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9 0

조류를 이용한 유기물질의 생태독성 시험법 비교 연구

Title
조류를 이용한 유기물질의 생태독성 시험법 비교 연구
Author
남주경
Advisor(s)
이용우
Issue Date
201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특정수질유해물질 내 20종의 유기물질의 독성영향 정도를 비교하고 이들 물질에 대하여 기존의 생태독성 시험법 보다 민감한 생태독성 시험법을 확인 및 제시하고자 하였다. 시험종은 환경변화에 민감하고 확보 및 배양이 용이한 조류 중 OECD 공인 시험종인 Pseudokirchneriella subcapitata를 이용하였다. 대상 화학물질은 수질오염물질 중 사람이나 동식물에게 직접 또는 간접적인 위해를 줄 물질로, 시행예정 3종을 포함한 31종의 특정수질유해물질 내 유기물질 22종에서 취급금지물질 2종(Paration, polychlorinated biphenyl)을 제외한 20종으로 선정하였다. 대상 유기물질의 독성 영향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에서 사용된 세포계수법 및 클로로필형광 측정법과, 민감도가 더 높은 것으로 알려진 지연형광 측정법을 추가하였다. 시험시간 선정을 위해 대표적으로 휘발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Trichloroethylene의 8시간 및 72시간 경과 후 휘발량 측정 결과, 72시간 뒤의 휘발량이 비교적 높기에 72시간 만성독성시험을 제외하고 8시간 급성독성시험만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삼각플라스크 대신 메디아병을 사용하여 휘발량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6개 물질(테트라클로로에틸렌, 1,1-디클로로에틸렌, 염화비닐, 나프탈렌, DEHP, DEHA)의 경우 각 물질의 수용해도에서도 EC50값을 얻지 못하였으나, 14개 물질의 경우 지연형광 측정법이 클로로필형광 측정법 보다 평균 1.8배(1.05∼3.5배) 민감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유기물질의 독성영향정도는 폼알데하이드, 브로모포름,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사염화탄소, 에피클로로하이드린, 트리클로로에틸렌, 벤젠, 페놀, 클로로포름, 1,2-디클로로에탄, 아크릴아미드, 디클로로메탄, 1,4-다이옥산 순으로 관찰되었다. 결과적으로 조류를 이용한 지연형광 측정법은 유기물질의 독성평가에 기존의 클로로필형광 측정법 보다 민감함을 확인하였고, 메디아병을 이용한 생태독성 시험법이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적용 가능한 시험법이라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독성자료가 부족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포함한 유기물질에 대한 독성 자료를 제시하여 유기물질의 유해성 심사 및 조류를 이용한 생태독성 시험법 확립에 참고자료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461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045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PPLIED CHEMISTRY(응용화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