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7 0

2004~2012년 국민건강보험자료를 이용한 A형 간염 발생 양상 파악을 위한 시간과 공간 군집분석

Title
2004~2012년 국민건강보험자료를 이용한 A형 간염 발생 양상 파악을 위한 시간과 공간 군집분석
Other Titles
Space and Time pattern of Hepatitis A
Author
최성용
Advisor(s)
최보율
Issue Date
2015-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연구배경 보건지리학의 중요한 분야인 공간역학은 공간과학, 환경과학, 그리고 역학을 주요 축으로 하여 환경과 건강과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인문 및 자연환경 요인과 개인의 건강관련 지표와의 상관성을 기술하고 분석하는 공간역학의 학문적 역할이 커지고 있다. 공간역학은 많은 발전에도 불구하고 분석방법에 제한이 관찰되고 있다. 또한, 시계열적 분석 방법도 개선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A형 간염 발생자료를 이용하여 시공간 군집성을 파악하고, 고전주의 통계모형과 시공간적 인접성을 고려한 통계모형의 모형 적합도를 비교하며, 발생과 관련한 요인을 설명한다. 연구방법 2004~2012년 사이에 국민건강보험공단에 A형 간염으로 진단자를 대상으로 고전주의 통계모형과 시공간적 인접성을 고려한 통계모형을 비교하며 A형 간염 발생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공간 분석과 시계열 분석을 하였으며, 모형은 모형 적합도와 실제 관측치와 모형을 통해 추정치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A형 간염 관련 요인을 선택하였다. 공간 분석방법은 연도별로 포아송 회귀모형과 조건부 자기회귀모형을 반영한 포아송 회귀모형을 이용하였고, 시계열 분석은 고전주의 포아송 회귀 모형, 추세를 반영한 포아송 회귀 모형, 베이지안 포아송 회귀모형, 추세를 반영한 포아송 회귀모형, 추세와 임의보행(Random Walk)을 고려한 포아송 회귀모형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공간 검색 통계량(Spatial scan statistic)을 이용하여 시공간 군집을 탐색한다. 연구 결과 2004~2012년 사이 한국에서는 335,874명이 A형 간염 진단을 받았다. A형 간염 발생은 하절기에 증가하는 계절성이 관찰되었으며, 확진시 나이는 증가하고 있었다. 그리고, 발생자 중 성별 비율은 남자가 더 높지만, 2010년부터 남자의 비율이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A형 간염 발생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공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은 고전주의 포아송 회귀모형과 조건부 자기회귀모형을 반영한 포아송 회귀모형을 이용하였다. 모형 적합도 분석결과, 조건부 자기회귀모형을 반영한 포아송 회귀모형의 모형 적합도가 고전주의 포아송 회귀모형 적합도가 더 우수하였으며, 실제 관측치와 추정치 비교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관찰되었다. 공간 검색 통계량을 이용하여 A형 간염 발생 군집을 탐색하였다. 분석결과, 14개의 군집을 탐색하였으며, 4개의 패턴으로 분류하였다. 장기적으로 A형 간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기 위하여 시계열 분석을 하였다. 분석대상은 공간 검색 통계량을 통해 탐색된 3개 군집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고전주의 2개 모형과 베이지안 3개 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3개월의 시차를 고려하였을 때 추세와 임의 보행 모형을 반영한 베이지안 포아송 회귀모형의 모형 적합도가 가장 우수하였다. 그리고, 실제 관측치와 모형을 통한 추정치를 비교하였을때에도 가장 근사하였다. 공간분석과 시계열 분석을 통해 확인된 A형 간염 발생은 상하수도 보급률, 지역사회 의사수, 지역사회에서 20~39세의 비율, 지역박탈지수와 관련이 있었으며, 최저기온이나 강수량과는 관계가 불분명하였다. 결론 시간적, 공간적으로 군집성이 존재하는 A형 간염 발생자 자료를 고전주의 모형과 시공간적 인접성을 고려한 모형으로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통계학적으로는 시간과 공간적 인접성을 고려한 경우에 모형 적합도가 개선되었으며, 보건학적으로도 A형 간염 위험 요인을 타당하게 탐색하였다. 따라서, 시간적, 공간적 군집성을 포함한 공간 자료의 경우 시간적, 공간적 인접성을 고려한 분석 방법이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759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690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