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4 0

리듬체조 볼 받기 동작시 볼 중량과 연령에 따른 상지근 활성도 분석

Title
리듬체조 볼 받기 동작시 볼 중량과 연령에 따른 상지근 활성도 분석
Other Titles
The Analysis of Upper Limb Muscle Activation depending on Age and Ball Weight at Ball Catching Motion of Rhythmic Gymnastics
Author
김정미
Alternative Author(s)
Kim Jung Mi
Advisor(s)
최인애
Issue Date
201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근전도 분석기(EMG)를 이용하여 리듬체조 볼 받기 시 연령별 볼의 무게 및 높이 변화에 따른 상지근의 활성도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니어 5명, 주니어 5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각 변인별 근 활성도의 특성을 분석한 자료를 제시하여 선수들의 상해 예방을 위한 자료로 활용케 할 뿐만 아니라 리듬체조 기술훈련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어린선수들의 상해 예방을 위한 적정 무게를 파악함으로써 주니어 선수들의 이상적인 수구 무게를 제시하여 리듬체조의 규정 변화에 영향이 미칠 수 있도록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니어 및 주니어 선수의 볼 받기 동작시 근 활성도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볼의 낙하 높이와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주니어와 시니어 모두 근 활성도가 증가함을 보였다. 둘째, 볼 받기 동작시 주니어의 근 활성도 크기는 전방삼각근>승모근>상완이두근>상완요골근>후면삼각근>상완삼두근>요측수근글근>>척추기립근 순으로 영향을 많이 받으며, 시니어는 전방삼각근>상완이두근>승모근>상완요골근>후면삼각근>상완삼두근>요측수근굴근>>척추기립근 순으로 영향을 많이 받았다. 셋째, 주니어 및 시니어 모두 8개의 측정 근육 중 전방 삼각근의 활성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주니어의 전방 삼각근 활성도는 볼의 무게가 400g일 경우, 440%로 시니어 280%에 비하여 160%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시니어의 경우 전체적으로 상지의 근육이 주니어의 상지 근육보다 전체적으로 발달되어 근 활성도가 골고루 증가됨을 보이는 것이다. 넷째, 주니어의 경우 볼의 무게가 350g일 때, 약 320%의 근 활성도를 나타냄으로 주니어의 경우 볼의 무게가 350g 이하에서 시니어의 전방삼각근에 유사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현재의 주니어 볼 무게 규정이 시니어와 유사한 400g에서 350(±10)g 이하로 낮아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감속 동작시 주니어는 440 → 300%로 140%가 감소됨을 볼 수 있고, 시니어의 경우, 280 → 180%로 100%가 감소됨을 볼 수 있다. 여섯째, 주니어의 경우가 시니어 보다 감속 동작시 전방삼각근의 근 활성도에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아, 주니어의 동작 지도가 상해예방에 중요한 인자로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리듬체조 볼 받기 동작이 연령별, 볼 무게별, 낙하 높이별로 상지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무게에 따른 영향도를 상세한 데이터로 제공함으로써 주니어 볼 무게 규정변화에 대한 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지도자로 하여금 리듬체조 기술훈련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497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006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SPORTS & WELL-BEING(생활스포츠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