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4 0

발전원에 대한 정부정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 실업률을 포함하고 있는 CGE모형

Title
발전원에 대한 정부정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 실업률을 포함하고 있는 CGE모형
Other Titles
Economic Impacts of Government Policies Restricting Energy Sources of Electricity Generation: A CGE Model Including Unemployment Rate
Author
정영호
Alternative Author(s)
Jeong, Yeong-Ho
Advisor(s)
문춘걸
Issue Date
202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에너지 사용량 증가는 온실가스 배출 증가로 이어지며, 이는 지구온난화를 가속화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에너지 사용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석탄, 석유, 가스와 같은 화석연료이며, 이는 온실가스 배출 증가의 가장 큰 요인이자 지구온난화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지구온난화 문제가 심화되면서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기술개발과 함께 에너지와 환경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흐름에 다각적으로 동참하고 있다. 또한 미세먼지 문제의 심각성도 갈수록 커지고 있으며 탈원전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환경부에서는 미세먼지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미세먼지 배출 저감을 시행중에 있으며, 정부에서는 원전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연산가능 일반균형 모형(CGE)을 통하여 발전원에 대한 정부정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생산부문의 기본 자료로는 한국은행에서 제공되는 2015년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였다. 기존 국내 CGE 모형 분석에서는 반영하지 않았던 실업률을 분석 대상으로 추가하였다. 실업률을 중점적으로 보기 위해, 노동세, 실질임금, 여가를 모형에 추가적으로 도입하였다. 이는 정부가 중점을 두고 있는 고용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는 차별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정부 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첫 번째 시나리오는, 전통적인 발전에서 사용하는 화석연료를 각각 5%, 10%, 15%를 감축하는 상황을 가정하였으며, 원자력 발전과 신재생 발전에 대해서는 제약이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분석 결과, 전통적 에너지 발전을 대체하여 원자력 발전과 신재생 에너지 발전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 에너지 발전에서의 화석연료 사용 감축은 총전력의 감소로 이어졌으며, 이는 전력가격의 상승을 수반하였다. 실업률은 증가하였고. 실업률에 영향을 받는 실질임금은 감소하였다. 거시지표에서는 소비와 투자가 감소하였으며, 정부소비는 감소하였으나 그 감소 폭이 매우 작았다. 또한 수출과 수입도 감소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화석연료 사용 감축은 GDP를 포함한 거시지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산부문에서도 모두 감소하는 결과로 나타났으며, 전력과 화석연료로 구성되는 에너지복합재의 감소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시나리오는 전통적인 발전에서 사용하는 화석연료를 각각 5%, 10%, 15%를 감축하는 상황은 동일하게 설정하였으며, 원자력 발전은 고정된 것으로 설정하고 신재생 에너지 발전에 대해서는 제약이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 정부가 추진중인 탈원전 정책을 고려하였으며, 원전은 현 수준에서 상당 기간 고정되는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은 고정된 것으로 가정했을 때, 전통적 에너지 발전을 대체하여 신재생 에너지 발전은 첫 번째 시나리오보다 더 크게 증가하는 결과로 나타났으며, 이는 총 전력에서 신재생 에너지 발전이 차지하는 비중이 더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력가격의 경우, 첫 번째 시나리오와 비교하여 상승 폭은 약간 큰 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업률이 증가하고 실질임금도 감소하였다. 소비와 투자의 감소폭은 더 크게 나타났으며, 정부소비의 감소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부문 전반에서도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에너지 복합재의 경우, 첫 번째 시나리오보다 그 영향의 정도는 더 크게 나타났다. 전통적 에너지 발전의 화석연료 사용 감축과 이를 대체하는 발전의 확대는 환경적으로 바람직한 효과가 있다는 점은 명확하다. 하지만 신재생 에너지 발전으로의 대체는, GDP를 비롯한 거시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실업률의 상승으로 이어져 고용측면에서도 노동시장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함을 알 수 있다.| Energy use entails greenhouse gas emissions, which is a major cause of accelerating global warming. Fossil fuels (such as coal, oil and gas) take the largest share of energy use, and they are biggest contributors to greenhouse gas emission and a global warming. As global warming intensifies, the world is implementing energy and environmental polici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Korea is also participating in this trend . In addition, Korean government is keen at ameliorating the problem of fine particulate matter and phasing out nuclear power generation in the long run. In this thesis, we analyze the impact of government policy on power generation to the national economy through the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 (CGE). The production side of the CGE model uses 2015 Input-Output Tables(Bank of Korea, 2019) as the base. In our CGE model, we include unemployment rate, which was not included in previous studies in Korea. Along with unemployment rate, we also include labor taxes, real wages, and leisure. We experiment with two scenarios:. The first assumes that fossil fuels for conventional energy generation are reduced by 5%, 10% and 15%, respectively, with no restrictions on nuclear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while the second assumes the same levels of reduction in fossil fuels for conventional energy generation with fixed amount of power generated from nuclear energy (reflecting current policy stance of the government on nuclear power generation) and no restriction on renewable energy generation. Under the first scenario, the reduction of fossil fuel use in conventional energy generation leads to reduction in total electricity and rise in electricity prices. Consumption, investment, exports and imports decrease while government spending deceases a bit. That is policy restricting fossil fuel use in power generation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macroeconomy, including GDP among many others. Unemployment rate increases while real wage becomes lower. On the production side, we observe negative impact too, with the largest decrease in energy composites. Under the second scenario, increase in renewable energy generation is greater than under the first scenario and rise in electricity price is greater too. As under the first scenario, unemployment rate increases, real wage becomes lower, and consumption and investment decrease to a greater extent. As under the first scenario, government spending decreases a bit. Energy composites's negative impact to the production side is also greater than under the first scenario. It is clear that reduction of fossil fuel in conventional energy generation abates greenhouse gas emission, improving our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it entails negative impact to the macroeconomy, albeit less so to the government spending. Interestingly it adversely impacts the labor market in terms of (increase in) unemployment rate and (decrease in) real wage.; Energy use entails greenhouse gas emissions, which is a major cause of accelerating global warming. Fossil fuels (such as coal, oil and gas) take the largest share of energy use, and they are biggest contributors to greenhouse gas emission and a global warming. As global warming intensifies, the world is implementing energy and environmental polici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Korea is also participating in this trend . In addition, Korean government is keen at ameliorating the problem of fine particulate matter and phasing out nuclear power generation in the long run. In this thesis, we analyze the impact of government policy on power generation to the national economy through the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 (CGE). The production side of the CGE model uses 2015 Input-Output Tables(Bank of Korea, 2019) as the base. In our CGE model, we include unemployment rate, which was not included in previous studies in Korea. Along with unemployment rate, we also include labor taxes, real wages, and leisure. We experiment with two scenarios:. The first assumes that fossil fuels for conventional energy generation are reduced by 5%, 10% and 15%, respectively, with no restrictions on nuclear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while the second assumes the same levels of reduction in fossil fuels for conventional energy generation with fixed amount of power generated from nuclear energy (reflecting current policy stance of the government on nuclear power generation) and no restriction on renewable energy generation. Under the first scenario, the reduction of fossil fuel use in conventional energy generation leads to reduction in total electricity and rise in electricity prices. Consumption, investment, exports and imports decrease while government spending deceases a bit. That is policy restricting fossil fuel use in power generation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macroeconomy, including GDP among many others. Unemployment rate increases while real wage becomes lower. On the production side, we observe negative impact too, with the largest decrease in energy composites. Under the second scenario, increase in renewable energy generation is greater than under the first scenario and rise in electricity price is greater too. As under the first scenario, unemployment rate increases, real wage becomes lower, and consumption and investment decrease to a greater extent. As under the first scenario, government spending decreases a bit. Energy composites's negative impact to the production side is also greater than under the first scenario. It is clear that reduction of fossil fuel in conventional energy generation abates greenhouse gas emission, improving our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it entails negative impact to the macroeconomy, albeit less so to the government spending. Interestingly it adversely impacts the labor market in terms of (increase in) unemployment rate and (decrease in) real wag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316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737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CONOMICS & FINANCE(경제금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