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3 0

보행자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보행자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 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Influencing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 The Case of Seoul
Author
서지민
Alternative Author(s)
Seo, Jeemin
Advisor(s)
이수기
Issue Date
2016-02
Publisher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과거 우리나라는 급속도의 경제발전을 범국가적 목표로 하여 성장 위주의 자동차 교통 연구에 집중하였다. 하지만 이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며 심각한 수준의 교통사고 발생으로 이어졌다. 교통사고 중에서도 보행자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 비율은 37.6%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는 실정이다. 자동차 중심의 도시 환경은 이와 같은 교통사고 문제뿐만 아니라 교통 체증, 에너지 과다 사용, 신체 활동 부족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서는 보행자의 안전과 편의를 우선시하는 보행 중심 환경으로 교통 계획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 보행자를 중심으로 한 도시설계 패러다임에서 가장 중요하다 볼 수 있는 요소 중 하나가 바로 보행자의 안전이다. 우리나라의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률과 그 내용은 심각한 수준이고 사고 감소 대책이 시급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보행자 교통사고 관련 연구들은 분석의 내용과 방법에 있어 다양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발전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에서 제공하는 2014년 서울시 교통사고 자료를 이용하여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 요인을 분석한다. 나아가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보행자가 안전하게 다닐 수 있는 가로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이다.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 요인의 분석 모형으로는 음이항 회귀분석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부상 수준에 따라 사고 자료를 구분하여 세 가지 모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교통공단에서 제공하는 2014년 보행자 교통사고 자료를 활용하여 서울시 16,227개의 집계구 단위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보행자 교통사고의 경우 물리적인 환경 이외에도 운전자와 보행자의 시계 불량을 초래하는 주간·야간 여부와 기상상태 영향을 받으므로, 시민박명시간 기준 낮 시간대이고 날씨가 맑은 날에 발생한 사고만을 추출하여 이용하였다. 한편 독립변수의 경우에는 인구 요인, 가로환경 요인, 가로구조 요인, 용도지역 요인, 토지이용 요인 다섯 가지로 구분하여 구축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및 시사점은 크게 일곱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차선수가 많은 곳일수록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 확률이 높아지므로 보행자의 안전을 우선시하는 가로에서는 차로 수나 차로 폭을 줄이는 정책을 고려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도로 시설물 설치 시 보행자의 편의나 예산만을 생각할 것이 아니라 보행자의 안전에 미치는 영향까지 신중히 고려한 후 설치 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 셋째, 중앙버스전용차로 설치는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중앙버스전용차선 정류장 주변에 보행자 안전을 위한 물리적 지원이 필요하다. 중앙버스전용차선의 경우 대중교통 이용을 편리하게 하여 서울시의 대중교통 정책 중 높은 성과를 인정받고 있지만 보행자의 안전에 있어서는 위협적인 요인이라는 점이 중요한 시사점이라고 볼 수 있다. 넷째, 노인 보호구역제도 정착을 위한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015년 자동차 도로교통법이 개정되면서 2015년 4월 1일부로 노인 및 장애인 보호구역에서 교통법규를 위반할 시 부과하는 범칙금이 2배로 인상되었다. 이는 노인 보호구역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한 방법 중 한가지로 보행 안전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변화라고 평가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대대적인 홍보와 같은 추가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다섯째, 보행 안전 취약지라 볼 수 있는 교차로에 대한 보행자 안전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사거리의 경우 심각한 부상 수준의 보행자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차선의 연결성이 좋아 과속의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사거리 내에서의 과속, 신호위반, 무단횡단 등의 교통법규 위반에 대해 단속과 처벌을 강화하여 경각심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여섯째, 용도지역 기준 상업지역인 곳에 대한 보행자 안전 증진 정책이 요구된다. 상업지역의 경우 잦은 동선 변경으로 인해 무단횡단을 하거나 음주 상태인 보행자가 차선으로 넘어오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상업지역이 밀집된 공간에는 교통 정온화 기법을 활용하여 보행자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물리적, 소프트웨어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도시를 계획하는데 있어 밀도와 토지이용 혼합도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TOD, 압축개발 등은 보행자 이동의 효율성을 강조하며 높은 밀도와 토지이용 혼합을 추구한 경향이 있다. 하지만 보행자 안전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요소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보행자의 편의와 안전을 모두 고려한 종합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2014년, 서울시에서 발생한 보행자 교통사고 전수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존에 연구되지 않았던 보행자 교통사고 유발 요인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상 정도에 따른 보행자 교통사고 영향 요인의 차이를 설명했다는 데 있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During the past decades, the paradigm of transportation planning has shifted from automobile-centered to pedestrian-oriented perspectives in Korea. In the context of this paradigm shift,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Using the 2014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TAAS) data, including traffic accidents of pedestrians in Seoul, Korea, we identified important physical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influence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With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s by the level of injury, we examined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factors, road physical environments, and land-use factors. Key findings and implications can be organized into following four parts. First, number of lanes showed negative associations with pedestrian safety. Road diet projects such as lane reduction and narrow road may improve pedestrian safety. Second, although the median exclusive bus lane is convenient and beneficial to citizens, it has negative impacts to pedestrian’s safety. Public policies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pedestrian’s safety near the median exclusive bus station. Third, high density and mixed land use have negative impacts on pedestrian safety. The compact development strategies with transit-oriented development should consider pedestrian’s safety and walking-friendly environment. Finally, we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s for safer walking environments.; During the past decades, the paradigm of transportation planning has shifted from automobile-centered to pedestrian-oriented perspectives in Korea. In the context of this paradigm shift,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Using the 2014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TAAS) data, including traffic accidents of pedestrians in Seoul, Korea, we identified important physical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influence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With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s by the level of injury, we examined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factors, road physical environments, and land-use factors. Key findings and implications can be organized into following four parts. First, number of lanes showed negative associations with pedestrian safety. Road diet projects such as lane reduction and narrow road may improve pedestrian safety. Second, although the median exclusive bus lane is convenient and beneficial to citizens, it has negative impacts to pedestrian’s safety. Public policies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pedestrian’s safety near the median exclusive bus station. Third, high density and mixed land use have negative impacts on pedestrian safety. The compact development strategies with transit-oriented development should consider pedestrian’s safety and walking-friendly environment. Finally, we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s for safer walking environment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708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847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URBAN PLANNING(도시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