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강민-
dc.contributor.author우멍결-
dc.date.accessioned2020-02-11T03:55:33Z-
dc.date.available2020-02-11T03:55:33Z-
dc.date.issued2020-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3668-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7816en_US
dc.description.abstract한국어·중국어·일본어는 음운, 문법, 어휘 등의 면에서 많은 유사점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음운론에서는 고대에 모음조화가 있었다는 점과 어두에 [r]음이 오지 않는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세 나라는 한자 문화권에 속하여 한자를 사용하며, 다수의 동형 한자어를 공유하고 있다. 한자어의 경우 발음도 유사하여 어느 정도 학습이 진행되면 모국어와 비교하여 유추할 수도 있다. 처음에 한자는 중국에서 시작되어 한국과 일본에까지 전파되었다. 그러므로 한국어·일본어와 한자어는 중국어의 한자어와 유사하다. 언어유형학적인 측면에서 보면 한국어와 일본어는 교착어에 속한다. 다른 언어와 비교하여 한국어의 가장 큰 특징 가운데 하나인 조사와 어미가 발달하였다는 점은 일본어와 함께 두드러진 특징이기도 하다. 기본 어순도 “주어-목적어-서술어”의 SOV 계열로 동일하며 수식어는 피수식어 앞에 놓인다는 점도 유사하다. 이 뿐만 아니라 존경어, 겸양어와 같은 경어법이 발달되어 있다는 점에서도 한국어와 일본어는 매우 유사하다. 본 논문은 한국어·중국어·일본어에 나타나는 동형이의(同形異義) 한자어를 대조·분석한 것이다. 한·중·일 세 나라의 한자어를 살펴보기 위한 작업으로 한·중·일 세 나라의 동형이의어의 성립 요건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으며, 한국어·중국어·일본어 학습자들에게 한자어에 대한 명확한 세 나라의 동형이의 한자어의 형성 원인을 제시하고자 했다. 본 논문은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론인 1장에서는 한·중·일 세 나라의 동형이의어를 연구하는 목적을 제시하였다. 한·중·일 동형이의어의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본 논문의 연구방법을 논하였다. 2장 본론에서는 『現代漢語詞典(현대 한어 사전)』에 기록되어 있는 한·중·일 동형이의어를 비교 분석하여 이들 동형이의어가 형성된 원인을 검토하였다. 결론 부분인 3장에서는 한·중·일 동형이의어를 형성하는 원인 중 가장 중요한 요인은 역사와 언어 내부인 문제라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국가 간의 교류는 반드시 언어를 사용한 커뮤니케이션이 수반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언어는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필연적인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언어를 이해하지 못하게 되면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오해나 실수를 범하기 쉽다. 본 논문을 통해 한국어·중국어·일본어 학습자들은 동형이의 한자어 형성의 배경과 원인을 파악하여 한자어를 공부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동형이의 한자어를 학습해 나아갈 수 있기를 희망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현대 한중일 동형이의 한자어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Honomorphic Chinese Characters in Contemporary Korea, China and Japan-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우멍결-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YU MENGJIE-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일본언어·문화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일본언어·문화학과-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JAPANESE LANGUAGE AND CULTURE(일본언어·문화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