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5 0

Diphenylcyclopropenone 면역요법으로 치료한 사마귀 환자에서 치료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분석

Title
Diphenylcyclopropenone 면역요법으로 치료한 사마귀 환자에서 치료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the treatment duration of diphenylcyclopropenone immunotherapy for viral warts
Author
박형권
Alternative Author(s)
Hyung Kwon Park
Advisor(s)
김정수
Issue Date
2016-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사마귀는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와 점막의 양성 증식성 질환으로, 환자의 연령, 면역상태, 사마귀의 위치와 개수 및 크기 등을 고려하여 치료방법을 선택하게 된다. 사마귀 치료에서 면역요법은 사마귀의 개수가 너무 많을 때, 환자가 냉동요법 등과 같은 사마귀 치료에 따른 통증을 원하지 않을 때, 사마귀가 손발톱 주위에 발생하여 손발톱의 변형이 예상될 때에 사용하기 적합하며, 현재 민감제로 diphenylcyclopenone (DPCP)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사마귀 치료에 대한 DPCP 의 민감화 및 치료율, 치료기간, 부작용 등은 여러 문헌에 다수 보고되어 있으나, 치료 기간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연구는 거의 보고된 바 없다. 이에 저자는 2011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피부과에 내원하여 DPCP 치료를 통해 완치된 사마귀 환자 127명을 대상으로 하여 치료 기간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우선 임상적 분류에 따라 치료 기간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성별, 연령, 유병 기간, 사마귀의 발생 부위에 따른 평균 치료 기간을 비교하였지만, 어느 군에서도 통계적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연령, 성별, 이환 기간, 발생 부위, 사마귀의 개수, 가장 큰 사마귀의 장축의 길이, 민감화 반응을 유발하기까지의 도포 횟수, 민감화 반응의 정도를 나타내는 홍반 및 물집 점수(Erythema and blister index, EBI)와 가려움증의 점수(Pruritus index, PI)를 독립변수로 하고, 치료 기간을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한 결과, 가장 큰 사마귀 병변의 크기(p=0.002), 민감화 반응을 유발하기까지의 도포 횟수(p=0.001), EBI 점수(p=0.02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회귀 계수는 각각 0.828, 2.548, -4.851로 나타났다. 또한 민감화 반응을 유발하기까지의 기간이 전체 치료 기간에 주는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서, 민감화 반응이 유발된 이후부터 완치될 때까지의 기간을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마찬가지로 가장 큰 사마귀 병변의 크기(p=0.002), 민감화 반응을 유발하기까지 도포한 횟수(p=0.036), EBI 점수(p=0.02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회귀 계수는 각각 0.828, 1.548, -4.85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마귀의 크기가 작을수록, 민감화 반응을 유도하기까지의 도포 횟수가 적을수록, 민감화 유도 반응의 하나인 EBI 점수가 높을수록 치료 기간이 유의하게 짧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사마귀 환자에서 DPCP 면역요법을 시행할 때 치료 경과 및 기간을 예측하는 임상적인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549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926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