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8 0

부정사 의미자질 및 통사적 특징 구현 양상 연구

Title
부정사 의미자질 및 통사적 특징 구현 양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emantic Feature and Syntatic Properties
Author
최란희
Alternative Author(s)
Choi Ran Hee
Advisor(s)
서원남
Issue Date
2015-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先秦時期의 대표적인 문헌이라 할 수 있는 『孟子』 否定詞의 의미 분석과 통사적 특징을 문장 구조유형을 통해 그 양상에 따른 문법체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국내에서 편찬된 번역서의 풀이가 의미에만 치중되어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선진한어 부정사의 면모를 알 수 있으며 문장의 내용을 정확하게 풀이할 수 있다. 본고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은 문제의 제기와 연구목표 및 선행연구, 연구범위와 방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제2장은 부정사의 분석에 따른 방법을 서술하였다. 다만 기존에 사용되었던 의미적 측면을 기초로 하여 부정사의 개념을 결정하고 이에 대해 설명이나 근거가 부족한 부분은 통사적으로 접근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의미와 통사와 더불어 논리학의 개념을 통해 개별부정사들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제3장은 『孟子』에 출현한 ‘p계 부정사’에 해당되는 ‘不’, ‘弗’, ‘否’, ‘非’를 문장의 구조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각 부정사들은 문장의 구조유형을 통해 각 부정사들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제4장은 『孟子』에 출현한 ‘m계 부정사’에 해당하는 ‘無’, ‘莫’, ‘未’, ‘勿’, ‘亡’, ‘靡’를 문장의 구조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각 부정사들은 문장의 구조유형을 통해 각 부정사들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제5장은 『孟子』에 출현한 ‘이중부정’ 형태는 ‘不不’, ‘不非’, ‘不無’, ‘非不’, ‘非無’, ‘無不’, ‘無非’, ‘無無’, ‘無弗’, ‘莫不’, ‘莫非’, ‘未不’ 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이중부정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선진시기의 ‘이중부정사’의 양상을 설명하였다. 제6장은 결론으로 『孟子』에 보이는 부정사가 문장에서 부정부사, 부정동사, 복합관계사로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또한 ‘이중부정사’ 의 ‘부정사1’에 해당하는 부정사는 ‘不’, ‘非’ 이고 ‘부정사2’에 해당되는 부정사는 ‘不’, ‘非’, ‘無’ 로『孟子』에 출현한 ‘부정사2’는 현대한어의 대표 부정사들로 선진시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매우 무표적(unmarked) 적인 부정사임을 알 수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770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734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HINESE LANGUAGE & LITERATURE(중어중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