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 0

대학생의 공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Title
대학생의 공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Mediation Effect of Covert Narciss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the Life Satisfaction in University Students
Author
김은혜
Alternative Author(s)
Kim Eun Hye
Advisor(s)
조한익
Issue Date
2016-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공감능력과 내현적 자기애가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공감능력이 많을수록 내현적 자기애에 영향을 미쳐 삶의 만족도의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내현적 자기애나 이와 관련이 높은 수치심, 대인관계 불안 등의 치료 프로그램에 공감이 들어가야 함을 밝히고, 상담 현장에서 공감 지지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뇌파분석을 통해 심리적 요인들도 과학적 검증을 통해 연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의 공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정량적 뇌파분석을 실시하였다. 서울, 경기, 충청에 위치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28명을 대상으로 공감, 내현적 자기애, 삶의 만족도를 측정했다. 그 중 11명을 선정하여 추가로 뇌파측정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정량적 뇌파분석(QEEG)을 위하여 24채절 뇌파분석기롤 측정한 후, Neuroguide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뇌파패턴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 내현적 자기애, 삶의 만족도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에 공감과 내현적 자기애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감이 삶의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언하여, 공감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가 삶의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언하여, 내현적 자기애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감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내현적 자기애가 공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공감과 삶의 만족도가 높고, 내현적 자기애가 낮은 학생의 뇌파분석 결과, beta파가 좌측 뇌 전전두엽 부근에서 평균집단보다 1~2 표준편차까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수집된 자료의 결과와 같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자긴 사람의 삶의 만족도가 국내에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이를 살펴보았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나 이와 관련이 높은 완벽주의, 불안, 수치심 등의 치료 프로그램에 공감이 들어가야 함을 밝혀내었다. 셋째, 공감지지 상담의 중요성을 밝혀내었다. 넷째, 내현적 자기애를 매개변인으로 사용하여 병리적 관점이 아닌, 긍정적인 관점의 접근으로 살펴보았다. 다섯째, 자가보고식의 한계를 뇌파분석을 통해 보완하였다. 이는 심리학 분야에서 과학적 연구의 가능성을 엿볼 수가 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577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671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