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4 0

비만지표와 치주질환과의 관련성

Title
비만지표와 치주질환과의 관련성
Author
박경화
Advisor(s)
김미경
Issue Date
2016-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치주질환은 중대 구강병으로 높은 유병률을 보이고 있고, 비만은 신체에 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로 비만 인구 또한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까지 비만이 치주질환에 영향을 미친다는 확실한 근거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최근 비만과 치주질환에 관한 많은 연구에서 상호 관련성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일관된 결과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비만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는데 객관적인 비만지표를 이용하여 평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 연구는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신체계측과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에 의한 비만지표와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건강설문조사와 검진조사를 한 대상자 중 19세 이상 성인이며 건강면접, 건강행태, 치주조직상태, 비만검사, 신체계측과 혈액 검사를 받은 4,548명을 최종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임산부43명과 당뇨환자 564명은 제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주질환 유병률은 남자 26.8%, 여자 17.7%였고, 남자는 체질량 지수 23~24.9kg/m2군, 허리둘레 Quartile 4군, 총체지방률과 몸통지방률은 Quartile 2군에서 치주질환 유병률이 높았다. 여자는 체질량 지수 25kg/m2 이상 군, 총체지방률과 몸통지방률은 Quartile 4군에서 치주질환 유병률이 높았다. 2. 체질량지수와 치주질환과의 연관성은 남자에서는 보이지 않았으나 여자에서는 체질량지수가 1% 증가 시 치주질환 교차비가 1.07(1.02-1.12)배였다. 3. 남자는 허리둘레와 치주질환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자는 허리둘레 Quartile 1군에 비해 Quartile 4군인 경우 치주질환 교차비가 1.65(1.03-2.66)배였다. 4. 남자에서는 몸통지방률과 치주질환이 관련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자에서 몸통지방률 Quartile 1군에 비해 Quartile 2군과 Quartile 4군의 경우 치주질환 교차비가 1.47(1.02-2.11), 1.53(1.03-2.27)배였다. 5. 19세 이상 성인 여자에서는 체질량지수가 높아질수록 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Quartile 1군에 비해 Quartile 4군에서 치주질환과의 연관성과 경향성을 보였다(p-trend=0,047). 몸통지방률이 증가할수록 하루 칫솔질 횟수가 3회 미만에서 Quartile 1군에 비해 Quartile 4군에서 치주질환과의 연관성과 경향성을 보였으며(p-trend=0,046), 몸통지방률이 증가할수록 구강관리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치주질환과 연관성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여자에서는 비만지표 중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몸통지방률이 치주질환과 관련성이 있었고 이러한 결과는 구강위생관리(하루 칫솔질 3회 미만/구강관리용품 사용안함)가 부족한 대상자에서 의미있는 양의 관련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구강위생관리가 안 되는 경우 치주질환 위험이 높으므로 비만한 경우 구강위생관리 교육 강화가 필요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국내 대표성 있는 표본조사와 객관성 있는 비만 지표를 활용한 연구로 의미가 있고, 추후 인과성 확인을 위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716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850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HEALTH SCIENCES(보건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