purpose Behavior for Development of Mixed-Use Facilitie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최열균-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oi, Yeol-Gyu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부동산융합대학원-
dc.sector.department도시·부동산개발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도시.부동산개발학-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