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2 0

일제 강점기 해금 음악의 전개 양상 연구

Title
일제 강점기 해금 음악의 전개 양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Haegum Performanc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uthor
김준희
Alternative Author(s)
KIM JUN HEE
Advisor(s)
김성아
Issue Date
201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경성방송국국악방송곡목록』과『한국유성기음반』을 중심으로 일제강점기에 활동했던 해금 연주자들의 방송 및 음반취입 양상을 정리하였다. 또한『매일신보』·『조선일보』·『동아일보』등 일부 신문기사 등을 참고하여, 실제 연주활동에 대한 사실들을 부분적으로 보완하였다. 이를 통해 당시 해금 연주자들의 음악활동과 전개양상을 정리하고, 일부 악곡들은 분석과정을 통해 실제 음악의 실제에 접근하였다. 이상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금 연주자들은 극장과 대중매체의 등장으로 인해 활동상의 변화를 겪게 되었는데, 그 중 방송과 음반취입을 통해 대중과 좀 더 가깝게 소통하게 되었다. 지용구(池龍九)·고재덕(高載德)·민완식(閔完植)·김봉업(金奉業)·이충선(李忠善)·김덕진(金德鎭) 등 각 지방에 있던 많은 연주자들이 서울로 이동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서울에서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 서울지역의 음악가들로 조직된‘조선성악연구회’·‘조선정악전습소’·‘조선음악협회’·‘조선음악무용연구회’등의 전문음악집단이 등장하였다. 이와 같은 집단은 조선음악의 부흥과 발전을 위한 목적으로 조직되었으며, 여기에서 이루어진 활동들은 해금의 여러 레퍼토리가 알려지게 되는 배경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국악기와 서양악기의 합주나 국악창작곡의 창작 및 연주 등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마련하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되었다. 둘째, 당시 해금 연주자들의 방송 및 음반취입을 통해 악기 편성의 측면에서 고정적인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매우 다양한 구성으로 연주 활동이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 좀처럼 편성되지 않는 해금 단잽이 형태의 반주 편성이 당시 정악 및 민속악의 성악곡 반주에서 사용되었으며, 민요 반주에 해금으로만 반주를 하는 형태도 찾아볼 수 있어 보다 다양한 형태의 반주 형태가 존재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해금 연주자들은 해금 외에도 다른 악기에 대한 학습 및 이해를 겸비하여 방송 및 음반에서 다양한 악기의 선율을 차용하거나, 편성에 맞는 적절한 음악적 구성을 해금 연주에 녹여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일제강점기는 일부 자료를 통해 여성 해금 연주자의 등장을 확인할 수 있다. 당시 권번의 등장으로 인해 여성 연주자들의 활동이 전개 및 확대되었는데, 방송 기록을 통해 한농선(韓弄仙)의 해금 연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여성 해금 연주자의 등장 및 여성 실내악단의 초기 모습을 유추할 수 있었다. 넷째, 해금의 창작음악 연주는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되었는데, 신민요의 반주를 통해 그 편성을 짐작해볼 수 있다. 당시 바이올린과 합주했던 해금 연주자 최수성(崔壽成)과 고재덕(高載德), 가야금과 해금 반주로 <아라비아의 노래>라는 신곡을 연주했던 김봉업(金奉業), 신작가곡을 반주한 김금해(金琴海)의 방송기록이 있다. 또한 <한강수타령>을 탬버린과 함께 합주했던 김덕진(金德鎭)의 유성기음반 자료를 통해 국악과 서양음악의 교류와 융합이 실제적으로 시작되었던 시기임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해금 연주자 지용구(池龍九)·김덕진(金德鎭)·이충선(李忠善)·김봉업(金奉業)·고재덕(高載德)·민완식(閔完植)·김금해(金琴海) 등 7인은 방송과 음반을 통해 매우 활발하게 활동하였는데, 당시 대중매체를 통해 인기가 많았음을 알 수 있다. 그 중 지용구(池龍九)는 정악과 민속악 장르를 넘나들며 적극적으로 연주 활동을 전개하였고, 김화여(金化汝)·고재덕(高載德)·민완식(閔完植) 등은 주로 정악 장르를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또한 김덕진(金德鎭)·이충선(李忠善)·김봉업(金奉業)은 민속악 장르를 통해 활동을 펼치는 등 연주자들의 개별적인 음악 성향으로 인해 중심적으로 연주했던 음악장르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유성기음반에 수록된 일부 음원의 선율 분석을 통해 당시 해금 연주자들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해금선율의 시김새로 인한 리듬형 및 출현음에 대한 차이를 제외하고는 악곡 전체의 기본 골격음은 동일하게 진행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헤테로포니 방식이 운용되었으며, 해금 선율의 경우에는 다른 악기들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독자적인 선율들로 구성되어 보다 다양하고 풍부한 음악적 표현과 해석이 추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당시 해금 연주자들은 해금 외에도 관악기·현악기·판소리·시조 등 다양한 악기와 성악을 겸비하였는데, 이러한 부분들이 반주 및 독주 선율의 연주에서 적절하게 차용 및 응용되었다. 이를 통해 반주 및 독주에서 관악기와 현악기의 다리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제강점기의 방송과 음반, 신문기사를 통해 살펴본 다수의 해금 연주자들은 격변하던 당시 사회여건에 적응하며 다양한 레퍼토리와 그에 맞는 연주 활동들을 통해 자신의 영역을 유지 및 확대하였다. 이러한 모습들은 당시 연주자들의 끊임없는 노력을 잘 드러내고 있으며, 현재의 해금 연주자들이 다양한 레퍼토리를 연주하고, 전통과 창작의 두 길에서 훌륭히 그 역할을 소화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발판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This thesis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egum performanc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by examining the book , korean SP records and the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in , and . The Haegum performances were analyzed in view of the players, musical genres and the pieces played. Some of the actual performances were analyzed by scoring the korean SP reco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way of public Haegum performances were changed by the appearance of the radio broadcasting station and theaters. Haegum players - Ji Yong Gu, Ko Jae Deok, Min Wan Sik, Kim Bong Up, Lee Chung Sun, Kim Deok Jin, etc - had moved from local provinces to the capital and organized professional music groups such as Choseon Folk Music Theater, Choseon Jungak Jeunseupso and Choseon Music Association. Those groups had a great role in bringing the large repertories of Haegum music to light and attempting the ensemble with western musical instruments and playing non-traditional korean music pieces. Second, Haegum was performed in various instrumental forms according to the Gugak broadcast list of the Kyunseong Broadcasting Station and to the SP records where Haegum was participated. Unlike the today's Gugak musical form, Haegum was performed alone as an accompaniment to Jeongak and Minsokak. It was also found that Haegum had been performed as a solo accompaniment to folk song performances. The Haegum players studied korean musical instruments other than Haegum, so that they could utilize the melodies of other musical parts into Haegum performances. Third, a female Haegum player, Han Nong Seon, appeared in the broadcast media. Female Gugak musicians had became more popular by the appearance of Gwonbeon. It seems that the all-women chamber orchestra was first organized from this period. Fourth, new folk music and unconventional consist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had been created. Choi Su Seong and Ko Jae Deok played Haegum in symphony with a violin. Kim Gum Hae played Haegum in accompaniment to a newly composed folk song. A new piece, Arabian Song, was performed by Haegum player, Kim Bong Up. Fifth, the frequent Haegum players such as Ji Yong Gu, Kim Deok Jin, Lee Chung Sun, Kim Bong Up, Ko Jae Deok, Min Wan Sik and Kim Gum Hae shown in the Kyunseong Gugak broadcast list were unarguably popular at that time. The most frequent Haegum player, Ji Yong Gu, performed both Jungak and Minsokak, but most other Haegum players had their major genres. Sixth, the Haegum melodies recorded in the korean SP records generally utilized the heterophony except the difference of the rhythm and key notes caused by Sigimsa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discovered that the Haegum players participated actively in the broadcast and the korean SP records throughout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They performed various repertories and kept trying to enlarge the boundary. Those endeavors were apparently a great legacy to the current Haegum players.; This thesis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egum performanc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by examining the book , korean SP records and the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in , and . The Haegum performances were analyzed in view of the players, musical genres and the pieces played. Some of the actual performances were analyzed by scoring the korean SP reco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way of public Haegum performances were changed by the appearance of the radio broadcasting station and theaters. Haegum players - Ji Yong Gu, Ko Jae Deok, Min Wan Sik, Kim Bong Up, Lee Chung Sun, Kim Deok Jin, etc - had moved from local provinces to the capital and organized professional music groups such as Choseon Folk Music Theater, Choseon Jungak Jeunseupso and Choseon Music Association. Those groups had a great role in bringing the large repertories of Haegum music to light and attempting the ensemble with western musical instruments and playing non-traditional korean music pieces. Second, Haegum was performed in various instrumental forms according to the Gugak broadcast list of the Kyunseong Broadcasting Station and to the SP records where Haegum was participated. Unlike the today's Gugak musical form, Haegum was performed alone as an accompaniment to Jeongak and Minsokak. It was also found that Haegum had been performed as a solo accompaniment to folk song performances. The Haegum players studied korean musical instruments other than Haegum, so that they could utilize the melodies of other musical parts into Haegum performances. Third, a female Haegum player, Han Nong Seon, appeared in the broadcast media. Female Gugak musicians had became more popular by the appearance of Gwonbeon. It seems that the all-women chamber orchestra was first organized from this period. Fourth, new folk music and unconventional consist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had been created. Choi Su Seong and Ko Jae Deok played Haegum in symphony with a violin. Kim Gum Hae played Haegum in accompaniment to a newly composed folk song. A new piece, Arabian Song, was performed by Haegum player, Kim Bong Up. Fifth, the frequent Haegum players such as Ji Yong Gu, Kim Deok Jin, Lee Chung Sun, Kim Bong Up, Ko Jae Deok, Min Wan Sik and Kim Gum Hae shown in the Kyunseong Gugak broadcast list were unarguably popular at that time. The most frequent Haegum player, Ji Yong Gu, performed both Jungak and Minsokak, but most other Haegum players had their major genres. Sixth, the Haegum melodies recorded in the korean SP records generally utilized the heterophony except the difference of the rhythm and key notes caused by Sigimsa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discovered that the Haegum players participated actively in the broadcast and the korean SP records throughout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They performed various repertories and kept trying to enlarge the boundary. Those endeavors were apparently a great legacy to the current Haegum player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459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040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USIC(음악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