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2 0

전통과 현대 공예의 개념 정립 연구

Title
전통과 현대 공예의 개념 정립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the Concept of Tradition and Modern Craft:Focused on the Form-Qi-Spirit Craft Theory
Author
용주
Alternative Author(s)
Long, Zhou
Advisor(s)
이부연
Issue Date
2015-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제2차 세계 대전 후부터 공예는 여러 나라에서 현대대학교육제도와 체계에 편입했다. 하지만 근 10년에 예술디자인 새로운 사조의 급한 발전 때문에 공예는 미술학과 디자인학 각각의 일부로 해제되고 있는 것을 보이며 예술디자인학에 편입할 추세가 있다. 이 추세는 국제화, 기계지능화, 산업화 등 시대의 추세를 따라 가는 것도 있지만 현대 공예연구는 공예가 독립한 학과로써의 독립성 및 대체할 수 없는 특성을 보여 주지 못한 것을 반영된다. 오랫동안 공예학계에서 미술학 및 디자인학 저럼 사변(思辨)이론의 구축을 중시하지 않아서 당대공예이론은 주로 미술학 및 디자인학이론을 따라서 발전하여 미술 및 디자인 맥락에서 벗어나서 공예 자체의 특성이 있는 이론 및 관점을 표현하는 것이 별로 없다. 또한 공예는 전통을 보호 및 전승하는 것을 자신의 사명으로 여기지만 기술의 전승에 과도하게 집중해서 전통공예가상을 시대적인 연구 깊게 하는 경우가 별로 없다. 사변(思辨)이론 구축의 결핍 및 전통공예사상에 대한 깊은 연구를 중시하지 않기 때문에 공예학이 신세대에 위상을 즉각 정의 하는 것도 못하고 새로운 발전단계에 들어가지도 못한다. 이 연구 배경을 기반 해서 본 논문에서 공예형기신론(工藝形氣神論)을 제기한다. 공예 및 전통철학의 밀접한 관계를 빌려서 공예가 철학측면에서 갖고 있는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정신구축에서 출발하고 형기신(形氣神)의 철학 범주는 연결체로 생각하고 형(形), 기(氣), 신(神)사이의 변증관계를 이용하여 공예영역 내에 형기신(形氣神)과 대응할 공예연구 요소를 도출해서 전통철학사변논리의 특색 있는 공예이론구조를 구축한다. 본 이론의 도출과정은 공예의 철학적 본질측면부터 위에서 아래로 현상측면에 진행한다. 공예품을 중심으로 기여 과거 공예연구에 독립적이고 심지어 대립하고 한 로직에 귀납하지 못한 '기능적 및 비기능적', '수공생산적 및 기계생산적', '장인 정신적 및 디자인적' 등 요소를 형기신(形氣神)사이의 논리관계를 통해 서로 연관되어 안정한 관계를 가지는 이론 구조로 서로 연계한다. 공예의 본질은 공예의 형(形), 기(氣), 신(神)의 결합으로 보인다. 그 중의 공예의 형(形)은 기능형태 및 장식형태를 가리킨다. 공예의 기(氣)는 공예품 성형 전의 기능형태 재료 및 장식형태 재료, 수공생산력 및 기계생산력, 공예 기술 및 공예 규칙을 가리키고 공예품 성형 후의 공예품주변에서 퍼진 장기(匠氣)를 가리킨다. 공예의 신(神)은 기능의 구상과 설계, 장식적인 의사소통 및 장인 심리를 가리킨다. 본 논문은 3가지 내용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는 공예형기신론(工藝形氣神論)을 제기한다. 공예전통에 철학과 밀접한 관계를 이용하여 공예가 가지고 있는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정신 및 이상에서 출발해서 '공예형기신이론' 제기 하는 도출논리 및 과정을 자세히 표현하고 형기신(形氣神)이론은 철학 범위에 공예이론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이유 및 형기신(形氣神)과 공예 사이의 어떤 관계가 있는 지 등 문제를 설명한다. 두 번째는 진일보로 공예 형기신적 이론의 구체적 내용을 구축한다. 전통철학의 형기신(形氣神)범주 및 공예연구요소를 서로 연결시키고 공예의 형(形), 기(氣), 신(神)에 대한 할 수 있는 구제 적인 내용을 정리한다. 세 번째는 구축된 공예 형기신적 이론을 이용해서 구제적인 공예문제를 해결한다. 예를 들면 공예의 본질이 무엇이고 공예의 범위가 무엇인지 다른 공구, 기계 미술품 설계제품 등의 인공물체 하고 어떤 차이점 있는 지 등 장기적으로 계속 수많은 공예가 및 공예전공 학생이 고민한 문제를 해결한다. 그리고 이 이론은 향후에 공예교육, 공예창작 및 공예비판 등 영역의 발전 전망 및 현대 연구가치 등 내용을 간략하게 기술하여 향후에 본 이론을 연구자에게 참고를 제공한다. 공예형기신론(工藝形氣神論)은 완전히 새로운 공예이론이고 공예학계가 과거에 중시하지 않은 영역과 방향이다. 본 이론은 공예품과 공예제작이 가지고 있는 사람과 자연의 조화, 물질과 정신의 조화, 감성과 이성의 조화, 그리고 진(真)、선(善)、 미(美)의 조화 등 특성을 강조하고 공예활동을 천인합일(天人合一)을 심미와 체득하는 것에 유도하여 공예학의 신세대 배경에 새로운 위상을 정립하는 것에 참조를 제공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758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754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PPLIED ART(응용미술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