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2 0

유아교육기관 초임교사의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Title
유아교육기관 초임교사의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Other Titles
Qualitative research on the adaptation process of children education institute beginning teacher
Author
서정화
Alternative Author(s)
Suh, jeong hwa
Advisor(s)
김명희
Issue Date
201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문요약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초임교사가 교직생활 적응과정 중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유아교육기관 초임교사가 교직생활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는가? 연구문제2. 유아교육기관 초임교사가 적응과정 중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한 연구대상자는 D광역시의 국∙공립 및 사립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경력 2년 이하의 초임교사 2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유아교육기관 초임교사들이 교직생활에서 적응과정 중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그리고 적응과정 중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2016년 6월부터 2016년 7월까지 약 2개월 동안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참여관찰 중 수시로 비형식적인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형식적인 면담은 한 사람을 기준으로 30~60분 동안 1~2회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면담 후 2일 이내에 전사하여 분석하였고 어려움이라는 주제로 유목화하여 이를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문제「유아교육기관 초임교사가 교직생활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는가?」에 대해 알아본 결과로는 교육현장이 익숙하지 않은 초임교사는 첫 사회생활에 대한 두려움과 기대로 시작한다. 초임교사는 아동을 지도하고 학급을 경영해 나가는 것만으로도 벅찬 현실 속에서 수업계획, 부모상담, 안전교육, 행사준비, 환경구성 등과 같은 과중한 업무로 공식적인 근무시간 외에 개인시간을 할애하여 업무를 처리해야 한다. 이에 대한 시간 외 수당은 받기 어려우며 급여도 상당히 낮은 편이다. 이와 같이 초임교사는 경력교사의 도움이 필요하지만 과도한 업무량으로 인해 경쟁구도가 형성된 기관의 경우는 서로 도와주며 발전하기 어려운 관계로 유지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학력에 대한 차별이 존재하는 기관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초임교사는 대학시절 배운 이론을 가지고 교육현장에 부임되어 실제와 부딪히면서 혼란을 겪는다. 이로 인해 아이들의 성장과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에 대한 염려와 학부모의 지나친 요구와 관심으로 교사로서 자질을 의심하며 본인 스스로 교사로서 더욱더 성장하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 또한 초임교사는 아이들을 교육을 하는데 있어 바른 길로 갈 수 있도록 훈육을 하는 데, 이는 정해진 기준이 없기에 어렵고 조심스러운 것이다. 이와 같이 유아교육기관에 초임교사로서 교육현장에 부임되면서 수많은 실패와 좌절을 겪으면서 부족하고 서툰 모습으로 첫 사회생활을 해나간다. 때로는 교사로서 자질에 대해 의구심을 품기도 하며 여러 가지 갈등상활에 부딪히면서 다양한 어려움을 겪는다. 두 번째 연구문제「유아교육기관 초임교사가 적응과정 중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에 대해 알아본 결과로, 초임교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만날 수 있는 원장과 동료교사, 학부모, 유아를 통해 긍정적인 힘을 얻어 어려움을 극복해나간다. 원장은 초임교사의 시절이 있었기에 교사의 마음을 충분히 공감하고 격려해줌으로써 교육현장에서 더 많이 배우고 스스로 힘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지도해준다. 동료교사인 경력교사에게 아동과 상호작용 및 수업, 업무처리와 관련된 노하우를 전수받으며, 자신과 같은 상황에 놓인 동기교사는 함께 대화를 나누며 일과 심적으로 의지가 된다. 또한 초임교사는 학부모가 아이의 성장과 발달을 인정해주고 아이들은 교사를 좋아하고 따르는 모습을 통해 보람을 느낀다. 이를 통해 교사임을 실감하고 만족감과 자신감을 얻는다. 초임교사는 실수와 실패의 경험을 교사로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로 받아들이고 아이들을 좋아하는 마음 하나로 계속 교사생활을 유지하고 있으며 계속적으로 이 직업을 지키기 위해 노력한다. 또한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은 개인 시간이 많지 않지만 짧게나마 취미활동을 함으로써 교사생활에서 활력을 불어 넣는다. 이와 같이 유아교육기관 초임교사는 각자 다양한 방식으로 교직생활에서 겪는 어려움을 극복해나간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during the adaptation proc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for beginning teachers and how to overcome them. Research problem 1. What difficulties do beginning teachers of early childhood institutes have in their teaching career? Research problem 2. What are some way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beginning teachers in the adaptation proc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 newly appointed teachers who had less than 2 years of experience in national, public, and privat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D metropolitan city.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for about two months from June 2016 to July 2016. The collected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within two days after the interview and the analysis result was classified as the theme of difficulty to conduct the stud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With regard to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e beginning teach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education field start with the fear and expectation of their first social life. Beginning teachers are not only in charge of teaching children and managing classes but have to spend their personal time outside the official working hours with heavy work. Overtime allowance is difficult to receive and salary is also low. As such, the beginning teachers need help from a career teacher, but the institutions with a competitive structure due to excessive workload keep it difficult for them to help each other. In addition to this, there are difficulties due to institutions that discriminate against the academic background. Beginning teachers are confused when they come to the educational field with the theories learned in college and encounter with the actual practice. As a result, they are worried about a negative impact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and suspicious of their qualities as teachers due to parents' excessive demands and interests, and also feel that they are not developing themselves properly as teachers. Also, beginning teachers have to discipline children so that they can walk in the right path in education, which is difficult and cautious because there are no established standards. As to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Beginning teachers overcome difficulties by obtaining positive strength from the principals, fellow teachers, parents, and children who they can mee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ince the principals were once beginning teachers, they can fully empathize, encourage and teach them to learn more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develop their own strengths. From career teachers, they can get the know-how related to interaction with the child, class, and work process, and by communicating with the fellow teachers, who are in the same situation as themselves, they can cooperate with and mentally rely on them. In addition, beginning teachers feel rewarded when parents appreciat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and when children like and follow them. Through this, they realize that they are teachers and get satisfaction and confidence. Beginning teachers take the experience of mistakes and failures as an opportunity to grow as teachers, continue their teaching career only with the heart of loving children, and strive to keep the job continuously. Also, whil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do not have much personal time, they also bring vitality to the teacher life by doing brief hobby activiti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452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035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ARLY CHILDHOOD EDUCATION(유아교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