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대호-
dc.contributor.author류승연-
dc.date.accessioned2020-02-12T16:47:08Z-
dc.date.available2020-02-12T16:47:08Z-
dc.date.issued2017-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4505-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0554en_US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의 교육은 민주 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과 자주적 생활 능력을 갖추게 한다는 교육 이념을 바탕으로 세계와 소통하는 시민으로서 공동체 발전에 참여하는 인간상을 추구한다는 2009년 9차 교육과정의 도입에 따라 영어과 교육과정은 과거 어느 교육과정보다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집중되었다. 그러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엔 실제 영어교실은 EFL의 상황으로 음성 언어 노출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문자언어학습에 의존적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대 영어 흐름에서 구동사는 일상생활을 포함하여 학술 분야 등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즉 구동사는 구어체 성향은 물론 문어체 성향도 가지고 있기에 원활한 의사소통 및 생활을 위해 자주 사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표는 교과서에 나타난 구동사의 쓰임이 학년별, 영역별 차이를 규명함과 동시에 교과서 코퍼스와 원어민 코퍼스에서 나타나는 구동사 쓰임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9년 개정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과서 텍스트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고, 초·중·고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구동사의 빈도를 관찰하였다. 먼저 각 교과서를 세부 학년으로 나누고 청해·독해 영역별 차이 관찰을 위해 각 영역별로 교과서 텍스트를 나누어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미국과 영국의 원어민 코퍼스 COCA와 BNC의 빈도 구동사와 비교 분석 하였으며, 각 학년 및 영역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와 한국 교과서가 어느 원어민 코퍼스와 유사한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코퍼스 기반 분석법을 선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초·중·고등학교 교과서를 텍스트화하여 교과서 코퍼스를 구축한 뒤에 각 학년별, 영역별로 구분하였다. 또한 교과서 코퍼스의 구동사 빈도수 검색을 위한 구동사 100 순위 목록은 선행 연구(Liu, 2011) 결과에 의거하여 COCA와 BNC에서 각각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 구동사 순위를 기준으로 검색용 목록을 작성하였다. 뿐만 아니라 교과서 내 구동사 출현 빈도를 조사할 때에는 AntConc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검색용 목록으로 각 구동사를 검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이 올라갈수록 교과서에 나타난 구동사 빈도수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학교 수준이 높아질수록 제시되는 구동사의 종류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초등학교와 중학교내 세부 학년이 높아질수록 구동사 출현 횟수는 증가하지 않았다. 둘째, 교과서에 나타난 구동사의 영역별 차이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과서 모두 청해 영역보다 독해 영역에서 구동사 빈도수가 높게 나타난다.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각 영역간의 빈도수 차이가 크며, 두 배 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학년도 있다. 구어체 성향이 강한 구동사가 교과서 청해 영역에서 빈번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독해 영역에서 더 자주 나타났다. 셋째, 교과서 코퍼스와 원어민 코퍼스를 비교 분석한 결과, 국내 발행된 교과서들은 영국식 영어보다 미국식 영어와 유사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교과서에서 나타나는 구동사 중에서 불변화사 round와 around를 모두 조사하였지만 국내 교과서에서는 구동사를 이룰 때 around와 결합한 유형만 출현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미국식 영어 화자들이 around를 선호하며 영국식 영어 화자들은 round를 선호한다는 선행 연구(Liu, 2011)의 결과와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국내 교과서는 미국식 영어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앞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 사항을 제언한다. 먼저 국내 교과서들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학습자들의 수준이 증가한다는 것을 고려하여 교과서 내에서도 구동사 출현량 혹은 학습량을 학년 수준별로 적절하게 반영해야 한다. 게다가 각 교과서를 청해 영역과 독해 영역으로 나누어 볼 때, 독해 영역에서 구동사가 많이 출현하는 양상을 가진다. 이는 아직까지 독해 중심의 수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그러한 흐름을 반영한 것인지 논의할 필요가 있다. 현 교육과정의 목표에 부합하기 위해 교과서는 일상 대화에서부터 학술 영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구동사를 각 영역별로 고르게 분포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Korean education is based on the idea of developing independent living ability as a democratic citizen. The English curriculum has focused more on “improving communication ability”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ninth education curriculum to foster the desirable capabilities of global communicat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participation. However, actual English classes have problems of limited vocal language exposure and depending too much on written language materials for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Phrasal verbs in English are of great importance for the communication purposes, as they are widely used both in scholarship and everyday life.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following two: (i) differences in the use of phrasal verbs depending on the school grade levels, and on the (spoken vs. written) language styles; and (ii) differences in the use of phrasal verbs between English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nd English native speakers’ corpora. To achieve the first goal, this study observes the frequencies of phrasal verb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published under the revised ninth curriculum. First, the textbooks were divided into particular grades, and the passages in the textbooks divided into two classes, reading and listening, to determine the styles of the passages. To achieve the second goal, this study compares the phrasal verbs attested in the textbooks with the those of the British National Corpus (BNC) and 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COCA), which are a representative British English corpus and a North American English corpus,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 analytical method is corpus-based. First, the passages in the textbooks are marked either as ‘reading’ or as ‘listening’, and they are compiled into a textbook corpus. Then AntConc (version 3.2.4w) was run to extract phrasal verbs in the textbooks. The phrasal verbs searched in this study are restricted to those top 100 phrasal verbs in the COCA and BNC as listed in Liu (2011).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ety of phrasal verbs in the textbooks increased as the school level rose from elementary to middle school and from middle to high school. However, within the elementary school and within the middle school, the grade level was not proportional to the frequency of phrasal verbs; sometimes they were even anti-proportional. Secondly, the frequency of phrasal verb usage in the reading section is higher than in the listening section in all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There is a huge gap between the frequency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with some grades even showing a difference of more than double.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each textbook and each section, quite contrary to our expectation, phrasal verbs are more frequently attested in the reading sections than in the listening sections. Thirdly,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ypes of phrasal verbs used in textbooks with the native speaker’s corpus, this study found that the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re more similar to American English than to British English. Of particular interest is the fact that predicates combine with around but not with round in the domestic textbooks, which indicates that Korean textbooks are more like North American English than British English. (cf. Liu 2011)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First, domestic textbooks should adjust the frequency and type of phrasal verbs in textbooks based on learners’ level. Some inconsistency found in the current textbooks is strongly recommended to be rectified in the next curriculum. Moreover, the biased distribution of phrasal verbs, i.e., the fact that phrasal verbs are far more frequently attested in the reading sections than in the listening sections, is also recommended to be seriously considered in order to fulfil the objective of the curriculum, which stresses the communicative skills. This may have to do with the tendency that Korean English classes focus more on reading. To achieve the current educational curriculum’s objective, phrasal verbs should be appropriately distributed in textbooks.; Korean education is based on the idea of developing independent living ability as a democratic citizen. The English curriculum has focused more on “improving communication ability”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ninth education curriculum to foster the desirable capabilities of global communicat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participation. However, actual English classes have problems of limited vocal language exposure and depending too much on written language materials for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Phrasal verbs in English are of great importance for the communication purposes, as they are widely used both in scholarship and everyday life.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following two: (i) differences in the use of phrasal verbs depending on the school grade levels, and on the (spoken vs. written) language styles-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초·중·고 교과서에 나타난 코퍼스 기반 영어 구동사 분석-
dc.title.alternativeA Corpus-Based Analysis of English Phrasal Verbs in Elementary/Middle/High School Textbook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류승연-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Ryu, Seung Yeo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영어콘텐츠개발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NGLISH COURSE AND MATERIALS DEVELOPMENT(영어콘텐츠개발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