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3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명수-
dc.contributor.author조인환-
dc.date.accessioned2020-02-19T16:30:38Z-
dc.date.available2020-02-19T16:30:38Z-
dc.date.issued2015-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7763-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7216en_US
dc.description.abstract한반도 중서부 수계(금강, 만경강, 동진강, 삽교천)의 돌부착 돌말류 분포와 환경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총 146개 지점의 토지이용, 수질 및 돌말류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에서 출현한 돌말류는 총 183분류군으로 2목 3아목 9과 35속 162종 18변종 2품종 1아종 이었으며, 우점종은 Nitzschia palea(10.9%), Achnanthes convergens(8.4%)로 밝혀졌다. 돌말류의 현존량을 근거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25% 수준에서 크게 4개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각 그룹의 지리 및 수질환경에서 그룹 I과 II는 각각 금강의 상류와 중류 지점으로 주변에 숲 구성비가 높고 수질이 양호하였다. 그룹 III은 도시와 농경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질은 영양염 (TN, TP)과 전기전도도 등이 높았다. 그룹 IV는 대부분 평야지대로서 농경지로 구성되었으며 탁도, BOD, 영양염, 전기전도도 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CCA 결과로서 그룹 I에서 호청수성종인 Meridion circulare가 지표종이였으며, 해발고도가 높고 숲의 영향을, 그룹 II는 광적응성종인 Navicula cryptocephala가 Chlorophyll-a, AFDM, DO의 영향을 각각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 III, IV는 광적응성종인 Fragilaria elliptica와 호오탁성종인 Aulacoseira ambigua 등이 전기전도도, 탁도, 영양염의 영향을 받았다. 한편 그룹 I, II, III의 지표종들의 발생을 결정하는 예측요인으로는 공히 전기전도도였으며, 그룹 IV는 탁도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한반도 중서부 수계의 돌말류의 분포는 수계의 고유성 보다는 주변의 토지이용도와 그로 인한 수질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돌말류의 미소서식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보다 정확한 분포특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금강권역 주요하천의 돌부착 돌말류의 분포 및 발생예측-
dc.title.alternativeDistribution of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in Relation to Water Quality Gradient: Geum River System, Korea-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조인환-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환경과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NVIRONMENTAL SCIENCE(환경과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