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4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재찬-
dc.contributor.author김민경-
dc.date.accessioned2020-02-18T16:37:39Z-
dc.date.available2020-02-18T16:37:39Z-
dc.date.issued2016-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7365-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8602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시 교육에 있어 화자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시를 이해하는데 수월하다는 것에서부터 출발하였다. 현재 교과서에 수록된 시작품이나 그와 관련된 학습활동 문항들은 학습자의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시 감상 기회를 갖지 못하게 하여 학생들이 시를 좋아하고 능동적으로 찾아 읽는 독자를 만들기 보다는 부담감을 느끼게 하여 시로부터 점점 멀어지게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2011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각 교과서를 특성에 따라 정리하고 총체적인 검토와 유형화의 필요성을 인지하였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현대시 화자 교육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9학년 8종 교과서 시문학 영역 단원의 구성 방식을 유형화하여 시적 화자의 교육 현황에 대해 분석하였다. 먼저 2011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 중 8종을 채택하여 8종 교과서를 바탕으로 시적 제재 분석과 학습 활동 분석의 틀을 마련하였다. 제재 분석 측면에서는 기존의 화자의 개념과 유형을 살펴보고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전지적 화자, 허구적 화자, 관찰적 화자로 새롭게 나누어 이렇게 나눈 화자 유형을 바탕으로 교과서 시 제재들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제재 24개 중에 90%가 넘는 22개의 작품이 전지적 화자 유형과 허구적 화자 유형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었다. 반면 상대적으로 관찰적 화자 유형 속하는 작품은 적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학습 활동 분석 측면에서는 2011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학 내용체계와 문학 내용 성취기준, 학년군 별 수행의 유형을 바탕으로 4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지식으로서의 시적 화자의 개념 학습활동’에서는 개념적 지식의 유형을 ‘시적 화자의 의미’, ‘시적 화자의 기능’ ‘시적 화자의 태도 및 정서’ ‘시적 화자의 배경 및 상황’으로 다시 4가지 하위요소로 분류하여 개념적 시적 화자에 관련된 내용이 교과서에 어느 정도의 내용과 방식으로 제시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시적 화자의 의미와 관련하여 교과서별로 화자의 용어 및 개념이 통일되어 있지 않았다. 둘째, 시적 화자의 기능과 관련하여 하나의 교과서에서만 그 개념을 간단하게 서술하고 있었다. 셋째, 시적 화자의 태도 및 정서와 관련하여 태도 및 정서를 시적 화자와 관련시켜 개념화한 내용을 서술한 한편, 이와 관련된 다른 개념(심상, 어조)에 대해서도 서술하고 있었다. 넷째, 시적 화자의 배경 및 상황과 관련하여 배경 및 상황을 시적 화자와 관련시켜 개념화 하였다. ‘시적 화자와 시적대상과의 관계 학습활동’, ‘시적 화자의 태도 및 정서 학습활동’ ‘시적 화자의 배경 및 상황 학습활동’에서는 교과서 별로 학습활동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느냐에 따라 그 특징이 나타나 있었다. 이 세 개의 학습활동은 시적화자와 시적 대상과의 관계, 태도 및 정서, 배경 및 상황 학습활동에서는 해당하는 시 전체의 흐름을 이해해야 학습활동을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적 화자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화자의 유형별 교육에 있어서 <화자교육 방안 발문목록의 기준>을 설정하고 그 기준에 맞추어 자전적 화자 교육, 허구적 화자 교육, 관찰적 화자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태도와 정서 교육에 있어서 <시적 화자의 태도와 정서 교육방법 교수 학습 방안>을 설정하고 기존에 있던 학습활동을 교수 학습 방안의 순서에 맞추어 문항을 재구성하는 방법으로 그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전체학년이 아닌 9학년을 기준으로 8종의 교과서만을 가지고 화자 교육에 대한 분석을 행하고 화자 교육을 논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찾고 교과서 속 제재와 학습활동을 통해 대안 방법을 효율적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후속 연구로 분석의 범위를 전체학년으로 넓혀 본 연구에서 제시한 현대시 화자 교육의 보완점을 반영하고 실제 학교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확장 연구가 계속해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시적 화자 교육 방안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Poetic Speaker Education-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김민경-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Min Kyoung-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교육대학원-
dc.sector.department국어교육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국어교육전공)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