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1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한익-
dc.contributor.author장효숙-
dc.date.accessioned2020-02-18T02:15:31Z-
dc.date.available2020-02-18T02:15:31Z-
dc.date.issued2016-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6207-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7101en_US
dc.description.abstract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무조건적 자기수용 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피험자들 은 서울에 소재하는 한 대학교의 재학생 160명이었다. 피험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처리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구하기 위해 크론바흐 α를 산출하였다. 각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부모양육 태도, 자녀들의 무조건적 자기수용 및 사회적 유 능감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 지각된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 도는, 자녀들의 무조건적 자기수용 및 사회적 유능감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부모들로 부터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과 지원을 더 받을수록,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사회적 유능감이 더 많이 높아진다고 이해할 수 있다. 둘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를 통해 자녀들의 무조 건적 자기수용과 사회적 유능감을 유의미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이는 그들 의 부모들로부터 사랑을 더 많이 받은 자녀들이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사회 적 유능감을 더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 결과는, 지각된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가 자녀의 무조건적 자기수용 과 사회적 유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대 단히 의미있는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랑과 지원으로 아이들을 양육하고, 사회적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차원적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조건적 자기수용의 성향이 있는 학생들을 상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들을 논의하였다. 주요용어 :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 무조건적 자기수용, 사회적 유능감-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on Children's Unconditional Self- Acceptance and Social Competence-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장효숙-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교육대학원-
dc.sector.department상담심리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상담심리전공)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